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쟁(和諍)의 해석학적 함의와 현대적 의미 (Hermeneutic Pluralism of hwajaeng and Its Modern Implication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20.02
28P 미리보기
화쟁(和諍)의 해석학적 함의와 현대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93호 / 207 ~ 234페이지
    · 저자명 : 조성택

    초록

    한국 학계에서 원효의 화쟁은 주로 회통의 관점에서 이해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이해는 원효의 문제의식과 해석학적 지향을 오독(誤讀)한 데서 비롯된 것임을 밝히고자 한다.
    해석학적 관점에서 화쟁은 이설(異說)들에 대한 논평이거나 혹은 쟁론상황을 ‘해결’하는 이론이 아니다. 지금까지 화쟁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원효를 ‘눈뜬 자’ 로서 ’장님들‘이 벌이는 쟁론상황의 ‘해결사’로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화쟁은 쟁론을 바라보는 제 삼자 혹은 관찰자의 입장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화쟁은 쟁론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의 입장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그런 점에서 화쟁은 쟁론 참여자 모두에게 요청되는 실천철학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고에서는 원효 화쟁의 토대가 되는 개시개비(皆是皆⾮)의 해석학적 함의에 주목 하고자 한다. ‘복수의 옳음’을 의미하는 개시개비는 ‘단 하나의 진리’를 거부하는 현대의 다원적 사회에서 요청되는 세계관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진리의 다원성을 인정하는 개시개비의 화쟁 정신은 다원사회에서의 시민들의 생활양식 (modus vivendi)으로 그 의미를 확장해 가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As we have seen in the story of the ‘Blind men Describing an Elephant,’ every position must be acknowledged as having a certain truth, but at the same time, it must be negated for its partialness.
    By ’unfolding’ (gae) , Wonhyo indicates a variety of ideas and analysis, while through ‘folding’ (hap) , he denotes how these themes may be synthesized into one cohesive unit of understanding.
    Doctrine (chong) , then, reflects the unfolding of the one into the many, whereas essence (yo) refers to the folding of the many back into the one.
    By applying the hermeneutic principle of ‘unfolding-folding’ (gae-hap) freely in his exegetical works, Wonhyo tries to resolve the various doctrinal disputes prevailing at his time, while at the same time revealing the doctrinal essentials underlying these disputes.
    Because of this, hwajaeng has often been considered the hallmark of Wonhyo’s Buddhist scholarship by modern scholars in Korea and Japan. Certainly, one of the underlying concerns throughout his exegetical works is indeed the resolution of doctrinal disputes. In fact, Wonhyo himself wrote an essay entitled Ten Approaches to Resolving Doctrinal Disputes, and we find many passages throughout his works mentioning his concern about unnecessary doctrinal disputes and sectarian tendencies within Budd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