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근대소설 장르 형성과정 논의의 제 문제 (On the Formative Process of the Genre of Modern Korean Novel)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09.12
33P 미리보기
한국 근대소설 장르 형성과정 논의의 제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42호 / 67 ~ 99페이지
    · 저자명 : 박상준

    초록

    본고는 한국 근대소설 장르의 형성과정을 검토하는 데 필요한 방법론적 구도를 모색하고 근대소설 장르 형성기의 특징을 지적한 뒤 향후 연구가 필요한 지점들을 제시함으로써, 관련 논의를 생산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바탕을 구축해 보았다.
    초창기 근대소설사가 그대로 장르 형성기와 맞물리는 한국 근대소설의 특징을 왜곡하지 않기 위해서는 포괄적인 연구방법론이 필요하다. 소설작품들의 특성과 문인들의 장르 의식, 독자들의 문학 수용 관습, 소설의 매체 및 환경이라는 네 가지를 포괄적으로 검토하여 상호영향관계에 따른 특징을 규명해야 한다.
    한국 근대소설 장르는 작가들의 장르 의식과 문학 환경 사이의 긴장관계 속에서 형성되었다. 사정이 이러하였기에 작가들이 의식한 근대소설 장르와 그들이 발표한 작품의 실제 사이에 거리가 존재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점은 애국계몽기의 소설에서 1920년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확인된다.
    위의 거리에 의해 형성기 한국 근대소설은 장르적 동요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분량 면에서의 불안정성`과 `다양한 장르 교섭 양상`으로 확인된다. 전자는 소품과 단편, 중편, 장편이 혼재하는 양상을 통해 명확히 확인되는데, 이를 통해서, 1920년대에 이르기까지 중편소설이나 장단편의 장르적 안정성이 확보되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후자는 형성과정에 있는 근대소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특징으로 한국 근대소설의 경우도 여타 문학 장르나 서사 요소가 혼합되다시피 한 양상을 보인다.
    1930년대 소설계가 보이는 근대소설의 정립상을 근대소설 장르의 형성이라는 면에서 확증하기 위해서는 다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첫째는 분량 면에서의 장르규범의 구축 양상이고, 둘째는 대중문학의 타자화 현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구성 면에서의 규범화 양상이며, 셋째는 발표 매체 등 문학 환경의 변화 양상이고, 끝으로 넷째는 `작가의 언어`의 증감 양상 등 소설 언어의 분석이다. 이상 네 가지는 한국 근대소설 장르의 형성과정을 밝히는 추후의 연구들이 발전시켜야 할 문제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make a proper methodology for investigating the formative process of the modern Korean novel, to make clear the peculiarities of that process and to suggest the themes which should be studied henceforth. In short, the end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ramework for future research.
    In order not to misunderstand the peculiarity that the formative process of the modern novel genre in Korea is at thesame time the history of the modern Korean novel, a comprehensive research method is needed. The new method should cover these four elements: features of works, authors’ genre consciousness, readers’ customs for appreciating works and media environment. Using this method, it will be possible to investigate the peculiarities which come from the interaction of those four elements.
    The genre of the modern Korean novel has been formed in the conflict between authors’ consciousness and the environment of literature. So the reality of the modern Korean novel genre can be described properly only in the consideration of the gap between the two elements which is continuously found until the 1920’s. Due to the conflict there happened a generic instability which resulted in the inconsistency in length of a work’ and ‘the interaction with various texts’. The former can be found in the coexistence of very short narratives, short stories, novelettes and novels, none of which had normative rules in narrative length. This coexistence shows that there were not apparent borderlines among these narratives and that the identity of the sub-genres of novelette or short story were not formed until the 1920’s. The latter is such a common feature of the modern novel in the formative process that various narratives, lyrics and other texts are utilized in the formation of the genre of the modern Korean novel.
    The fact that the genre of the modern Korean novel was established in the 1930’s can be confirmed by further studies on these four themes: (1) the formative process of the rules in the
    length of work, (2) the standardization of narrative formation in sub-genres which may be reasoned by confirming the advent of discourses excluding popular literature, (3) the changes of the environments of literature and (4) the analysis of the voices of a work especially the variations of ‘the voice of narrator-auth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