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中古期 三綱制의 시행과 그 기능 -慈藏의 활동과 관련하여- (The Function of Three Directors System(三綱制) at the Middle of Ancient Silla: Regarding the Activities of Jajang(慈藏))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3.12
36P 미리보기
신라 中古期 三綱制의 시행과 그 기능 -慈藏의 활동과 관련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72호 / 225 ~ 260페이지
    · 저자명 : 김영미

    초록

    본고에서는 사료의 한계로 논란의 대상이 되었던 신라 三綱制의 시행 배경과 그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찰의 삼강은 寺主 上座 悅衆(維那 直歲 등)으로, 삼강제는 신라 불교사에서 국가의 승단관리가 각 사찰에 실현되는 구조를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중대 초기에 사찰에 삼강이 존재했음이 확인되는데, 삼강 설치의 필요성을 中古期 慈藏의활동에서 찾아볼 수 있다.
    『續高僧傳』 慈藏傳에서 자장이 설치했다고 언급한 綱管은 각 사찰의 上座나 寺主 등을 가리키고, 그들은 승려들의 기강을 관리하였다. 신라에서 이들 寺任을 맡은 삼강 특히 上座와 維那가 필요했던 이유는 자장이 시행했다고 한 ‘半月說戒’ 곧 布薩의 설행에그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했기 때문이다. 포살은 계율에 규정되어 있으며, 봄과 겨울에거행한다. 그리고 승려들이 界를 설정한 곳에 반달마다 모여 그동안 계율을 어겼는지를점검한 후 참회하고 戒本을 암송하는 의식이다. 이 의식에서 상좌는 모임을 주도하고계를 설하며 유나는 의식의 진행을 맡는다. 따라서 자장이 시행한 강관의 설치, 半月說戒, 봄 겨울의 시험을 통해 승려들에게 계율을 지키고 범함을 알게 한다는 것이 모두 포살의 시행을 의미한다.
    이러한 포살 의식을 거행하기 위해서는 道宣이 찬술하고 정리한 『四分律羯磨』, 『四分律行事鈔』 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비구 250계 비구니 348계의 항목을 정리한 戒本이 필요했다. 이를 위해 자장은 『四分律羯磨私記』를 찬술하여 포살 등 승단에서 거행하는 의례의 절차를 풀이하고 이 의식을 정착시켰다. 그리고 포살을 시행해 승려들에게계율을 지키도록 지도하는 데 상좌와 유나의 역할이 매우 중요했다. 즉 포살을 시행하기 위해 자장은 강관인 삼강을 사찰에 설치했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viewed the background and role of the three directors system(三綱制) of Silla period that has been an object of argument due to the limited historical materials. The three directors system of temple are abbot(寺主, the temple head), head monk(上座, the highest ranking monk) and rector(維那, the manager of temple affairs).
    This system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government temple administration in the Silla Buddhist history. The existence of the three directors system is found around the early period of Unified Silla. The necessity of the three directors system can be found in the activities of Jajang(慈藏) around the middle of ancient Silla(中古期).
    The gang-gwan(綱管, inspector) referred in the biography of Jajang in the Xu gaoseng zhuan(續高僧傳, the Continued Biographies of Eminent Monks) had the same function as head monk or abbot who controled the discipline of monks. The reason why the role of head monk and rector especially necessary was that their role was very important in the confessional precept meeting(布薩, Skt. poṣadha) held every two weeks to explain the precepts and provide an opportunity for confession(半月說戒).
    The confessional precept meeting is stipulated in the Vinaya(戒律, precept and rule) and held both at the spring and winter times. Monks gathered together at the place where the precepts were set up and inspected whether they violated the precepts.
    If they violated the precepts, they repented the violations and recited the manual of the precepts. The head monk leads the confessional precept meeting and preaches precepts while the rector is in charge of the ceremony. Accordingly, the establishment of gang-gwan, the meeting every two weeks to explain the precepts and the precept examinations held both spring and winter for the monks signify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fessional precept meeting.
    In order to perform the ceremony of the confessional precept meeting. the right understanding of both Sifenlü jiémó(四分律羯磨) and Sifenlü xingshi chao(四分律行事鈔) written by Daoxuan(道宣) was required. In addition to that, the manual of the precepts(戒本prātimokṣa) that summarized the 250 rules of moral conduct for bhikṣu precepts and 348 rules for the nun's precept was also necessary. So Jajang compiled the Sabunyul-galma-sagi (四分律羯磨私記) that explains the process of the ceremonies,including the confessional precept meeting, by the Buddhist order and established the ceremony procedure. And the role of head monk and rector was very important for the monks to keep precept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fessional precept meeting. So Jajang established the gang-gwan i.e. the three directors in temples in order to implement the confessional precept mee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