•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함흥본궁의식』 소재 별대제 편성악기에 대한 고찰 (Operation of Orchestration in Special Memorial Rites from Hamheung Bon-gung Ceremony)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23.03
42P 미리보기
함흥본궁의식』 소재 별대제 편성악기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46권 / 1호 / 393 ~ 434페이지
    · 저자명 : 김영주

    초록

    본고는 1795년(정조 19)에 간행된 『함흥본궁의식』에 기록된 별대제(別大祭) 악현에 관한 글이다. 함흥본궁 별대제 악현은 영고(楹鼓) 1대, 세요고(細腰鼓) 1대, 차수적(叉手笛) 2대, 횡적(橫笛) 1대, 해금(奚琴) 1대로 이루어져있다. 이 가운데 해금을 제외한 악기들이 중국 고대 아악기 이름으로 남아있거나 연주법으로 이름이 기록되어있어 악기 실체는 물론 악현이 가지는 특성을 파악하기 어렵다. 이에 본고는 악기는 향악기(鄕樂器)를 사용한다는 정조의 언급과 원묘(原廟)로 규정된 함흥본궁 묘제(廟制)를 전제로 함흥본궁 별대제에 진설된 악기의 실체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함흥본궁 묘제와 동일한 조선전기 원묘제향악현과 『함흥본궁의식』과 동시대에 편찬된 전례서 소재 악현을 비교, 검토한 결과, 영고는 교방고(敎坊鼓)로, 세요고는 장고(杖鼓)로, 차수적은 필률(觱篥; 피리), 횡적은 대금(大笒)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악기편성을 가리켜 『함흥본궁의식』에서는 “삼현(三絃)”으로 기록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함흥본궁 별대제 악현은 조선후기 5군영에 소속된 세악수가 연주하던 악기편성과 같다. 이는 조선후기 전례 악현이 상황에 맞추어 융통성있게 운용되었다는 반증이다. 또한 이러한 악현 운용은 조선후기 재정이 악화되면서 악공을 고용하는 데 한계가 생겼고, 이를 대체할 인력으로 군영에 소속한 세악수를 활용했기 때문으로 추정했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searches the orchestration of Byeoldaeje (別大祭; special memorial rites) recorded in Hamheung Bon-gung Ceremony (咸興本宮儀式; The Royal Protocol of Hamheung Founder Palace Ceremony) published in 1795 (King Jeongjo 19). Hamheung Bon-gung Byeoldaeje used the Akhyun (樂懸; orchestra) which consists of 1 Yeonggo (楹鼓), 1 Seyogo (細腰鼓), 2 Chasujeok (叉手笛), 1 horizontal flute (橫笛), and 1 Haegeum (奚琴).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khyun because the names of five musical instruments, except for Haegeum, are written in the names of ancient Chinese instruments or with their playing methods.
    Premising King Jeongjo's mention that musical instruments were used as Hyangakgi (鄕樂器) at Byeoldaeje and the rites system of Hamheung Bon-gung were defined as Wonmyo (原廟; royal family shrin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band of Byeoldaeje and the orchestra of Wonmyo in early Joseon also Akhyuns in Uigwes (儀軌; The Royal Protocols) published at the same time as Hamheung Bon-gung Ceremony. Consequently, Yeonggo is Gyobanggo (敎坊鼓) and Seyogo is Janggo (杖鼓), Chasujeok is Pilryu l (觱篥; Piri), and the horizontal flute is Daegeum (大笒). This kind of musical instrumental arrangement is recorded as “Samhyun (三絃 means three strings literally but the band consisted of 6 musical instruments during late Joseon)” in Hamheung Bon-gung Ceremony.
    As a result, the orchestration of Hamheung Bon-gung Byeoldaeje is the same as the musical instruments played by Seaksu (細樂手) who were musical soldiers belonging to the 5military camps in late Joseon. This is the counter-evidence that the orchestration of ceremonies in late Joseon was used flexib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addition, it is presumed that the fiscal deficits forced Joseon to use Seaksu instead of hiring musicia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