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법 제197조 제1항에 대한 비판적 검토 (Critical Study on Civil Act Article 197 Paragraph (1))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23.12
33P 미리보기
민법 제197조 제1항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영남법학 / 57호 / 153 ~ 185페이지
    · 저자명 : 이동형

    초록

    민법 제197조 제1항은 점유자는 소유의 의사로 선의, 평온 및 공연하게 점유한 것으로 추정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이 규정으로 인하여 점유취득시효, 선의 점유자의 과실수취권, 선의취득 등 물건의 정당한 소유자와 점유자 사이의 법적 분쟁이 있는 경우에 점유자의 점유 태양이 타주점유, 악의의 점유, 강포 또는 은비에 의한 점유라는 것을 소유자가 부담하게 된다.
    이것은 규범적・현실적 모든 면에서 부당하다. 적법한 소유자가 자신의 물건을 점유하는 자를 상대로 반환청구 등을 하는 경우라면 점유자가 자기 점유의 정당성을 주장・입증해야 하는데 민법 제197조 제1항은 이와 반대이다. 점유의 태양 중에서도 특히 자주점유와 선의의 점유는 점유취득의 구체적 경위를 통해서 비로소 판단할 수 있는 것으로, 점유자의 점유취득 경위에 대한 정보나 증거는 점유자의 지배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소유자는 이에 대한 접근이 어렵거나 불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법 제197조 제1항은 소유자로 하여금 그 증명책임을 부담하게 하여 소송상 불리한 지위에 놓이게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은 점유취득시효의 경우에 가장 확연하다. 점유취득시효제도는 점유자가 타인의 부동산을 장기간 점유・사용하는 경우에 소유권을 취득할 수 있게 하는 경우로, 그 점유가 거래를 통하지 않고 소유자 몰래 일어날 수도 있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민법 제197조 제1항에 의하여 소유자가 증명책임을 부담하는 부당한 결과가 초래된다.
    민법 제197조 제1항은 선의 점유자의 과실수취권(민법 제201조 제1항)과 선의취득(민법 제249조) 등의 경우에도 적용되지만 점유취득시효의 경우 보다는 문제가 덜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 관해서는 판례가 선의의 의미를 ‘과실수취권을 포함하는 본권이 있다’는 적극적 오신의 개념으로 이해하고, ‘오신을 함에는 오신할 만한 정당한 근거가 있어야 한다’고 하며, 나아가 오신할 만한 정당한 근거가 있다고 인정되면 비로소 선의를 추정함으로써 민법제197조 제1항에 따른 추정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도록 해석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선의취득의 요건의 하나인 무과실이 민법 제197조 제1항에 추정되지 않고 판례 또한 규정에 충실하게 선의취득을 주장하는 자로 하여금 무과실을 증명하도록 해석하고 있기 때문이다.
    민법 제197조 제1항은 그 자체적으로 합리성과 정당성이 결여되어 있는 것이고, 특히 부동산점유취득시효(민법 제245조 제1항)와 관련하여 실무적으로나 이론적으로 어려운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것이므로 마땅히 삭제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Paragraph 1 of Article 197 of the Civil Code states that the occupier is presumed to have occupied the possession in good faith, in peace and in good faith.
    As a result of this provision, in the event of a legal dispute between the rightful owner and the occupier of a property, such as the statute of limitations for acquiring possession, the right of the occupier to take possession in good faith, or the acquisition of good faith, the owner shall bear the responsibility that the occupier's occupancy is an out-of-state occupation, a malicious occupation, a violent or a breach of interest.
    This is unfair in both normative and practical terms. In cases where the lawful owner makes a claim for return of the property against the person who possesses it, the possessor must claim and prove the legitimacy of his or her possession, but Article 197, Paragraph 1 of the Civil Act is the opposite of this. Among the occupying types, self-occupancy and bona fide occupancy can only be judged through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the acquisition of possession, and the information or evidence on the circumstances of the occupier's acquisition of possession belongs to the domain of the occupier, and it is difficult or impossible for the owner to access it. Nonetheless, Article 197, paragraph 1 of the Civil Code is absurd in placing the owner in a disadvantageous position of bearing the burden of proof. This is most evident in the case of the statute of limitations. The statute of limitations for acquiring possession allows the occupier to acquire ownership in the case of long-term occupancy and use of another person's real estate, and although the occupancy in this case may occur without the owner's knowledge and not through a transaction, the owner must prove that the occupier's occupation is an out-of-state possession in accordance with Article 197(1) of the Civil Code.
    It also applies to cases such as the right of the occupier in good faith (Article 201, paragraph 1 of the Civil Code) and the acquisition of good faith (Article 249 of the Civil Code), but it is not as seriously a problem as in the case of the statute of limitations. This seems to be because in the former case, the judicial precedents understand the meaning of good faith as the concept of positive misrepresentation that "there is a right to receive fault", and that "there must be a justifiable basis for making a mistake", and furthermore, it is interpreted so that the presumption under Article 197(1) of the Civil Code does not play a decisive role by presumption of good faith only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re is a justifiable basis for misrepresentation, and in the latter case, which is one of the requirements for acquiring good faith, is not presumed in Article 197(1) of the Civil Code.
    Paragraph 1 of Article 197 of the Civil Code should be abolished because it lacks rationality and justification in itself and raises difficult problems in terms of interpretation, especially with regard to the statute of limitations for acquiring possession of real property (Article 245, paragraph 1 of the Civil Cod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