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라춤 연구-인천수륙재의 바라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ara Dance-Especially on Bara Dance of Incheon Surukja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2.08
24P 미리보기
바라춤 연구-인천수륙재의 바라춤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예술과 과학기술 / 8권 / 2호 / 10 ~ 33페이지
    · 저자명 : 박지연

    초록

    불교의 영향으로 이어져 내려온 불교의식 중에서도 수륙재(水陸齋)는 음악과 무용의 예술적 가치가 매우 높은 한국 전통 문화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수륙재에서 행해지는 불교의식무는 불교와 예술의 밀접한 관계를 잘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많은 지역의 수륙재 중 인천수륙재(仁川水陸齋)에서 작법되어지고 있는 불교의식무 중 바라춤의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불교의식무의 사상과 정신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자는 쇠퇴해지고 있는 불교의 사상과 문화를 되찾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여 인천수륙재에 대한 정리와 바라춤의 동작 분석을 통해 인천수륙재와 바라춤의 전통을 유지ㆍ보존하고 발전시키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논문의 연구를 시작하였다.
    인천수륙재의 바라춤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추출하였다.
    첫째, 많은 지역에서 수륙재가 행하여지고 있지만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지역은 ‘인천’ 뿐이다.
    둘째, 인천수륙재에서 행해지고 있는 바라춤의 종류 중 오방잡과 회향성바라는 타 지역에서 행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오방잡과 회향성바라는 인천수륙재만의 특징이라 하겠다.
    셋째, 인천수륙재에서 행하여지고 있는 바라춤은 타 지역에 비해 춤의 동작이 크고, 역동적이며, 화려하다. 그 이유는 인천은 바다와 근접해있는 지역으로 바다에서 불어오는 바람으로 인해 바라가 빠르고 크게 돌아가며, 바라춤을 출 때 바람이 세게 불어 바라를 역동적으로 돌리지 않으면 바라가 의도하지 않게 움직이기 때문이다.
    넷째, 인천수륙재에서는 타 지역과 같이 스님의 바라춤 복식과 나비춤 복식이 다르다. 그러나 재가(在家)에서 작법무(作法舞)를 시연할 때에는 바라춤과 나비춤의 복식을 동일하게 한다. 그 이유는 스님들은 사미계나 비구계를 수지하기 때문에 회색 장삼(長衫)과 홍가사(紅袈裟)를 수하(입)고 불교의식무를 시연하지만, 재가는 그러한 절차를 거치지 않았으므로 표현적 및 상징적인 최소한의 복식만 갖추고 작법무를 시연하게 된다. 또한 재가는 동일한 작법무 의상에 고깔을 바꾸어 시연하게 되는데, 나비무 고깔은 승가와 재가가 동일하게 갖추고, 재가자가 바라무를 할 때에는 승가의 삭발염의를 뜻하는 의미로 백색고깔을 바꾸어 쓰고 시연한다.
    앞으로 무대 예술로서의 불교의식무를 더욱 연구ㆍ발전시키고, 창작 무용과 불교의식무를 결합시켜 많은 관객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여 대중문화적인 예술로 만들어 나아간다면 불교문화를 발전시키는 초석이 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무용을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Among the Buddhist ritual ceremonies that have come down from the influence of Buddhism, Surukjae is known for its high artistic values of music and dance. For this reason, it is sharing a portion of the whole Korean traditional culture. In addition, the Buddhist ritual dance played in the Surukjae clearly present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Buddhism and art.
    In this very research, a study on the origin, and composition of Incheon Surukjae, among many other regional Surukjae, commenced in Incheon area will be discussed in addition to a research on the Bara Dance, which is known as a type of Buddhist ritual dances that are performed at the Incheon Surukjae, in order to understand the thoughts and spirits of South Korean Buddhist Ritual Dance. Furthermore, the author in this research finds it necessary for regaining of the thoughts and the culture of decaying Buddhism. In this sense, this research is executed to provide a fundamental data that is required for an improvement,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of Incheon Surukjae and the traditions of Bara Dance by analyzing the movements of Bara Dance and by defining the details of Incheon Surukja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Incheon Surukjae as well as the unique characteristics that are presented in Bara Dance of Incheon Surukjae have been extracted by analyzing the dance and the costume shown in the Bara dance in addition to the origin and the composition Incheon Surukjae.
    First of all, although Surukjae are held in many regions, the only area that recognizes it as a cultural property is Incheon.
    Second of all, among the types of Bara Dance performed at Incheon Surukjae, Obangjab and Hwaehyangsung Bara Dances are not performed in any other region. For this reason, these two types of Bara Dances may be considere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Incheon Surukjae.
    Third of all, Bara Dance performed at Incheon Surukjaehas a relatively larger dance routines and it is dynamic and fancy when compared to the ones from other regions. The reason for this is because of the wind blowing from sea and inwards to the areas adjacent to the sea that allows Bara to spin quicker with a larger radius. Also, the condition in which the performer needs to spin the Bara in a dynamic way to avoid unintended movements of the Bara due from strong winds during the performance makes its dance different from other regions’.
    Fourth of all, at the Incheon Surukjae, costumes of Bara Dance and Butterfly Dance for monk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just like in other regions. However, in a Jakbeopmu demonstrated at a Buddhist home, costumes used in Bara Dance and Butterfly Dance are the similar to each other. The reason for this is because of the fact that monks tend to practice either the Sramanere-pravrajya or the Bhiksu-pravrajya, thus monks wear the formal monastic robes and the Red Kasa to demonstrate a Buddhist ritual dance. However, as for the Buddhist home, it does not go through this very same process, thus it demonstrates the Jakbeopmu only with the minimum costume required for expressive and symbolic purposes. In addition, a Buddhist home conducts its demonstration with the same Jakbeopmu costume by switching the conical hat in which the conical hat for the Butterfly Dance is similarly prepared both for monk and a Buddhist home, but a Buddhistwears a white conical hat during Bara Dance to project a meaning of the tonsure of monk.
    In the future, the Buddhist ritual danceas a performing art must be further studied and developed as well as to bring about a combination of the interpretative dance and the Buddhist ritual dance so that a large number of audiences may easily access it. By doing so, Buddhist ritual dance may not only be developed into a pop-cultural art, which will then act as a foundation for developing Buddhist culture but it will also further develop Korean dan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과 과학기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