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만 민간신앙의 제양상 고찰 (A study on various aspects of the folk beliefs in Taiwa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1.04
34P 미리보기
대만 민간신앙의 제양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방학 / 20호 / 205 ~ 238페이지
    · 저자명 : 상기숙

    초록

    대만의 민간신앙은 발생부터 변화 발전과정에 이르기까지 대만개척사와 관련깊다. 일찍이 대륙 연해의 한족은 정치적⋅경제적 요인으로 해협을 건너 대만으로 이주 개척에 매진하였다. 당시 사람들은 예측불허의 해난사고에 심리적 안정을 얻기 위해 보호신을 찾았다. 특히 마조⋅현천상제⋅수선존왕⋅사해용왕 및 총간공 등이 숭배를 받았다. 이중 마조신앙이 가장 흥성하며 현재 800좌 이상의 마조묘가 건립된다. 마조⋅왕야⋅토지공은 민간에서 숭봉하는 3대 신으로 이들에 대한 신앙 동기 및 신의 속성을 통해 대만의 지리환경과 민간신앙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대만의 민간신앙은 4단계 과정을 거쳐 변화 발전한다. 첫째, 신앙 분류시기로 초기 이민자들은 이익 쟁취를 위해 각기 향토신을 모신 묘우를 거점으로 무장전투를 벌려 신앙이 분류된다. 당시 사묘는 신앙의 중심지일 뿐 아니라 동향의 단결 집회장이었다. 둘째, 신앙 통속화 시기로 이민 생활이 점차 안정된 후 향토 색채와 언어의 장벽을 타파하고 점차 지방 수호신의 성격은 보편적인 신으로 바뀐다. 셋째, 신앙 동요의 시기로 일제는 사묘를 점령 대부분을 훼손했고, 황민화운동과 함께 대만의 장기 통치 목적을 위해 적극적으로 일본의 신도를 장려한다. 넷째, 신앙의 흥성 변혁 시기로 광복을 맞고 국민당 정부가 대만으로 옮겨온 후 종교의 자유가 헌법으로 규정되며 민간신앙은 더욱 흥성 발전한다.
    대만 민간신앙의 특색은 향토신 숭배, 불⋅도교가 혼합된 다신숭배, 새로운 신의 부단한 출현, 수호신 숭배, 가정신의 묘화이다. 묘우는 신앙의 중심지이자 신의 초자연력을 빌려 세인을 위해 봉사하는 공능을 지닌다. 제신의 주요 목적은 신에게 문복하고 기도하는 것이다. 묘우에서는 항상 각종 기도⋅허원⋅제사⋅천도⋅액막이⋅보운⋅재초법회를 거행하며, 목적은 민중의 각종 생존 곤란을 해결하고 현실 생활의 구체적인 이익과 화해를 구하는 한편 전통신앙⋅윤리도덕 정신을 계승한다. 묘우의 건축방식은 대칭 강구, 봉건계급, 안전 방어, 전통 미학의 성격을 지니며 한 당에 제신을 모시고 풍수지리를 고려하며 전통신앙⋅윤리도덕 정신을 계승한다. 구사초복의 방법으로 수패, 자패, 와장군, 길간, 도경, 미두고검 등이 있다. 숭배신은 자연신⋅도교신⋅통속불교신으로 나누며 서로 혼재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들 지방신 대부분은 영혼숭배에 속한다.
    현대인은 부단히 새로운 신을 창조하고 인멸시키는 한편 각각의 신이 지닌 고유 공능 외에 새로운 공능을 부여 점차 다양한 신직을 겸한 만능신으로 변모시킨다. 대만의 현대 민간신앙은 민간인의 종교단체로 광범위한 공익사업을 펼쳐 국가와 사회에 기여하기도 하나 정치적 목적에 이용되기도 하고 무엇보다 여전히 사사로운 기복적 성격이 한계성으로 남는다.

    영어초록

    The folk beliefs in Taiwan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Han race immigrants from the maritime provinces of China from its introduction to the process of evolution and development. The immigrants were forced to come across with the fierce environments and to meet with the unexpected disaster and diseases, the reason by which they were eager to look for deities for their protection. Since Taiwan, surrounded by the sea, was a country of agriculture, the land was highly adored. The three major deities for them, therefore, MaZu(goddess of Sea), WangYe(god of Epidemic diseasey), TuDiGong(god of land).
    The Taiwanese folk beliefs have been evolved by four stages for a period of 400 years through the racial migration, cultural integration and political power transferences. The first stage could be termed as the period of division of beliefs. The early immigrants were gathered around a temple where a regional deity was worshipped in an effort to preserve their own interests. The temple was a center for the cult and, at the same time, the gathering place for the people from the same town or provinces. The second stage could be considered as a period of popularization of beliefs. Since the life became stable, the regional protection deity was no longer in need and a deity common to the whole people was required. The third stage was a period of instability of beliefs. The country was occupied by the Japanese imperialists and the folk beliefs of Taiwan met with the opposition policy of Japan and the Japanese Sintoism was encouraged by force instead. And the fourth stage was the liberation from the colonial rule and the flourishing period of religious freedom along with the folk beliefs until today, ever since the Nationalist government moved into Taiwan and the Constitution stipulated the liberty of religious activities.
    The folk beliefs in Taiwan are characterized as a polytheism with a combination of regional deity along with Buddhism and Taoism. New deities are arising in terms of personal protection and of a family safety with a symbolic altar placed at a central place of a house. The deities may be classified for the objects to be worshipped. They could be for the nature, for a man or for a certain object. Their activities are performed at a temple which is normally erected at a place chosen by the theory of geomancy for the purpose of finding solutions to different problems arising from the everyday life and also of maintaining the traditional beliefs and moral principals. In other words, the temple has been the center of the beliefs and has been served as the guardian for the people with the help of supernatural divine forces. The final objective was to eradicate evils and secure good fortun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