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궁중정재의 문화재 지정을 위한 문헌고증 방안 모색 (Search for the Way to Conduct Historical Investigation on Registration and Reproduction of Intangible Court Jeongjae Field)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6.11
46P 미리보기
궁중정재의 문화재 지정을 위한 문헌고증 방안 모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과 예술 / 20호 / 285 ~ 330페이지
    · 저자명 : 손선숙

    초록

    본 연구는 무용종목 중에서 춤의 내용이 문헌에 기록된 정재 종목을 앞으로 무형문화재로 지정하고자 할 때 가장 먼저 제출하는 지정신청서와 문화재로 지정 받기 위해 올린 지정보고서, 그리고 지정된 정재 종목의 원형보존과 올바른 전승을 위해 제작된 기록도서의 내용과 체제를 살펴보고, 고문헌으로 전해지는 정재를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하기 위해 제출하는 서류에 문헌과 재현의 간극을 설명하는 고증연구 항목이 누락된 것과 지정조사보고서에 올린 내용과 현재 전승되고 있는 정재내용이 서로 다른 점을 지적하고 앞으로 정재 종목의 중요무형문화재 지정을 위한 학술적 고증방안을 모색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먼저 정재는 어제(御製)와 예제(睿製)로 만들어진 국가의 춤이다. 춤 내용이 『고려사』「악지」․『악학궤범』․『정재무도홀기』와 같은 고문헌에 기록되어 전해진다. 이처럼 정재는 민속무용과는 달리 학술적 고증을 통해 춤의 문화원형을 재현할 수 있는 문헌이 현존하므로 앞으로 정재의 무형문화재 지정을 위해서는 문헌을 토대로 복원하였다는 학술적 고증이 반드시 뒤따라야 하겠다. 이를 위해서는 무형문화재로 신청하기 위해 그리고 지정 타당성을 심의하고 보존계승을 위해 제작되는 기록물인 지정신청서․지정조사보고서․기록도서에 학술적 고증연구를 포함시켜야 하는데, 그 이유는 세 가지 보고서는 처음 지정신청서를 토대로 작성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정재 지정을 위한 학술적 고증 방법은 1차 연구인 정재홀기의 문헌 해석, 2차 연구인 정재 통합비교를 통한 정재 내용검토, 3차 연구인 가․무․악․의례 등 융합적 연구로 진행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문화재 보존의 기본원칙이 원형보존에 있고 이 원칙은 무형문화재에도 적용되므로 이러한 문화원형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다음과 같은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첫째, 지정신청서에 학술적 고증연구를 포함시키는 제도를 마련하고, 지정조사보고서를 작성하는 문화재위원들은 고증연구가 제대로 되었는지 심의하여 학술적 고증연구의 결과물을 제출하게 한다. 둘째, 정재의 지정은 전승자 중심이 아닌 고문헌에 기록된 내용을 기준으로 지정하여 전승자의 정재 문화가 아닌 국가의 궁중문화를 전승하는데 의의를 두어야 한다. 셋째, 정재의 지정은 문헌 기록중심에 원칙을 두고 마땅히 문헌 기록대로 전승되도록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넷째, 정재의 문화원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불변성과 가변성으로 구별하여 제시한다. 다섯째, 정재지정 보유자는 문헌의 학술적 고증을 바탕으로 복원하고 교육할 수 있는 이론과 실기를 겸한 자로 정해야 한다. 여섯째, 보고서 양식과 문헌 기록 중심의 전승체제를 제대로 지키는 관리 감독이 요구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s and systems of the archives produced for the preservation of the original form and the proper transmission of the Jeongjae item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discussed the problems of the differences in the Jeongjae contents between the content reported to be designated and the content that has been transmitted and the omission of the scholarly historical investigation for the reproduction of the designated Jeongjae, and presented the way to conduct scholarly historical research for the designation of the Jeongjae item for the future.
    First, the scholarly historical investiga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designation application, the designation investigation report, and the archives to designate the national dance and the dance content, created for Eojea and Yeajea, which have been transmitted as the Jeongjae items in the archives, such as 『Goryesa』「Akji」,『Akhakgwebeom』, and 『Jeongjae -mudoholgi』 as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he three reports need to be written based on the first designation application and have the connection with each other. Also, unlike the traditional dance, the literature to reproduce the cultural original form of the dance through scholarly historical investigation exists for Jeongjae, the scholarly historical investigation for the designation and reproduction of Jeongjae must be required in the future. Such scholarly historical investigation should be conducted in the following steps: first, the literature interpretation of Jeongjae Holgi; second, the content examination of Jeongjae through the combined comparison of Jeongjae; third, the research integrated song, dance, music, and ritual.
    Second, since the basic principle for the cultural property preservation is rooted in the preservation of the original form and this principle is applied to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e following systems need to be established to realize such cultural original form. First, the system including the scholarly historical investigation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designation application, the system for cultural property committees who write the designation investigation report should be changed to the system for them to consider if the scholarly historical investigation had been done properly, and then the result of the scholarly historical investigation should be submitted. Second, the designation of Jeongjae needs to be done in the periodic standard of Jeongjae, not the transmitter-based standard and put the meaning on continuing the intangible culture of the old period, not the Jeongjae culture of the transmitter. Third, the principle for the designation of Jeongjae should be based on the literature record and the system for the reproduction content can be transmitted as written in the literature record. Fourth, the guideline for the cultural original form of Jeongjae should be differentiated into invariability and variability and presented. Fifth, the possessor of the Jeongjae designation should be appointed if he or she has both theoretical knowledge and performance ability to conduct the scholarly historical investigation on the literature and educate and reproduce the investigation. Sixth, the managing supervisor is required to oversee the proper transmission system based on the report documents and the literature recor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과 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