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4단계 자율주행차 보험법제 모색 (The Insurance System on Level 4 Autonomous Car Accident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20.06
33P 미리보기
제4단계 자율주행차 보험법제 모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사판례학회
    · 수록지 정보 : 상사판례연구 / 33권 / 2호 / 249 ~ 281페이지
    · 저자명 : 임수민

    초록

    레벨 4 자율주행차는 레벨 3 자율주행차에 비해서 고도화된 기술을 탑재하고 있으나, 네트워크와 도로가 완벽하게 갖추어진 지역에서만 운행이 가능해서 운행지역이 제한적이라는 특성이 있다. 레벨 3 자율주행차에는 인간 운전자가 탑승하고 인간 운전자에게 비상시 개입의무도 인정되기 때문에 현행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체계 내에서 운전자에게 운행자책임을 지우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을 매개로 해서 자동차보험 단일보험으로 피해를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레벨 4 자율주행차에 대해서는 책임법제와 보험법제를 대폭 수정할 필요가 있다. 자동차 제조사, 소프트웨어 개발사, 네트워크 관리자, 도로관리자 등 다양한 책임주체가 등장하는데, 그 중에서 가장 주축이 되는 책임주체는 자동차 제조사이고, 보험은 자동차 보험이 아니라 제조물 책임보험을 포함한 광의의 책임보험이 주축이 될 것이다.
    책임법제를 설계하는 구체적인 방식으로는 영미의 ADSE 방식이나 ADP 방식과 독일의 의제적 방식을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우리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은 영미와 달리 준(準)무과실책임주의에 입각하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영미식의 방식을 채택해야 할 필요는 없고, 독일식도 가능하다. 그러나 자율주행시스템이 고도화될수록 독일의 의제적 방식은 설득력을 얻기 어렵다.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식을 취할지에 대해서는 레벨 4 기술개발과 운행방식에 관한 추이와 세계적인 입법 추이를 좀 더 지켜보고 결정해도 늦지 않다고 본다.
    그보다는 레벨 4 자율주행차 사고에 대한 제조물 책임과 제조물 책임법제를 명확히 하는 것이 더 시급하다. 현행 제조물 책임법의 해석론에 의해서도 제조사에게 책임을 지우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법적 불확실성을 제거하기 위해서 제조물 책임법을 개정하거나 특별법을 제정하여 레벨 4 자율주행차 사고에 대한 차량제조사의 책임을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자율주행시스템을 제조사가 주도적으로 개발했는지 여부, 차체부품과 자율주행시스템을 조달받은 경우 당해 회사 간의 계약의 내용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사고유형별 네트워크 관리자와 도로관리자의 책임 등 구체적인 사안별로 책임의 주체와 범위를 명확히 하는 입법이 필요하고, 그 책임을 보험을 통해서 처리할 수 있도록 적합한 보험의 개발이 요구된다고 본다.

    영어초록

    Level 4 autonomous cars have more advanced technology compared to Level 3 autonomous cars, but they can only be operated in areas with complete networks and roads, so the driving area is limited. Since Level 3 autonomous cars need a human driver, and the human driver is also obliged to intervene in an emergency,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driver's liability from the current automobile damages and compensation system. Through this, the auto insurance can be used to compensate for damages. However, for Level 4 autonomous cars, a significant revision of the liability law and the insurance law is required. Various responsible entities, such as automobile manufacturers, software developers, network managers, and road managers appear. Among them, the most liable entity is the automobile manufacturer, and insurance is not car insurance, but broad liability insurance including product liability insurance.
    As a specific method of designing the liability system, we can consider both British-American system and the German system. Unlike the British-American law, the Korean GUARANTEE OF AUTOMOBILE ACCIDENT COMPENSATION ACT is adopting quasi-fault liability system. Therefore we can adopt the German system, as well as the British-American system. However, it is harder to accept the German system in advanced automated driving cars. I think that it is not too late to decide this kind system on the Level 4 cars after the global legislative trend is formulated.
    Rather, it is more urgent to clarify the Product Liability Act and Product Liability Insurance Law for Level 4 autonomous car accidents. Although it is possible to make the manufacturer accountable by the interpretation of the current product liability law, I suggest the amendment of the Product Liability Act or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act to remove legal uncertainty, which clearly and specifically establishes the liability of the vehicle manufacturer for Level 4 autonomous car accidents.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law or the law amendment should clarify who or what is the most liable entity in specific cases. The liable entity and the scope of the liability is supposed to be decided upon whether the car manufacturer developed the autonomous system by himself and the content of the contract between the companies. Furthermore, the suitable insurance products should be developed to make compensation effec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사판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