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간제 근로계약의 해지에 관한 소고 ― 근로자의 사직과 민법 제661조의 부득이한 사유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ermination of Fixed-term Employment Contract — Focusing on the employee’s resignation and unavoidable cause in the Article 661 of Civil Code —)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21.03
35P 미리보기
기간제 근로계약의 해지에 관한 소고 ― 근로자의 사직과 민법 제661조의 부득이한 사유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노동법연구 / 50호 / 1 ~ 35페이지
    · 저자명 : 정재욱, 김종현

    초록

    사용자의 일방적 의사표시에 의한 근로계약 해지, 즉 해고는 근로기준법에 따라 엄격히 제한된다. 그런데, 근로자의 일방적 의사표시에 의한 근로계약 해지, 사직과 관련하여서는 근로기준법에 별다른 규정이 없다. 이에 근로자의 사직에 대해서는 「민법」의 규정이 적용된다. 「민법」 제661조는 고용기간의 약정이 있는 경우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계약을 해지할 수 있도록 정하고 있다. 이에 사용자가 기간제 근로자의 사직을 수락하지 아니할 경우, 단체협약・취업규칙・근로계약 등에 별도 규정이 없는 이상, 기간제 근로자는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근로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이러한 규정에도 불구하고 부득이한 사유가 없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계약을 자유롭게 해지할 수 있고, 다만 상대방에 대하여 조기사직으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할 뿐이라는 해석이 학계와 실무에서 심심치 않게 발견된다. 그런데 이러한 해석에는 별다른 법적 논증이 존재하지 않으며, 있더라도 「근로기준법」 제7조에 규정한 강제근로의 금지가 그 근거로 제시된다. 그러나 「민법」 제661조의 내용, 「근로기준법」 제7조의 내용과 입법취지 등을 고려해보았을 때 ‘부득이한 사유’가 없는 경우에도 기간제 근로자가 사직할 수 있다는 결론은 도출되지 않는다. 기간제 근로자의 사직은 실무상 좀처럼 쟁점화 되지 않아 왔다. 이러한 이유에서 기간제 근로자의 사직에 대한 엄밀한 법적 논증도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근로자의 사직이 다른 법률관계와 연계될 경우, 해약의 자유, 사직의 효력발생여부 및 그 시기는 상당히 중요해질 수 있다. 또한, ‘사업의 완료 또는 특정한 업무의 완성에 필요한 기간을 정한 경우’ 2년을 초과하여 기간제 근로자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민법」 제661조에 따라 기간제 근로자의 해약의 자유가 제한될 수 있으므로 장기간 근로의 계속 강요의 문제가 현실화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기간제 근로계약의 해지, 사직의 효력 발생에 대해 엄밀한 법적 논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While Korean labor law strongly restricts the unilateral termination of fixed-term employment by an employer, it remains silent to fixed-term employee’s right to terminate the employment contract (i.e. resignation). Faced with such a silence, interpretations should be derived from the underlying principles of the contract law provided in the Korean Civil Code. Article 661 of Civil Code prescribes “Even where a fixed period for the employment has been set by the parties, either party may, if any unavoidable cause arises, terminate the contract for the future: Provided, That if such cause arises out of the negligence of one of the parties, such party is liable for damages to the other party.” The clause clearly states that both parties of the fixed-term employment hold the right to terminate only when there arises an ‘Unavoidable Cause.’ However, some theories assert Article 661 should not apply when it comes to the fixed-term employee’s right to terminate in the middle of the employment period since such narrow recognition of fixed-term employee’s right to terminate violates the Labor Standards Act Article 7: Prohibition of Forced Labor. However, given that Article 7 was legislated to protect employees from forced labor through the means that unduly restricts the freedom of employees, such as violence or intimidation, it is highly doubtful that it could work as a ground to provide fixed-term employees with the right to terminate the contract. Although it is widely perceived that fixed-term employees should be able to unilaterally terminate the employment contract like permanent employees, it should not be ignored that the legislators have also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the employment contract by restricting the right to terminate to a certain degre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