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四句解釋에 관한 元曉 和諍論法의 특성: 들뢰즈의 새로운 변증법과의 대비를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Wonhyo’s Logic of Hwajaeng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f Catuṣkoṭi: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a Deleuzian New Dialectic)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7.12
36P 미리보기
四句解釋에 관한 元曉 和諍論法의 특성: 들뢰즈의 새로운 변증법과의 대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리뷰 / 22호 / 221 ~ 256페이지
    · 저자명 : 김태수

    초록

    본 논문은 후기구조주의 철학자 들뢰즈가 ‘재현(représentation)을 만드는 4 가지 굴레’의 비판에 활용한 새로운 변증법을 元曉 四句解釋에 나타난 和諍 論法과 대비한 연구이다. 검토를 위해 <<涅槃宗要>>・<<大慧度經宗要>>・<<金剛三昧經論>>・<<起信論疏>> 등과 관련한 四句, 특히 그 非有非無觀을 분석했다. 그 결과 非有非無를 (1) 양자부정으로서의 中道와 (2) 궁극적 진리로 이해하는 입장중, 원효의사유는(1)에 가까운 것으로 보았다. 한편, 헤겔변증법과 같은 동일성 비판의 맥락에서 제시된 들뢰즈 변증론의 경우에도 (1)과 지향점을 같이 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념(Idée)이 최종적 위계로 고정되지 않고, 생성과정 속에서 바탕을 현실로 끌어올려 현실과 근원 간 차이의 相卽을 모색하는 열린 구조의 사유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열린 변증법은 경험주의적 불교 전통안에서 의식의 가능성을 극한까지 펼치는 원효의 인식론적 통찰을 잘 드러내는 유용한 도구로 보았다. 이는 잠재적 이념(Idée)인 問題-場에서 출발, 계열화를 거쳐 현실에서 답[解]을 도출하는 긍정적 생성존재론이다. 문제는 대상에 대한 모든 가능한 현실태를 결정하는 상호침투적 복합체들이다. 여기서 문제는 어떤 부정도 내포하지 않는다. 문제는 본성상 답을 초월하지만 답과 다르지 않고, 문제 안에 모든 계열과 차이에 대한 답을 내포하고 있다.
    和諍論法과 대비할 경우, 이는 이념인 一心에서 출발, 眞如/生滅로의 계열 분화와 상호훈습을 거쳐, 和諍이라는 규정을 도출하는 구조에 상응한다. 즉 四句를 모두 긍정함으로써 문제와 답의 상즉을 모색하는 歸一心源의 회귀구조이다. 非有非無 또한 양자부정을 통해 생성의 극한에서 일체 규정을 여읜 一 味・不可說中道이자 제법실상인 一義性(Univocité)이다. ‘하나가 아닌 까닭에 모든 측면에 상응할 수 있고, 다르지 않은 까닭에 모든 측면에서 한 맛’이라는 해석은 관점적 측면에서 ‘양자부정[4구]이 곧 긍정[3구]’이 됨으로써 無二實性의 宗旨로 회귀되는 一義的구조를 잘 보여준다. 이처럼 和諍論法은 四句의 재현적 한계를 벗어나 脫性化・一義性을 통해 본래의 가치를 회복하는 생성의 사유이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Wonhyo’s logic of hwajaeng, reflected in his interpretation of the catuṣkoṭi, while comparing it with Deleuze’s new dialectics, which criticizes the ‘Four shackles of representation.’ The main focus will be on the 4th koti, i.e., the view of ‘neither existence, nor non-existence’ in the catuṣkoṭi, which was used for interpreting the major tenets of Doctrinal Essentials of the Nirvāṇa Sūtra, Doctrinal Essentials of the Perfection of Ultimate Wisdom and Preface to the Exposition of the Sūtra on the Adamantine Absorption. After categorizing the concept of ‘neither existence, nor non-existence’ according to two different approaches, namely (1) a negation of both while revealing the middle path, and (2) an ultimate truth, the research concluded that Wonhyo’s approach is closer to case (1) in its structure of thought. Further, when analyzing the Deleuze’s new dialectics, which criticizes the concept of identity in Hegelian dialectics, it also shows a similarity to case (1). Both Wonhyo and Deleuze’s systems reveal congruence with regard to the inter-penetrative accommodation of differences between reality and foundation, by raising the latter to the surface of the former, without positing Idea (Idée) as the final end in the vertical or sequential hierarchy. They both reveal a positive ontology of ‘becoming’ which depicts an answer to reality through a series of synthesis and differentiation, in an open space. Problems are posited as inter- penetrative multiplicities without implying any negation. By transcending the answer, the problem is presented as being no different from the solution, and as containing answers to all series of differences within itself.
    Likewise, one mind (一心) matches an Idea, while drawing its concrete determination (peras) as hwajaeng through differentiation and inter-penetration between True-suchness and the Phenomenal aspect of mind. The return of one mind shows the congruent synthesis of question and answer, based on the affirmation of catuṣkoṭi, while revealing Univocity (Univocité) as a true reality of all phenomena. The phrase, “it corresponds to all aspects since it is not one, and to one taste in all aspects because it is not different”, unravels the non-dual nature of the tenet, in the sense that the 4th koṭi equals the affirmation of the 3rd koṭi, when seen from different aspects. In turn, it reveals a process of recovering true nature through desexualization and univocity by breaking the representational bounds of catuṣkoṭ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리뷰”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