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초기 俗祭 의례에서의 예악 정비 (A Study on the Ritual and Music for Local Ancestral Rituals in the Early Joseo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25.05
32P 미리보기
조선 초기 俗祭 의례에서의 예악 정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報 / 99호 / 197 ~ 228페이지
    · 저자명 : 정연주

    초록

    본 연구는 조선 초기 俗祭 의례 가운데 문소전 의례를 중심으로 예악 정비의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속제는 속례를 적용한 제사로, 살아있을 때 먹던 음식, 평소에 듣던 음악 등이 속례에 해당한다. 이러한 요소를 기준으로 하여 국조오례의 속제가 정리되었고, 이에 문소전 의례가 포함되었다. 문소전은 왕실 조상을 살아있을 때처럼 모신다는 원칙 하에 육선과 유밀과를 포함한 일상식, 그리고 생전 연향에서 주로 쓰이던 향악과 당악이 사용되었다. 기존에 주목하지 않았던 음악을 살펴보면 조선 초기 원묘였던 창덕궁 문소전과 광효전에서는 관례대로 의례에서 단순히 음악을 연주하는 것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세종 15년 경복궁 문소전이 새로 설치되고 원묘 의례가 재정비되면서 각 절차에 사용되는 음악이 의미에 맞추어 기능하게 되었고, 제사에서 역할을 가지게 되었다. 국조오례의 문소전 의례에서는 제사 대상에 초점을 맞춘 음악이 추가되고, 제사 행례자가 강조되는 음악은 삭제되어 제사로서의 본질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비되었다. 또한 다른 길례의 구조와 일치되도록 의례와 음악이 수정되었으며, 의례의 시작과 끝에 맞추어 음악 연주의 시점이 정리되었다. 의주뿐 아니라 실제 설행 시에도 예와 악이 끊기지 않고 긴밀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조정하여 의례 속에서 예와 악의 결합이 이루어졌음이 확인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reorganization of Ritual and Music systems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rites of Munsojeon Hall among the Local Ancestral Rituals. Local Ancestral Rituals refer to a category of ancestral rites distinct from state rites like those performed at the Jongmyo Shrine, incorporating elements such as the food and music once enjoyed by the deceased. Based on these principles, Local Ancestral Rituals section of the National Five Rites Manual was compiled, which includes the rituals of Munsojeon Hall. Following the principle of honoring royal ancestors as if they were still living, the Munsojeon Hall rites included everyday foods such as yukseon and yumilgwa, and played both Hyang-ak and Tang-ak, which were commonly used in royal banquets.
    Before Munsojeon Hall was established at Gyeongbokgung Palace, music in ancestral rituals was performed in a routine manner without specific ritual function. However, in the 15th year of King Sejong’s reign, with the construction of Munsojeon Hall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Wonmyo rites, changes were introduced that gave musical pieces functional roles within the ritual procedures. In National Five Rites Manual's account of the Munsojeon Hall rites, music that emphasized the king was removed, while music focusing on the ritual subject-the ancestral figure-was added, reinforcing the essence of the ritual. Moreover, the timing of musical performance was reorganized to align precisely with the beginning and end of each procedure, and in actual ceremonies, care was taken to ensure smooth transitions between ritual acts and music. This allowed for a more organic and continuous integration of Ritual and Music throughout the ceremony.
    Key Words : Local Ancestral Rituals, Munsojeon Hall, Hyang-ak, Tang-ak(Tang Music), Ritual and Mus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