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을제 제천시설의 유형 연구 (A Study on the Types of Heaven Ritual祭天 Facilities for the Village Rites)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21.02
42P 미리보기
마을제 제천시설의 유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라시아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유라시아문화 / 4권 / 177 ~ 218페이지
    · 저자명 : 최수민

    초록

    한국 제천문화의 원형기인 서기전 4000년∼600년경 백두산 서편 지역에서 시작한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은 한반도 남부로 계승되어 청동기∼초기철기시대 다양한 유형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적석단ㆍ선돌ㆍ고인돌ㆍ나무솟대ㆍ제천사류)’로 이어졌다. 현존하는 마을제에 나타난 제천시설 유형은 청동기∼초기철기시대부터 이어지는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의 원형을 그대로 계승한 형태와 제천의 뜻이 희석되고 편의성이 부각되면서 여러 가지 현실적 이유로 민인들의 생활터전인 마을로 내려와 자리 잡은 제천시설 즉 구릉성 제천시설의 변형적 형태 두 가지 계통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이들 계통은 각각 단종(제단ㆍ신목ㆍ선돌ㆍ제천사ㆍ산) 유형과 서로 중첩되어 나타난 2종 복합 유형, 3종 이상 복합 유형으로 구분해서 나누어 볼수 있는데, ‘구릉성 제천시설’ 계통의 경우 야트막한 산등성이에 위치한 구릉성이라는 입지 조건하에 제단(적석탑), 신목, 선돌, 제천사, 산 등이 각각 또는 복합되어 나타나며 솟대와 장승은 희박한 편이다. 반면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의 변형적 형태인 ‘마을로 내려온 제천시설’ 계통의 경우 ‘구릉성 제천시설’ 계통과 비슷한 양상을 띄지만, 상대적으로 제천사의 숫자가 줄어들고 솟대와 장승이 더해져 형태상으로 더 다양하게 나타난다. ‘마을로 내려온 제천시설’ 계통이 ‘구릉성 제천시설’ 계통보다 형태상으로 다변화되는 이유는 산등성이 신성하고 정갈한 터에 자리 잡은 신목과 제천사에서 제천하던 전통이 후대로 갈수록 민인들의 삶의 터전 가까이로 내려와 제천의 신성성은 희석되지만 민인들의 다양한 기원과 바램을 담아 다양한 형태의 제천시설을 만들었기때문으로 짐작해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hilly heaven ritual facilities(with a moat) which had been started in the west of Mt. BaekDu around B.C. 4000 and kept to A.D. 600, the archetypal era of heaven rituals, was succeeded to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as various types of hilly heaven ritual facilities( the stone-mound altar․ the menhir․ the dolmen․ the tree Sotdae(heavenly pole)․ the shrine for heaven ritual) with a moat in the bronze and early iron ages.


    The existent heaven ritual facilities for the village rite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One is the type that inherited the original form of ‘hilly heaven ritual facilities (with a moat)’ in the bronze and early iron ages. The other is the modified types of ritual facilities (with a moat) that came down to the villages, people’s site of living for several realistic reasons such as the dilution of heaven ritual’s meaning and the emphasis on the convenience. The latter also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one is the simple type (including only one among the altar, the holy tree, the menhir, the shrine and the mountain). The second one is the double compound type. The third is the type of more than triple compound.


    In case of ‘hilly heaven ritual facilities’ under the geographical condition of hills located in low ridges, the altars and the like( the stone mound, the holy tree, the menhir, the shrine, and the mountain) appear either respectively or in compound. SotDaes(heavenly poles) and JangSeungs(Korean traditional totem poles at the village entrance) are sort of rare. On the other hand, the modified types of ‘hilly heaven ritual facilities(with a moat)’ that came down to the village have similar aspects with hilly ritual facilities. But instead of the number of the shrines being decreased relatively, SotDaes and JangSeungs have been added to make more variety in the appearance of facilities.


    Why do ritual facilities which came down to the villages have more diversified forms than hilly heaven ritual facilities? As time went by, the heaven ritual tradition which had been held in the shrine or in front of the holy tree of the sacred clean ground on the ridge came down near to the people’s living foundation. In the meanwhile the divineness of the heaven ritual has been thinned, they have built various forms of heaven ritual facilities including their diverse wishes and desires. These are the reckonable reas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라시아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