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대 외침과 강원지역의 성곽방어체제 재정비 (A Study on the Reorganization of the Defense System in Gangwon Province due to the Invasion from Outside during the Goryeo Dynasty)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9.05
40P 미리보기
고려시대 외침과 강원지역의 성곽방어체제 재정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사학회
    · 수록지 정보 : 江原史學 / 32호 / 59 ~ 98페이지
    · 저자명 : 유재춘

    초록

    전근대시기 군사적인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중 하나는 방어전에서 핵심적인기능을 갖는 성곽시설의 정비였다. 국경 및 각 지역방어 측면에서, 그리고 지구전전개를 통해 침략자의 공세를 최대한 지연시키면서 아군이 전투태세를 정비하는시간을 벌기 위해서는 성곽 시설이 필수적인 요소였다. 또 이러한 성곽은 각기 그기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정비되었는 바, 군사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우선은 성공적인 방어전이 가능해야 하지만 전쟁이나 전투의 양상에 따라 계속 변모해 왔다고할 수 있다.
    고려시대의 경우는 거란, 몽골, 여진, 합단, 홍건적, 왜구 등 다양한 형태의 외침이있었고, 이러한 계속되는 외침에 대응하여 고려는 전체적으로 성곽방어체제를 재정비하였다.
    기존에 고려시대 성곽에 대한 여러 연구가 있는 바, 강원지역과 관련된 연구는 매우제한적이다. 11세기 동여진 침입과 이에 대한 대응, 고려말 왜구 침입과 관방시설정비, 고려시대 治所城, 그리고 영동지역 성곽과 戍, 海防遺蹟 등을 연구한 논문 등이있다. 이러한 연구는 특정 부분에서의 방어시설 정비 및 개별적인 성곽유적에 대한이해를 높이는데 기여하였으나 고려시대 성곽방어체계가 변모해 가는 전체적인 양상을 이해하기에는 부족한 측면이 많다. 각 개별 성곽유적의 고고학적 편년에보다 합리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전체적인 성곽방어의 변화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고 생각하며,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점에 중요한 관점을 두고 고려시대 많은외침을 받으면서 그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강원지역에서는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살펴보았다.
    고려시대 강원지역에 대한 외부 침입과 그에 따르는 방어시설 재정비 과정은 크게다음과 같은 세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제1시기는 거란족이 세운 요나라와 여진이 침입한 시기로, 이 시기의 거란 침입은 강원 지역에까지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바다를 통한 여진의 침입은 1005 년~11세기말까지 계속되어 강원도 해안을 비롯한 동해안 거의 전지역이 침입을받았다. 이에 동해안 일대에 대한 방어시설이 재정비되면서 많은 소규모 성곽이건설되었다.
    제2시기는 대요수국(거란) 및 몽고 침입 시기로, 대요수국을 세운 거란인의 침입으로, 강원지역 대부분이 큰 피해를 입었으며, 각 지역의 주요 거점 성곽이 높은 산으로이전되거나 해변에 사는 주민들은 바다의 섬으로 피난하여 그곳에 새로 성곽을축조하기도 하였다. 통일신라 시기에 지역별로 고착되었던 성곽방어체제에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이다.
    제3 시기는 홍건적과 왜구가 침입하는 시기로, 대규모 침입인 홍건적과 소규모침입 집단인 왜구에 대응하여 연해지역에 새로운 형태의 방어시설인 읍성 축조가시작되는 등 연해지역 방어를 강화하면서 왜구가 내륙까지 깊숙이 들어오자 연안지역 뿐만 아니라 왜구가 통과하는 각 군현별로 입보처를 마련하고, 특히 연해지역으로부터 내륙으로 연결되는 교통로상의 지역에 성곽을 설치(기존 고성 수리 또는증축)하였다.

    영어초록

    One of the most important military aspects in the pre-modern era were organizing fortress wall facilities, which play a key role in defensive battles. When defending borders or regions, and to delay the advance of invaders while buying time for friendly forces to prepare for prolonged battles, fortresses were essential. Such fortress walls were organized in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ir functions. For military aspects, it was necessary to be able to successfully defend the walls, but they continuously transformed depending on the type of battle or war.
    During the age of the Goryeo Dynasty, they were invaded by various aggressors such as the Khitan, Mongolia, Jurchen, Kadan, Red Turbans, and Japan, and in response to such ongoing invasions, Goryeo reorganized their entire fortress systems.
    There are many studies on the fortress walls during the Goryeo Dynasty, but there are very few studies related to that of the Gangwon Province. While previous studies contributed to the enhancement of understanding on organizing defense facilities in specific areas and on individual fortress wall relics, they were insufficient for understanding the overall mode of transformation of fortress defense systems of the Goryeo Dynasty. Understanding on the change of the overall fortress wall defenses is essential to make a more rational approach compared to the archaeological chronologies of individual fortress relics.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the Gangwon Province in the process of the Goryeo Dynasty reacting to numerous aggressions and invasions focusing on this.
    The process of invasion and reorganization of defense facilities in the Gangwon Province of the Goryeo Dynasty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as follows.
    The first period is when the Liao Dynasty founded by the Khitan and the Jurchens invaded, and it reorganized the defense facilities along the east coast, while building numerous small-scale fortress walls. The second period is when the Post-Liao (Khitan) and Mongolia invaded, and most of the major hub fortresses of various regions were moved to high mountains, while some residents living on the coasts took refuge on islands and built new fortress walls there. The Unified Silla Kingdom period is when the regional fortress wall defense systems underwent fundamental changes. The third period is when the Red Turbans and the Japanese invaded, and town fortresses (eupseong), which was a new type of fortress walls, began being built in coastal areas. Fortress walls were installed (or existing fortresses were repaired or extended) in regions that connected the coastal areas to continental are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江原史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