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기 불교의 중도 개념 재검토 (A Re-examination of the Middle-way Conception in Early Buddhis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5.06
30P 미리보기
초기 불교의 중도 개념 재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아시아연구 / 21권 / 1호 / 57 ~ 86페이지
    · 저자명 : 남수영

    초록

    논자는 본고에서 초기불교 경전을 중심으로 중도 개념을 재검토함으로써, 초기불교의 중도 개념이 우이 하쿠주(宇井伯壽), 나까무라 하지메(中村元), 틸만 페터(Tilmann Vetter) 등이 주장하는 것처럼 파편적이고 분리적인 것이 아니라, 지혜와 열반 및 열반을 성취한 성자의 삶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초기불교에서 중도의 기본 개념은 ‘쾌락과 고행, 상주론과 단멸론 등 여러 가지 극단적인 실천과 이론을 떠나서, 수행자를 열반으로 인도하는 팔정도’라고 정의된다. 그런데 초기불교에서 팔정도는 계정혜의 삼학이라고 말해진다. 그러므로 초기불교에서 사성제, 삼법인, 12연기는 모두 중도 즉 팔정도에 포함된다. 왜냐하면 사성제, 삼법인, 12연기는 모두 팔정도의 수행을 통해서 얻어진 지혜로서 정견이라고 말해지기 때문이다.
    팔정도는 사성제, 삼법인, 12연기를 아는 지혜를 포함하지만, 팔정도와 지혜의 관계는 일방적인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사성제는 팔정도의 논리적 근거로서, 팔정도 수행의 필요, 방향, 목적,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사성제와 팔정도의 양자는 상호포함관계이기 때문이다. 그와 유사하게 사성제와 12연기도 상호포함관계이다. 여기서 팔정도, 사성제, 12연기는 서로 분리될 수 없는 관계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사성제가 팔정도의 논리적 근거인 것처럼, 삼법인은 사성제의 논리적 근거이다. 왜냐하면 삼법인은 사성제에서 분명치 않았던 갈애가 고통의 원인이라고 말해지는 이유와 갈애의 소멸로 인한 해탈의 성취 과정을 분명하게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사성제를 올바르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삼법인을 함께 설명해야 하며, 삼법인을 제외하면 사성제를 올바르게 설명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찰로부터 중도 즉 팔정도, 사성제, 삼법인, 12연기를 분리된 것으로 간주하는 우이 등의 주장은 모두 불합리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초기불교 경전에 따르면 출가한 이후 수행자들은 대체로 팔정도의 단계를 따라 지견(知見)으로부터 누진통에 이르는 여러 지혜 및 해탈과 해탈지견을 성취했다고 생각된다. 그런데 초기불교 경전에 의하면 그와 같은 여러 지혜 및 해탈과 해탈지견은 모두 지혜에 속한다고 한다. 또한 불타는 열반을 성취한 후 계율과 선정과 지혜를 중심으로 하는 팔정도의 삶을 벗어나지 않았고, 아라한과를 성취한 그의 제자들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므로 초기불교의 중도 개념은 우이 등이 주장하는 것처럼, 파편적이고 분리적인 것이 아니라, 사성제, 삼법인, 12연기 등의 지혜와 열반 및 열반을 성취한 성자의 삶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임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basic conception of middle way of early buddhism is ‘the eight noble paths which leads disciplinants to ultimate liberation, apart from extreme theory and practice, like as hedonism and asceticism, eternalism and extinctionism and so on’. But the eight noble paths is regarded as three learnings like as commandments, concentration, wisdom. Therefore the middle way or the eight noble paths includes the four noble truths, three signs of being, and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Because they are all right views or wisdoms gained by practice of the eight noble paths.
    The eight noble paths includes the four noble truths, three signs of being, and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but the relation of eight noble paths and the widoms is not one side. Because the four noble truths is logical basis of the eight noble paths, to explain necessity, direction, purpose, contents of the eight noble paths, and the two, the four noble truths and the eight noble paths, are a relation of mutual inclusion. The four noble truths and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are a relation of mutual inclusion as similar with that. Therefore the eight noble paths, the four noble truths, and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could not be divided.
    The three signs of being is logical basis of the four noble truths, like as the four noble truths is logical basis of the eight noble paths. Because the three signs of being explain the reason of saying ‘craving is the cause of sufferings’ and the process of achievement of ultimate liberation by extinction of the craving or greed, which is not clear in the four noble truths. So one should explain the three signs of being to explain the four noble truths correctly, can not explain the four noble truths correctly except the three signs of being. We could know the facts, from this examination, that Ui Hakuju, Nakamura Hajime, and Tilmann Vetter’s opinions, which regard the wisdoms of the middle way, the eight noble paths, the four noble truths, the three signs of being,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are separated, are all irrational.
    The disciplinants, after entering the priesthood, acchieve various wisdoms from wisdom of destroying all agony to clear wisdom of ultimate liberation, following to stage of the eight noble paths, in early buddhist scripture. But the various wisdoms, ultimate liberation, and clear wisdom of ultimate liberation are all included in wisdom in early buddhist scripture. Also the Buddha, after achieving ultimate liberation, do not escape from a life of the eight noble paths, and his disciples, after achieving ultimate liberation, are all same.
    Therefore we could confirm the middle way conception in early buddhism is not a destroyed and separated one as some scholars insist, but a comprehensive one including the four noble truths, the three signs of being, and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아시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