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관료제의 근대성과 비판전통 (Modernity of Chinese bureaucracy and criticis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6.08
34P 미리보기
중국 관료제의 근대성과 비판전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학연구 / 63호 / 187 ~ 220페이지
    · 저자명 : 김창규

    초록

    본고는 우드사이드(A. Woodside)의 논의를 중심으로 삼아 중국 관료제의 근대성을 짚어보고, 더 나아가 관료제 사회의 문제점과 이에 대한 비판을 추적하여, 동아시아 전통 속의 근대성을 재사유하자는 의미에서 기획된 글이다.
    근대화의 척도로서 서구 중심적 근대성은 서구 편향을 가질 수밖에 없다. 그런데 최근 서구 중심적 근대성에 대해 서구 및 동아시아 학계에서 비판이 제기되어 오고 있다. ‘다중근대성’과 ‘유교근대성’은 그 대표적인 논의이다.
    직업적 엘리트에 의해 귀족제가 대체된 것을 근대성의 한 조건으로 간주한 우드사이드는, 과거를 기반으로 하는 宋代 관료제가 매우 근대적인 제도였으며, 유럽보다 훨씬 더 일찍 선취했다고 본다. 세습적 권력이 아닌 인재 교육을 바탕으로 하는 통치 실현은 이성이 일궈낸 합리화의 과정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 관료제 하에서 문서와 능력 본위의 정치가 시행되었고, 자유로운 토론과 논쟁이 전개되었다는 것이다.
    서구적 근대성에 비판적인 논의들은 송대에 실시된 鄕約이 근대적인 것의 전조로서 공동체 의식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본다. 또한 社倉은 민간에 공공적 공간을 만들어 사회의 변동에 부응하는 질서를 수립하고자 한 것으로 평가한다. 이로써 보면 후진적 권력과 봉건적 경제 형태로 특징 지워진 동아시아에 대한 기존의 인식은 부정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료제가 지닌 문제점을 가벼이 할 수 없다. 전제 권력의 강화, 비현실주의, 관료의 비리와 부패, 행정의 비효율성, 사회적 실천에서 구체화된 유교의 병폐 등이 그것이다. 더불어 관료제를 떠받치는 과거제도와 그 시행이 초래했던 갖가지 폐단 등은 ‘근대성’을 부정하는 논거가 되기도 한다.
    근대성은 ‘단순한 모사에 의해서 뒷받침된 질서를 거부하는 정신적 태도’이며, ‘자기 자신을 자발적으로 갱신하여 활성화시키는 시대정신’이다. 곧 전통에 대한 내부의 비판과 수정은 근대성의 중요한 측면이자 자산이라 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고자 했던 인물로 李贄와 黃宗羲를 들 수 있다. 인간의 욕망을 인정한 이지는 정통유학의 권위와 윤리에 비판을 가했다. 때문에 그는 이단으로 내몰렸지만, 그의 비판 정신은 개혁 혹 혁명가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민본주의에 입각한 황종희의 사상은 선진적이고 개혁적이었다. 그의 사상이 당시에 수용되지 못했지만, 그의 공리적 민본 정치사상은 청말 민국 초 변화된 사회의 요구에 적합한 논리로서 환영받던 이론이 되었다.
    관료제와 비판성을 내용으로 하는 중국의 근대성은 19세기 말부터 상실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유교적 전통과 유산의 일부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구질서의 몰락에도 완전히 사라져버리지 않았다. 관료제는 그 위험요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남아 있는 것이다.
    하지만 관료제 하의 근대성이 오늘날까지 연속성을 갖는지는 의문이다. 관료제 사회의 가장 중요한 유산은 내부 비판이었으나, 오늘날 비판성은 줄어들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이지와 황종희의 회의와 비판까지를 담을 수 있는 근대성을 재사유해야 한다. 재사유한다는 것은 동아시아 전통 그리고 비판성을 새롭게 발견하고 복원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중국의 근대성을 재사유함에 있어서 中華性은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이다. 왜냐하면 서구 근대성에 대한 비판을 기회로 삼아 중국의 문화적 위치를 새롭게 정위시켜 문화적 패권주의로 발전할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Western-centered modernity as a barometer of modernization can not help being Western-bias. Nowadays such Western-centered modernity is criticized by the academic world of the West and East Asia. The related leading discussion is on ‘Multiple modernities’ and ‘Confucian modernity’.
    Woodside regarded it as a condition of modernity that the aristocracy was replaced with the professional elite, and thought the bureaucracy of the Song dynasty based on the state examination called Gwageo was a very modern system much earlier than that of Europe. According to him, the governing system based on elite education, not on hereditary power is a process of rationalization by reason, and under such a bureaucracy, document and merit-based politics was enforced, with open discussion and arguments.
    Discussions critical of Western modernity regard Hyangyak, the village code conducted in the Song dynasty as a prelude to modernities to form a sense of community, and Sachang, the village granaries is estimated as the one to establish social order meeting with social changes by building a public building.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deny the existing view of East Asia featured with underdeveloped power and feudal economic system.
    Nevertheless, we should not overlook the problems with bureaucracy, which includes strengthened dictatorship, unrealism, bureaucratic irregularity and corruption, inefficient administration, and Confucian ills represented in social practice. In addition, Gwageo system as the state examination supporting bureaucracy and its negative effect came to the grounds to deny ‘the modernity’.
    Modernity is not only ‘Mental attitude rejecting order supported by a copy’, but also ‘Spirit of the times which renews and activates oneself initiatively’. That is, internal criticism and revision of tradition is a key point and asset of modernity.
    It is Li zhi and Huang Zong-xi who tried to represent that. Li zhi who admitted human desire criticized the authority and ethics of traditional Confucianism, which made him called a cult. But his criticism had a major effect on the reformers and revolutionists. Huang Zong-xi’s thought based on democracy was advanced and innovative. His thought was not accepted at that time, but his political thought of utilitarian democracy was welcome during the period of the late Qing dynasty and the early Republic of China as a theory and suitable logic for changing social demand.
    Chinese modernity based on bureaucracy and criticism began disappearing from the late 19th Century. But, Confucian tradition and part of the heritage did not disappear fully despite the downfall of old order in East Asian area. Bureaucracy still remains in spite of the dangerous element it has.
    But it is quite doubtable that there is continuity between modernity under bureaucracy and that of today. The most important heritage of the bureaucratic society was internal criticism, but today’s criticism is decreasing. Thus, we should rethink of the modernity which can contain Li zhi’s and Huang Zong-xi’s skepticism and criticism. Rethinking here means that we should newly discover and restore East Asian tradition and criticism.
    Sino-centrism must be reviewed in rethinking Chinese modernity. Through the criticism against Western modernity, it is because that may be developed into a cultural hegemony by newly arranging the cultural position of Chi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