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Aspects That the Factors of Implementing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02.12
34P 미리보기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사례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과정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과정연구 / 20권 / 4호 / 107 ~ 140페이지
    · 저자명 : 정혜승

    초록

    이 연구는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요인을 구명하고, 제 7차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교재와 수업 관찰을 통해 각 요인들이 작용하는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먼저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요인을 교육과정 자체,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 시중 참고서를 포함하는 교재, 교사, 학생으로 범주화하고, 각 요인이 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문헌 연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교육과정은 다시 적합성, 실행 가능성, 명확성과 구체성의 하위 요인으로 구분되며, 교과서는 단원 구성 방식, 단원 학습 목표와 내용 선정 방식, 단원 구성 체제 요인으로 하위 구분된다. 교사는 교육과정 실행 주체로서 교사의 교과관 및 교육과정에 대한 신념 및 태도, 교육과정 이해와 해석 방식, 교과서 이용 방식, 수업 운영과 평가 방식과 교과 협의회 등이 교육과정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학생은 교육의 주체로서 학생의 교과 및 교과서에 대한 흥미, 학습 태도, 인지적 능력, 사회·경제적 배경과 가정 환경 등이 교육과정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이 연구에서는 제 7차 중학교 교육과정의 말하기 영역 내용을 하나 선정하여, 최초의 교육과정의 의도가 학생의 학습으로 실행되는 과정을 분석하고 그 양상을 모형으로 도식화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과정이 교과서 요인 중심으로 실행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과서 요인 중심의 실행에서 교사의 수업과 학생의 학습은 교과서가 교육과정을 반영하는 방식에 따라 좌우된다. 교사는 교육과정 및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관계를 알지 못하며, 단지 교과서만 보고 수업을 한다. 따라서 교과서가 교육과정을 변형하거나 충분히 반영하지 않는 경우 교육과정은 충실하게 실행되기 어렵다. 교육과정을 그 의도대로 충실하게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실현 가능하고 구체성이 있으며, 교사에게 쉽게 이해되는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교육과정을 충실하게 반영하는 교과서를 개발하며,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교사에게 충분히 제공하구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교사 교육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factors of implementing the curriculum for the department of the Korean language, and analyzing the aspects that each factor operates through observing the teaching materials and the classes to which the 7th curriculum is applied. In the meantime, the concern with a curriculum has been concentrated on developing it, and little concern has been given to the curriculum which has been already developed and is being implemented. As the result, the criticism that a curriculum has not brought any change to actual educational fields is numerous, but the positive data indicating what has not been changed how and why changes did not occur are difficult to find out. Since a curriculum is meaningful only when it is carried out in school classrooms, examining the aspects that it is implemented is significant working which becomes basic in diagnosing educational problems and seeking suitable solutions for them. In this study, first of all, the factors of implementing the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categorized into the curriculum itself, textbooks, teacher`s guide books,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 effects that each factor has on implementing a curriculum have been analyzed through study of literature. A curriculum is again divided into the factors of suitability, feasibility, definiteness and concreteness, and a textbook is subdivided into the factors such as the methods of composing a unit, the learning objectives of a unit and the methods of selecting contents, and the system of composing a unit. A teacher is the subject of implementing a curriculum and his view of a curriculum and his belief and attitude towards it, his methods of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it, his methods of using textbooks, his methods of operating and evaluating his classes, a curriculum council and so on affect the implementation of a curriculum. A student is the subject of education and his interest towards a curriculum and textbooks, his learning attitudes, his cognitive abilities, his socioeconomic background and home environment, and the like are the factors of affecting the implementation of a curriculum. In this study, I selected one from speaking area of the 7th middle school curriculum, analyzed the contents of a curriculum and its relatedness to teaching materials, and the aspects that it is implemented in classes, and schematized as a model the process that the initial intention of a curriculum is implemented as the learning of students from fidelity perspective. Based on this, I typified the aspects that the curriculum for the department of the Korean language was implemented as the implementation model centered on the factor of textbooks. In the implementation model centered on the factor of textbooks, the class of a teacher and the learning of students depend on the methods in which textbooks reflect a curriculum. In this model, a teacher cannot know a curriculu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t and textbooks, and gives classes only looking at textbooks. Thus, in case that textbooks transform or do not reflect fully a curriculum, a curriculum is difficult to implement faithfully. Implementing a curriculum faithfully according to the intention needs developing a feasible, concrete curriculum which is easily understood to teachers, developing textbooks reflecting a curriculum faithfully, providing teachers with the informa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educating teachers for improving their expertness. environment, and the like are the factors of affecting the implementation of a curriculum. In this study, I selected one from speaking area of the 7th middle school curriculum, analyzed the contents of a curriculum and its relatedness to teaching materials, and the aspects that it is implemented in classes, and schematized as a model the process that the initial intention of a curriculum is implemented as the learning of students fro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