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AI 시대 교양기초교육의 교수학적 재음미 (Didactical Reexamination on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Age of AI)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20.08
13P 미리보기
AI 시대 교양기초교육의 교수학적 재음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양교육연구 / 14권 / 4호 / 11 ~ 23페이지
    · 저자명 : 손승남

    초록

    이 연구는 독일어 ‘빌둥’의 개념에 기초하여 교양기초교육의 방향, 내용, 방법을 교수학적으로 재음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빌둥은 자기 이해와 세계 이해를 전제로 ‘인간 능력의 조화로운 발달’을지향한다. 우리가 사는 가속화된 세계 변화 속에서 주체의 역량을 어떻게 강화해 나가느냐의 문제가오늘날 빌둥이 직면한 당면과제이다.
    세계변화를 탐지하고자 시대의 핵심문제로 메가트렌드, 4차 산업혁명을 설정하고, 미래 지능정보사회를 선도해 나갈 동력으로 AI에 주목하였다. AI와 로봇의 발달은 인간을 노동에서 해방시켜 삶을 풍요롭게 해 줄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과 함께, 최첨단의 과학기술로 인해 인간의 일자리와 인간성 자체마저위기에 처할지 모른다는 부정적 전망을 낳고 있다. 가장 우려가 되는 부분은 AI의 비약적 발전이트랜스휴먼, 나아가 포스트휴먼의 도래를 앞당길 수 있다는 점이다. 인간을 넘어선 인간, 즉 포스트휴먼시대와 관련하여 연구자는 인간의 존재 물음, 노동의 종말, AI 격차 등을 논의하였다.
    AI 시대의 교양기초교육은 첨단 과학 기술의 성과, 기계에 대한 우리의 인식과 가치관 형성에 적극개입해야 한다. 그 목적을 위해서 인간 외적 존재들(동물, 식물, 생태계, 자연, 물질, 우주)과 더불어살아가는 공존, 공생, 공진화의 가치관을 미래 세대에게 심어줄 필요가 있다. 내용 면에서도 모던 시대의교기원 「표준안」을 새 시대에 맞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AI 영향력을 감안한다면 기계와 함께 하는인간의 미래를 새롭게 설계하고, 그에 적합한 교양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그 방법에서도학습자 중심교육, 디자인 씽킹, 프로젝트 기반 수업, 자유학습이 실제로 뒷받침되어야 한다.
    AI가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범용 인공 지능(AGI) 시대가 온다 해도 인류의 미래는 결국 인간의사고와 선택에 달려 있다. 미래 교양기초교육의 책무성을 우리는 AI 세상을 살아갈 세대에게 선악시비(善惡是非)와 미추(美醜)를 구분할 수 있는 분별력, 도덕성과 윤리의식, 판단력을 길러 주는 일에서찾아야 할 것이다. 그 기초로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포스트휴먼 리터러시’가 요청되는 것은 재론의여지가 없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dactically review the direction, contents, and methods of liberal arts educ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the German ‘Bildung’. This concept aims for the ‘harmonious development of human abilities’ based on the premise of both self-understanding and world-understanding. For the question of how to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subjects in the current accelerated globally changing world is one of the major challenges faced today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order to detect global changes, Mega Trends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set as key issues. Moreover, AI was closely looked at as a driving force that will play a crucial role in leading the world of the future. The development of AI, along with the rosy prospect of liberating humans from work and thus enriching their lives, has in fact caused many to take a negative view regarding suchcuttin g-edge science and technology. For sucha radical advancement may actually bring humanity itself to the brink of a crisis. Indeed, perhaps the most feared prospect is that AI might accelerate the rise of what is being called a “post-human” world. In relation to such a post-human era, the issues of human existence, the end of labor, and the inevitable gap arising between AI and humanity, were discussed.
    In the age of AI,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actively intervene in the achievements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as well as transform our perception and values of machines. For that purpose, it is necessary to instill the values of coexistence, symbiosis, and coevolution with non-human beings (animals, plants, ecosystems, nature, things, and the universe itself). In terms of contents, it is also necessary for us to improve the standard draft of the Korean National Institute for General Education so that it might better fit a post-human era. Given the influence of AI, we need to redesign the future of human beings who will be living with machines, and to provide a liberal arts program suitable for such a world. In this way, learner-centered education, design thinking, project-based instruction, and liberal learning should be enthusiastically supported.
    However, whether the era of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AGI) comes or not, the future of mankind will ultimately depend on human choice. The accountability of future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be found in raising the discernment, morality, and ethical awareness of learners, and to develop their faculty of judgment so that one may distinguish good from evil, right from wrong and beauty from ugliness. Digital literacy and ‘post-human literacy’ will obviously serve as fundamental skills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양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