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례』와 선진 제자서의 상례 비교 (The Comparison between “the Book of Etiquette and Ceremonial” and the Hundred Schools of the Contents about Funeral Rite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8.11
26P 미리보기
『의례』와 선진 제자서의 상례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59호 / 215 ~ 240페이지
    · 저자명 : 윤무학

    초록

    이 글은 『의례』에 보이는 상례 관련 내용을 선진 제자서의 내용과 비교한 것이다. 고대 상례에 관련된 가장 직접적이고 체계적인 문헌은 『의례』이다. 이것은 내용상에서 『좌씨전』, 『묵자』, 『순자』 등의 선진 제자서에 반영된 것도 있고 반면에 상호 어긋나는 내용도 있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한 이유는 고대의 『의례』를 비롯한 예경(禮經)이 성립되는 과정에서 일부 내용이 이미 제자서에 반영되기도 하고, 반대로 제자서의 내용이 후대 유가에 의해 예경에 편입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우선 『의례』 상복 편의 기본 내용은 선진 제자서에 대체로 반영되어 있고 공통적인 내용이 많다. 대표적으로 부모와 군주를 위한 삼년상은 유가에서 공통적으로 선양한 것이다. 비록 묵가에서 유가의 후장구상(厚葬久喪)에 대해 반대하지만, 『의례』의 상복제도는 적어도 춘추시기에 이르기까지 사람들의 보편적 인식이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의례』와 제자서에 반영된 내용에서 공통적으로 복상(服喪) 대상이 성인인가의 여부에 따라 상복에 차이를 두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선진 제자서에 반영된 상례 관련 내용은 『의례』의 규정과 다른 주장도 많다. 특히 제자서에 반영된 부모를 위한 상복은 『의례』의 규정과는 달리 사회적 지위의 다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부모와 군주를 위한 상복제도와는 달리 아내와 첩을 위한 제도는 『의례』의 규정과 다른 내용이 많이 보인다.
    현행본 『의례』 「상복」 편에 나열된 규정은 복상 주체와 대상의 신분에 따라 상복과 상기를 달리하기 때문에 당시에는 물론 역사적으로도 엄밀하게 시행되기 어려웠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친친”의 부자관계에 기초해서 자식을 위한 상례는 비교적 분명하고, 군주와 부모를 위한 상례는 명확히 규정되고 강조된 반면에 신하와 아내를 위한 상례는 규정이 없거나 모호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삼강”(三綱)이라는 용어가 한대(漢代) 정치윤리 이념을 반영한 동중서(董仲舒)의 『춘추번로』(春秋繁露)에 처음 보이는 것이지만, 내용상으로는 이미 『의례』에 반영된 것이라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the contents about funeral rites in “the Book of Etiquette and Ceremonial”(儀禮) were compared to those in the books of Hundred Schools of Thought. The most direct and systematic document related to funeral rites is “the Book of Etiquette and Ceremonial”. Some of its contents had been reflected in the books of Hundred Schools of Thought, such as “Zuo Zhuan”, “Mozi” and “Xunzi”, while others didn't agree with one another. It happened because some contents had been already reflected in the books of Hundred Schools of Thought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scriptures about manners including the ancient “Book of Etiquette and Ceremonial”, and because, on the contrary, the contents of the books of Hundred Schools of Thought had become included in the scriptures about manners by following Confucianism.
    First, the basic contents of Chapter ‘Mourning Clothes’ in “the Book of Etiquette and Ceremonial” were generally reflected in the books of Hundred Schools of Thought, and there are many contents in common. Most prominently, three-year-mourning for parents and a king had been enhanced in Confucianism commonly. Although Mohism opposed Confucian luxurious and long funerals (厚葬久喪), the mourning clothing system in “the Book of Etiquette and Ceremonial” can be said to have been people's universal understanding until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at least. In addition,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mourning clothes depending on the one who wore them was an adult or not both in “the Book of Etiquette and Ceremonial” and the books of Hundred Schools of Thought. On the other hand, many arguments in the contents about funeral rites reflected in the books of Hundred Schools of Thought were different from the rules in “the Book of Etiquette and Ceremonial”. In particular, the mourning clothes for parents reflected in the books of Hundred Schools of Though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depending on social positions, which was dissimilar to the regulations in “the Book of Etiquette and Ceremonial”. Also, different from the mourning clothes system for parents and a king, the system for a wife and a concubine was dissimilar to the rules in “the Book of Etiquette and Ceremonial” in many ways.
    Since the regulations of Chapter of ‘Mourning Clothes’ in the present version of “the Book of Etiquette and Ceremonial” suggest different mourning clothes and periods depending on who wears the mourning clothes and what social position the deceased had, it seems difficult to implement them strictly historically as well as at those times. Especially, while the funeral rituals for a child was relatively clear based o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of “affection” and those for a king and parents were plainly regulated and emphasized, the rules of those for a vassal and a wife were absent or ambiguous in many cases. Therefore, the term of “the Theee Bonds”(三綱) appeared first in Dong Zhongshu(董仲舒)'s “Luxuriant Dew of the Spring and Autumn Annals”(春秋繁露) that reflected the ideology of political ethics of Han Dynasty(漢代), but regarding its contents, it can be said to have been already reflected in “the Book of Etiquette and Ceremoni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