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제주인의 표류 발생 배경과 실태 (Background and State of Jeju People's Drift in Joseon Dynasty)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8.02
39P 미리보기
조선시대 제주인의 표류 발생 배경과 실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탐라문화 / 57호 / 202 ~ 240페이지
    · 저자명 : 김나영

    초록

    본 논문은 조선시대 濟州島라는 특정 공간을 중심으로 濟州人들이 해상활동을 전개해 나가는 가운데 예기치 않게 발생하였던 海難事故 중 ‘漂流’라는 일련의 사건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사료 속에 단편적으로 산재해 있는 제주도 표류 관련 사례들을 우선 정리, 연표로 작성함으로써 보다 通時的이고 共時的인 안목을 기반으로 제주도를 중심으로 전개된 漂流史의 전체상을 파악하였다. 아울러 표류 제주인들의 항해 전말을 담은 問情기록을 통해 제주인들의 표류 발생 배경을 보다 구체적으로 들여다봄은 물론, 그 실태를 계량화하여 파악해 보았다. 본고에서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로, 조선시대 제주해역을 둘러싼 표류가 어떠한 배경과 요인에 의해 발생되었는가를 우선 살펴본 결과, 제주도는 邈在海外・四海孤島의 火山島이자 强風多風의 섬, 육지에서는 대체 불가능한 進上品과 貢物의 생산지라는 자연지리적 입지조건과 더불어 그에 수반되는 護送 등 조선조의 정치・사회・경제적인 복합적 제반 상황에 기인하여 제주인들은 자의적・타의적으로 바다로 향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표류라는 일종의 우발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해난사고에 노출될 가능성이 컸다. 전근대 제주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諸國들의 해상교류에 있어 어느 정도의 해양환경을 이용한 경험과 지식이 축적되어 일정한 항로가 형성되어 있었으나, ‘礖’라는 제주바다 주변의 독특한 해저지형과 제주도를 둘러싼 바람(계절풍)・태풍・해류・조류 등이 기존 해상활동의 고정적 틀을 파괴시키는 變數로 작동하여 제주도 해역을 오고 가는 선박들의 표류를 유발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이러한 배경 속에 발생되었던 조선시대 제주인들의 표류 실태를 각종 사료를 통해 ‘出海-漂流-漂着-送還’이라는 표류 顚末을 역추적하여 그 발생 규모와 빈도를 시계열적으로 파악한 결과, 제주인들은 365건・4,427명[사망자 760명]이 해난사고와 직면하였고, 이들 중 82.8%에 해당하는 3,667명은 해난사고로 말미암아 일본・유구・중국・대만・안남 등지로 표류해 그곳 국가들로부터 구조・송환되어 본국으로 살아 돌아왔음이 확인되었다. 단편적으로 잔존해 있는 역사적 기록 자체에 의거한 통계이지만, 80%를 웃도는 높은 생존율을 본다면 전근대 시기 조선을 포함한 동아시아 국제질서 속에서 상호 호의에 입각한 표류인 송환체제가 작동되어지고 있었음을 살필 수 있었다.
    요컨대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그동안 단편적으로 연구되어 왔던 제주도의 漂流史를 보다 넓은 시야에서 조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며, 향후 본고에서 파악한 제주인의 표류 실태를 입체적으로 분석하여 표류 제주인의 존재적 의미를 해명함은 물론, 당시 제주인들의 해상활동 양상과 함께 제주사회의 경제구조 실태를 재조명해 나가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a chain of events, ‘drift’, among maritime accidents that had occurred while the Jeju Islanders were conducting maritime activity in a specific location, Jeju island. The cases related to drifting in Jeju Island, which were scattere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historical records, were summarized and chronologically organized. By doing this, the history of drift focused on Jeju Island could be identified based on diachronic and synchronic perspective. With this reference, the background of drift occurrence of Jeju Islanders and its real conditions could ultimately be understood. Through a record of Munjeong, which includes full account of the drifted Jeju Islanders’ voyages, the aspect of Jeju Islanders’ maritime activities and an economic structure of Jeju society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ccurrence of drifted Jeju Islanders was caused by the distribution of unique submarine topography such as coral reef around the Sea of Jeju. As the winds (seasonal winds), typhoons, ocean currents, and tidal currents surrounding Jeju Island, it acted as variables to destroy the fixed framework of existing maritime activities and caused the drifting vessels around the Jeju Island. Moreover, the tax collecting system became intensified after the 15th century and there were some local products that could not be replaced with products in land. To prepare local tribute and tribute to the King for each period and for its transportation, it became unavoidable for the Jeju Islanders to go out to the ocean. Due to this reason, they had high chance to be exposed to unexpected marine accidents such as drift.
    Second, through studying the actual situation of drifting of Jeju Islanders in the Joseon Dynasty from many references, the full account of drifting was back-tracked as ‘Go out to sea–Drift–Drifting ashore–repatriation’After examining its occurrence scale and frequency as time sequence, 365 times・ 4,427 Jeju Islanders [760 deaths] faced with the marine accidents. Among these, 82.8%(3,667) of Jeju Islanders came back alive because they were rescued and repatriated after they became drifted to Japan・Ryukyu Kingdom・China・Taiwan・Annam because of the marine accid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탐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