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이주법제의 변천과 전망 (A Study on the Changing and Prospective of Migration Law in Ko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6.02
28P 미리보기
한국 이주법제의 변천과 전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일감법학 / 33호 / 505 ~ 532페이지
    · 저자명 : 최윤철

    초록

    산업화와 세계화 현상은 한국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다. 보다 나은 생활조건과 환경을 찾아 이동하는 현상은 전세계에 걸쳐서 일어나고 있다. 이주현상은 특정 국가에만 국한 되는것이 아니라 모든 국가에 해당되며, 모든 국가가 대응하는 초국가(超國家)적인 현상이다.
    최근의 산업화와 개방을 경험한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특히 저출산과 고령화는 한국 사회의 지속발전의 중요한 위협요인이 되었으며, 급속한 도시화는 국가의 균형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 요인이 되었다. 노동력 공급의 불균형은 제조업과 농어업 인력의 심각한 부족을 가져왔다.
    1990년대 중반부터 급증한 외국인의 유입은 대체적으로 외국인 노동자, 재외동포, 결혼이민자, 유학생, 난민 등으로 유형화 할 수 있다. 2000년대에 제정된 외국인 법령도 이러한분류에 기초하고 있다. 이주 현상을 예상하지 못하거나 할 수 없었던 입법자에 의해 만들어졌던 ‘국적법’, ‘출입국관리법’도 대폭 개정되었다. 2000년 초반의 ‘외국인 근로자 고용 등에 관한 법률’, 2000년대 후반에는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 ‘다문화가족 지원법’, ‘재외동포의 법적지위에 관한 법’, ‘결혼중개업법’등이 새로이 제정되거나 대폭 개정되었다. 2010년대에는 ‘난민법’이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다.
    한국의 이주관련 법제는 단기간에 마련되고 이에 기초한 정책과 추진체계도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졌다. 다른 국가들이 장기간에 걸쳐서 이주민에 대한 법령과 정책들을 준비하여 왔던 것에 비하면 매우 이례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한편으로는 한국사회의 구조적인문제의 심각성과 이주현상에 대한 한국사회의 신속한 대응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다른한 편으로는 사회의 충분한 합의가 부족한 가운데 정부의 주도에 의해서 이루어짐으로서사회의 자율적 기제가 부족하여 법령이 실질적인 효력을 발휘하는데 한계가 생기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단기간에 급증한 외국인과 외국계 국민은 한국사회에 새로운 기회와 도전이다. 한국사회의 기존 구성원과 이주민과의 통합은 한국사회의 지속발전의 본질적인 요소이다. 이주민을 한국사회의 동등한 구성원으로 보고 긴장과 갈등을 최소화 하면서 이들과 함께 한국사회 공동체의 발전을 모색하기 위한 실질적인 법제의 정비와 정책 및 추진체계의 정비가필요한 시점이다. 이미 이주사회를 경험하고 긴장과 갈등을 겪었던 다른 국가의 사례와 이주 20년을 맞고 있는 한국의 그간의 경험과 사례, 원주민과 이주민의 의견 등이 충분히 반영된 가운데 현행 법제도와 정책들에 대한 분석과 개선이 있어야 한다. 외국인, 이주자는 나와동등한 가치를 가지는 존엄한 인간이라는 생각이 기초가 되어야 한다. 한국 사회가 저출산⋅ 고령화로 인하여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어서 이를 해결하는 수단의 하나로서 외국인의 유입을 필요로 한다는 생각은 매우 위험하다. 이주자는 수단이 아니라 목적 그자체이다.

    영어초록

    Industrialization and globaliz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Korea. Migrating in search of better living conditions and environment occurs throughout the entire world. Migration is not limited to certain nations, but is relevant with all nations worldwide as a transnational phenomenon faced by them. Korea, which has recently experienced industrialization and openness toward migrants, is no exception. In particular, the low birth rate and the aging of population have become important threats for sustained development of Korean society, and rapid urbanization has become a factor that negatively shortage of manpower in manufacturing, agriculture and fisheries.
    The inflow of foreigners, which increased rapidly since the mid-1990s, can be generally categorized into foreign workers, overseas Koreans, marriage-based migrants, international students, and refugees. The law regarding foreigners enacted in the 2000s is also grounded in this categorization. The ‘Nationality Act’ and the ‘Immigration Control Act’, which had been made by legislators who didi not or could not expect the migration Phenomenon, were also drastically amended. There were enactments of new laws or drastic amendments, such as the ‘Act on the Employment, etc of Foreign Workers’ in 2003, and the ‘Framework Act on Treatment of Foreigners Residing in the ROK(2007)’,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Act(2008)’, ‘Act on the Immigration and Legal Status of Overseas Koreans(2004)’, and ‘Marriage Brokers Business Management Act(2007)’. In the 2012, the ‘Refugee Act’ was enacted.
    Foreigners and hyphenated Koreans that increased so rapidly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provide a new opportunity and challenge for the Korean society. Integration of the existing members of the Korean society and immigrants is the fundamental element of sustained development for the Korean society. Now is the time to see migrants as equal members of the Korean society and minimize tension and conflicts, organizing and modifying laws, policies and implementations systems in a practical way to seek development of Korean community along with the migrants. It ist necessary to analyze and improve the current legal system and policies in light of the case other nations that already experienced the migrations society and faced tension and conflicts, the experiences and case of Korea that is now celebrating the 20th years of migrations, and the opinions of natives and migrants. All that mist be grounded on the idea that foreigners and migrants are human beings with dignity who have equal values as us. It is a highly dangerous idea to think that the Korean society needs an inflows of foreigners as a means to resolve the issue of the decreasing competency of Korean society due to low birth and aging population. Migrants are nor a means bur the purpose itsel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감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