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욕망과 과학의 근대적 만남, 발모제(發毛劑) (Modern Combination of Desire and Science, Hair Tonic)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21.06
33P 미리보기
욕망과 과학의 근대적 만남, 발모제(發毛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日本思想 / 40호 / 231 ~ 263페이지
    · 저자명 : 이영섭

    초록

    당초 탈모와 대머리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예부터 정상(正常)의 결핍이었고 보완의 대상이었기에, 발모를 위한 시도는 늘 있어왔다. 근대적 발모제는 이러한 전통적인 탈모에 대한 혐오와 발모에 대한 욕망을 그대로 계승하면서도, 자신은 몽매했던 전통적인 발모제와는 확연히 구분되는 근대 의학의 결과물임 표방했다.
    본고는 이러한 전제를 기반으로, 근대시기 한국과 일본의 발모제 광고를 중심으로 탈모와 이에 대한 대응을 고찰했다. 근대 과학의 권위에 기대어 고가임에도 잘 팔렸던 당시 발모제들의 광고 방식과 그 효과를 분석하면서 당시 발모제의 위상을 확인했다. 그리고 탈모의 유형화가 대머리에 대한 인식을 어떻게 타자화 하는지를 기술하고, 발모제의 극히 제한적인 효과 때문에, 이러한 대머리의 유형화는 다른 근대 약품이 의학적 권위나 지식을 광고에 활용해 폭넓게 얻었던 권위와 호응을 확보하진 못했음을 지적했다. 또 모던 패션으로서의 탈모(脫帽)의 유행이 근대 의학상식과 결합해 탈모(脫毛)와 어떤 관계를 맺는지를 조명하고, 일본 발모제 광고에서 유독 여성 이미지 활용이 많은 이유를 고찰했다.
    근대적 발모제는 근대에 등장한 대표적인 해피 드러그(Happy Drug) 중 하나다. 하지만 일반적인 영양제류의 해피 드러그와는 달리, 극히 제한적 효능으로 인해 그 성격을 달리 할 수밖에 없었다. 그 결과 근대적 발모제는 건강보다는 외모의 아름다움에 치중할 수밖에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음을 확인했다.

    영어초록

    Regardless of East and West, hair loss and baldness have always been a lack of normality, a subject of supplementation. So there have always been attempts to restore hair. Although they inherited both hatred of traditional hair loss and desire for its restoration, modern hair tonic turned out to be a successful result of modern medicine, which is distinct from the traditional drugs.
    Based on this premise, this paper investigates hair loss and its countermeasures, focusing on advertisements for hair growth solution in Korea and Japan during the modern period. The status of hair growth solution at that time reveals itself by analyzing the advertising methods and effects of hair growth solution that sells well in spite of its high price due to the authority of modern science. Also, because of the very limited effect of hair growth solution, this study points out that the typological approach to hair loss and baldness could not secure the fame and response that other modern drugs have widely obtained by using medical authority or knowledge in advertisements. In addition, the trend of hat-off as a modern fashion combined with modern medical common sense and the relationship with hair loss was examined, and the reasons for the use of women’s images in Japanese hair-repellent advertisements were examined. In addition, this research examines the trend of hat-off as a modern fashion, which is combined with modern medical common sense and the relationship with hair loss, and also the reasons for the use of women’s images in advertisement of hair growth solution in Japan.
    Modern hair growth solution is one of the most popular ‘Happy Drugs’ in the modern era. However, unlike the other happy drugs of general nutritional supplements, modern hair growth solution was characterized by its extremely limited efficacy. As a result, this study claims that modern hair growth solution had limitations in which they had to be used for the beauty of their appearance rather than their heal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思想”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