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광복 후 애국선열 선양정책 재조명 (Review on the deceased patriots promotion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0.12
38P 미리보기
광복 후 애국선열 선양정책 재조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100호 / 361 ~ 398페이지
    · 저자명 : 윤선자

    초록

    본 연구는 광복 이후 애국선열에 대한 선양정책이 어떻게 수립, 추진되었는가를 규명하여 애국선열 선양은 물론 보다 바람직한 선양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광복 이후 독립유공자 포상은 1949년 시작되었고 2009년 말까지 11,870명이었다. 한국전쟁과 전쟁의 상흔으로 1950년대에는 2명만을 서훈하였다. 독립유공자 서훈은 1962년 재개되었지만 경제개발 제일주의를 내세웠던 제3공화국(박정희정부) 18년 동안 독립유공자 서훈은 매우 적었다. 이러한 현상은 제5공화국 때도 마찬가지였다. 1990년대에 들어서 독립유공자 포상은 크게 증가하였는데 민주화의 진전에 따른 독립운동사에 대한 관심의 증가, 독립기념관과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설립 이후 독립운동자료의 발굴과 연구에 힘입은 바가 컸다. 2005년부터는 ‘공산주의자’를 ‘사회주의국가 건설을 목적으로 한 활동에 주력하였거나 적극 동조한 자’로 한정하여 사회주의 독립운동가도 포상하였다.
    국가보훈처 공훈심사의 운동 기준으로 분류하면 3·1운동의 비중이 높은데 그 이유는 3·1운동에 전민족적인 참여가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재판기록과 같은 일제의 식민통치자료들에서 관련 사실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외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는 만주방면이 압도적으로 많은데, 그것은 만주지역에서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활동한 때문이다. 훈격을 보면, 시간이 흐를수록 훈격이 낮아졌다. 1990년대 이후 서훈자 수는 급증하였지만, 훈격은 상대적으로 낮아졌다. 이는 독립유공자 서훈 심사가 강화되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더 많은 독립유공자 발굴과 포상을 위해서는 관련 자료의 광범위한 조사 발굴과 정리, 간행이 필요하다. 그러나 더욱 요구되는 것은 독립운동가와 독립운동사에 대한 애정의 시각이다. 우리의 애국선열에 대해서는 우리만이 관심을 쏟는다. 따라서 우리가 그들을 잊고, 관심을 두지 않는다면 그들은 잊혀질 것이다. 그들이 잊혀진다는 것은 한민족의 독립운동사가 잊혀진다는 것이고, 과거를 잊는 민족은 미래를 희망할 수 없다.
    국립묘지의 애국선열 묘역, 독립기념관을 비롯하여 수많은 애국선열 기념관, 700여개소의 독립운동 현양시설은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지만 애국선열 선양에 적극 활용할 수 있다. 이들은 전국에 분포해 있으므로 교육의 현장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더불어 각 지역의 축제․기념행사와 연계하여 홍보함으로써 지역민들의 관심을 제고하고, 이어 시․군 홈페이지와 안내 팜플릿 등을 통하여 타지역민들에게도 홍보하는 방법을 구상해야 한다.
    애국선열과 독립운동사가 한민족 전체의 것이라는 인식은 교육과 홍보를 통해 이루어진다. 교육과 홍보의 기초가 되는 것은 학술연구이다. 대 국민 홍보와 교육은 크게 학생․청소년층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구분하여 진행할 필요가 있다. 학생․청소년층에게는 그들에게 적합한 교육 내용과 방법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일반인에게는 선열의 독립운동이 한민족의 생명을 지켜내고 한민족 정체성의 뿌리이며 발전의 원동력임을 홍보․교육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romotion of treatment for deceased patriots has been established and practiced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and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proper promotion policies and promotion activities as well. Rewards for men of merit for independence movement started in 1949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and 11,870 people have been rewarded until the end of 2009. Only 2 people were conferred in the 1950s due to Korean war and the damage of the war. Conferment of a man of merit was resumed in 1962, yet the number of conferment was very small during the 18 years of the third republic(Park Jeonghee administration) which was fully committed to economic development and growth. Such trend was visible in the fifth republic as well. Reward for men of merit for independence movement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1990s, which was attributed to growing interest in the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 as the democracy in Korea developed and grew; research and study on independence movement after foundation of the Memorial Hall for Korean independence Fighter and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Research Institute. In 2005, socialistic independence movement activists were also rewarded only under the condition in which 'communists' were considered 'activists who were committed to building a socialistic country'.
    March 1st Movement is the most common case for the reward when selecting people for the reward because the movement was carried out nationwide and related facts can be confirmed through materials and documents such as court records created during Japanese regime. Most activists overseas were populated in Manchuria because many activists carried out independence movement in Manchuria. The reward level became lower over the years. The reward level became relatively lower while the number of people for conferment increased since the 1990s. This shows that review for conferment became much tighter and enhanced.
    For more conferment and reward, comprehensive research, organization and publication of the related materials are needed. The most important thing, however, is support and interest in the activists and the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 Only we can take care of our patriotic martyrs. Without our interest and support, they will be forgotten. If they are forgotten, the history of our independence movement will be forgotten, which can promise no future for our nation.
    The area for deceased patriots in the National Cemetery, many memorial halls for deceased patriots including the Independence Hall and over 700 facilities for promoting independence movement are still not enough but they can be actively utilized for promotion of deceased patriots. These facilities are located nationwide therefore we should seek a way to utilize these for educational purposes. Furthermore, we should promote related festivals and events in each region to increase the interest among the residents as we seek a way to promote to people in other regions through websites of the cities and districts or promotional pamphlets.
    Education and promotion should be utilized to encourage the idea that deceased patriots and the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 should be acknowledged by the whole Korean nation. Base for education promotion is academic research. Promotion and education for the public should be divided for students/youth and the general public. Proper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s for students/youth should be developed and practiced and promotion/eduction on independence movement as the root of Korean identity and the growth force to maintain the essence of Korean nation should be offered to the general publ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