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건강 보험 청구 자료를 이용한 COPD 환자에서 치료제 처방 변화 분석: 흡입제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reatment Pattern in COPD Patients Using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Focusing on Inhaled Medications)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22.09
11P 미리보기
건강 보험 청구 자료를 이용한 COPD 환자에서 치료제 처방 변화 분석: 흡입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임상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임상약학회지 / 32권 / 3호 / 155 ~ 165페이지
    · 저자명 : 임하나, 박미혜

    초록

    Backgrou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s not completely reversible and requires long-term management withappropriate treatmen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rends in treatment regimens and medication costs for COPD patients using anational claims database. Methods: We conducted this analysis using National Patient Sample data from the Health Insurance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covering the period from 2015 to 2018. We have constructed a dataset comprising COPD diseaseclassification codes J43.x and J44.x (based on KCD-7 code, J43.0 was excluded) and compiled a list of drugs fitting currentguidelines. To identify trends, we calculated frequency, ratio, and compound annual growth rate (CAGR) using the numbers ofprescriptions and patients. Results: The number of COPD patients was 7,260 in 2018, slightly decreased from 2015. Most of theseCOPD patients were aged 60 or older and included a high proportion of males (72.2%; 2018). The number of patients prescribedinhaled medications increased gradually from 2015 to 2018 (9,227 (47.1%); 2015, 9,285 (51.5%); 2018), while the number ofpatients prescribed systemic beta-agonists and Xanthines has decreased since 2015 (CAGR −14.7; systemic beta-agonist, −5.8;Xanthines). The per capita cost of medication has increased by 0.4% (KRW 206,667; 2018, KRW 204,278; 2015) annually duringthe study period.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reatment with inhaled medications had continuously increased in accord withchanging guidelines, but oral medications were still widely used.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nhaled medicationsin treating COPD to reduce additional economic burden through appropriate medication use.

    영어초록

    Backgrou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s not completely reversible and requires long-term management withappropriate treatmen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rends in treatment regimens and medication costs for COPD patients using anational claims database. Methods: We conducted this analysis using National Patient Sample data from the Health Insurance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covering the period from 2015 to 2018. We have constructed a dataset comprising COPD diseaseclassification codes J43.x and J44.x (based on KCD-7 code, J43.0 was excluded) and compiled a list of drugs fitting currentguidelines. To identify trends, we calculated frequency, ratio, and compound annual growth rate (CAGR) using the numbers ofprescriptions and patients. Results: The number of COPD patients was 7,260 in 2018, slightly decreased from 2015. Most of theseCOPD patients were aged 60 or older and included a high proportion of males (72.2%; 2018). The number of patients prescribedinhaled medications increased gradually from 2015 to 2018 (9,227 (47.1%); 2015, 9,285 (51.5%); 2018), while the number ofpatients prescribed systemic beta-agonists and Xanthines has decreased since 2015 (CAGR −14.7; systemic beta-agonist, −5.8;Xanthines). The per capita cost of medication has increased by 0.4% (KRW 206,667; 2018, KRW 204,278; 2015) annually duringthe study period.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reatment with inhaled medications had continuously increased in accord withchanging guidelines, but oral medications were still widely used.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nhaled medicationsin treating COPD to reduce additional economic burden through appropriate medication u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