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직선거법 제250조 제1항 허위사실공표죄의 처벌 범위 (The scope of punishment for false information disclosure under Article 250 of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9.12
34P 미리보기
공직선거법 제250조 제1항 허위사실공표죄의 처벌 범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영남법학 / 49호 / 69 ~ 102페이지
    · 저자명 : 류석준

    초록

    공직선거법 제250조의 허위사실공표죄는 헌법상 기본권인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고 있다. 그것은 아마도 공정선거라는 국가적 법익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일 것이다. 대의민주제에서 정상적인 국가 운영체계를 유지하기 위해 공정선거는 필수불가결의 요소임이 분명하다. 그러나 그렇다고 하여 그것이 표현의 자유를 한계이상으로 제한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는 없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최근의 판례는 선거방송 토론회에서 공격적인 질문에 대하여 소극적으로 대응한 답변을 문제 삼아 1심의 무죄 판결을 뒤엎고 당선무효형을 선고하였다. 여러 가지 답변 상황을 고려할 때 답변의 내용에 대한 의미가 일의적으로 평가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당해 판결은 이를 허위로 판단하고 그에 대해 공직선거법 제250조 제1항 허위사실공표죄를 적용하였다.
    그러나 제250조 제1항 구성요건에 대한 해석론을 토대로 당해 법원의 관점을 검토하여 보면 그 판단의 심각한 오류가 의심된다. 그 무엇보다도 그 답변 내용의 다의성으로 인하여 공소사실 중 허위로 지목된 것이 무엇인지가 규명될 수 없기 때문에 허위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단계로 나아갈 수 없다는 점이 지적되지 않을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판례는 이에 대한 검토 없이 위 답변을 허위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본 판례의 관점은 동 처벌규정의 허위개념을 허용한계 너머로 확장하여 적용하고 있다는 비판을 면할 수 없다. 그러나 본 판례는 이에 그치지 않고 그처럼 확장된 허위 개념을 통하여 본 처벌규정의 행위 개념까지 왜곡하고 있다.
    또한 지적한 바와 같은 답변의 다의성 때문에 답변의 목적이 특정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본 판결은 그 답변의 목적이 당선임을 간주하고 있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가벌성이 거의 인정될 수 없는 스스로에 대한 허위사실공표 행위를 내용으로 하는 동 처벌규정과 같은 목적범에서 그 목적은 가벌성의 핵심적인 요소라는 점과 또한 그 목적은 가벌성의 범위를 극단적으로 확장하는 요소일 수 있다는 점에서 명백한 입증 없는 이러한 간주는 허용될 수 없다고 해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판례에 대한 의문점들에 의한다면 본 판결은 공정선거 담보라는 미명 하에 정치적 표현의 자유를 과도하게 제한하고 있음을 지적할 수밖에 없다.

    영어초록

    Article 250 of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restricts freedom of expression, which is a basic right under the Constitution. It is perhaps a device to protect the national interests of fair elections. In order to maintain a normal state management system in a representative democracy, fair elections are clearly an indispensable factor. But that does not provide a basis for limiting freedom of expression beyond its limits.
    Nevertheless, the recent precedent was to overturn the first trial's acquittal and invalidate the election, taking issue with the passive response to the aggressive questions at the election broadcasting debate. Even though the meaning of the answer cannot be assessed in a single way considering the various circumstances of the answer, the ruling was judged false and applied to it the charge of disclosing false information under Article 250 paragraph 1 of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However, a serious error in the judgment is suspected when reviewing the court's point of view on the basis of the interpretation theory of Article 250 paragraph 1. Above all, it cannot be pointed out that the diversity of the answer cannot be determined what was cited as a falsehood in the indictment, so it cannot but be pointed out that it cannot be taken to determine whether the answer was false or not. Nevertheless, the above answer was judged false without consideration. Therefore, this view of the case cannot escape criticism that it extends beyond the permissible limit the notion of falsehood in the regulation of punishment. However, this case further distorts the concept of action in this code of punishment through such extended false concepts.
    In addition, although the purpose of the answer cannot be specified due to the diversity of the answers as noted, this judgment assumes that the purpose of the answer is to be elected. However, it should be said that such treatment is not acceptable, given that the objective is a key component of preexisting and that the purpose may be an element of extreme extensibility.
    Questions about this case, such as this one, are bound to point out that the ruling excessively restricts political freedom of expression under the guise of fair election secur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