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재산권 보장 조항(헌법 제23조 제1항)과 민법 (Constitutional Protection of Property Right and Private Law)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7.08
38P 미리보기
재산권 보장 조항(헌법 제23조 제1항)과 민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사법 / 24권 / 3호 / 1173 ~ 1210페이지
    · 저자명 : 이동진

    초록

    헌법 제23조 제1항은 재산권을 헌법상 기본권으로 보장하면서 그 내용과 한계는 법률로 정한다고 한다. 이 글은 이 규정의 사법(私法), 특히 민법에 대한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규정의 가장 큰 특징은 헌법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그 제한에 엄격한 요건이 부과되어 있는 기본권 자체가 법률에 의하여 형성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종래 공법에서는 재산권의 일반적 제한(헌법 제23조 제2항)과 보상이 필요한 제한(헌법 제23조 제3항) 사이의 구별이, 사회보장법에서는 사회보장급여청구권의 재산권으로서의 성격과 특수성이 문제되었으나, 사법에서는 대부분의 사법 규정이 재산권형성법률에 해당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이는 헌법재판소의 재산권 형성 입법에 대한 규범통제의 맥락에서는 형식상 헌법에 의한 심사가 이루어지지만 실제로는 사법, 가령 민법 내에서 발전된 법 원칙과 이익형량의 결과가 입법에까지 관철되는 형태로 발현된다. 즉 재산권 보장 조항에 의하는 규범통제는 체계정당성 심사로 축소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일반법원의 사법 규정 해석의 맥락에서는 기본권의 대사인효(對私人效)가 인정될 여지가 없고, 오히려 관습법이나 법관에 의한 법형성의 한계 내에서도 새로운 재산권의 형성은 예외적으로 허용되지 아니하는 것인지 여부가 문제된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article 23, section 1 of the Constitution, a property right shall be guarantied as a fundamental right, while the object, content, and limit of it shall be determined by the statute. According to article 37, section 2 of the Constitution, a restraint of a fundamental right should follow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nd the indispensable core of it shall not be infringed. These two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provide a puzzle: The legislator has a wide discretionary power in forming or reforming a property right while he has only restricted power in restraining a pre-existing property right; There exists no reliable criteria to discern forming or reforming from restraining. In this article, one aspect of this puzzle which should have been addressed earlier but did not would be examined: The meaning the constitutional protection of property right has to private law.
    Undeniably, private property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property in article 23, section 1 of the Constitution. Legislation regarding private law is also subject to constitutional review by the Constitutional Court. As the Constitution does not tell the specification of property right but just delegates it to statutes including private law legislation, however, the Constitutional Court cannot derive the criteria for the review from the Constitution itself; It has no choice but to develop the criteria from the statute, which means that the review would be mostly reduced to that of consistency of private law. In short, the constitutional protection of property right empowers the principle of private law itself and enhances its internal consistency rather than introduces external–constitutional–value into private law.
    Property right, as a fundamental right, also binds general courts. The so-called horizontal effect of fundamental right, however, has little meaning when it comes to private property, because it depends on private law legislation: The most important function of so-called horizontal effect is to introduce external–constitutional–value into private law which private property right lacks. As article 23, section 1 of the Constitution vests the power to form a property right to the legislation, however, not only any creation of property right by the Constitution itself but also any judicial lawmaking regarding it might be exclu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