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釜鎭諸詠』 연구 (A Study of Bujinjeyeo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4.12
31P 미리보기
『釜鎭諸詠』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68호 / 391 ~ 421페이지
    · 저자명 : 한태문

    초록

    본 연구는 조선후기 부산을 배경으로 창작된 시문집인『釜鎭諸詠』을 살핀 것이다.
    첫째, 『부진제영』은 크게 「釜鎭題詠」, 「多大鎭題詠」, 「恃御樓題詠」 등으로 나뉘어지고, 그 형식도 記文, 碑銘, 上樑文, 祝文, 題詠 등 다양하되 산문은 ‘記’가, 시는 칠언율시가 많았다. 편집의 체계성이 부족하고, 부산 지역 출신보다 다른 지역 출신 작가들의작품이 대부분이며, 혈연관계가 있는 작가의 작품을 앞뒤로 배치하여 강조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둘째, 『부진제영』에 자주 등장하는 인물과 장소는 크게 權盼과 永嘉臺, 鄭撥과 鄭公壇, 釜山鎭城과 左水營, 尹興信과 尹公壇 등으로 나타났다. 권반은 영가대를 세운 공적으로 찬탄의 대상이 되었고, 전략적 요충지인 영가대는 외교공간이자 명승지로서의 역할이 강조되었다. 왜적에 맞서 싸우다 순절한 정발은 그를 따르던 사람들과 함께 충절의표상으로 묘사되었고, 이들의 비석 건립 경위와 정공단의 배치가 주로 다루어졌다. 부산진성과 관련된 작품은 주로 성곽․문․누각․비석 등을, 좌수영은 객사와 누각을 중건한시말을 다루었다. 그리고 윤흥신과 윤공단은 매몰된 윤흥신의 사적을 세상에 드러내어 선양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d Bujinjeyeong, which collected various literary worksbackground of Busan in the latter period of Josun Dynasty and edited them,focusing on looked into characters and spaces that were reflected in the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book Bujinjeyeong. To sum up, the outcomesof this writing are as follows:First, formally the composition of Bujinjeyeong is largely divided into 「Bujinjeyeong」, themed Busanjin, 「Dadaejinjeyeong」 themed Dadaejin, and 「Sieorujeyeong」 themed Sieoru of Geumjeongsan Mountain. Bujinjeyeong lacks editingsystem and in it most works were by writers from other districts rather thanwriters from Busan district. And the works which represented bloodrelationship were placed before and behind and it is characterized that thereare many Chireonyulsi in poets.
    Second, largely characters and spaces that often appears in Bujinjeyeongare Gwon Ban and Yeonggadae, Jeong Bal and Busanjin castle and JwaSuyeong, Yun Heungsin and Yun Gongdan, and so forth. Gwon Ban becamean objection of admiration because he built Yeonggadae. The role ofYeonggadae which was a strategic location as famous scenic place as wellas a space of diplomacy was empathized. Jeong Bal who fought againstJapanese invaders and died for country with his followers was described asthe symbol of loyalty. And the reason for building Jeong Bal and his followers’tombstone and Jeongongdan were mostly dealt with. The works related toBusanjin castle dealt with a castle․gate․tower․tombstone, and so on AndJwa Suyong dealt with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rebuilding a hotel anda tower. And Yun Heungsin and Yun Gongdan were focused on revealingand enhancing Yun Heungsin’s historical site in th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