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호 이익 형법사상 재조명 (Reinterpretation of Seongho Lee Ik's Criminal Law Id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6.08
42P 미리보기
성호 이익 형법사상 재조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법학 / 72호 / 1 ~ 42페이지
    · 저자명 : 하태영

    초록

    Ⅰ. 『성호사설』은 약 300년 전 부패한 조선 후기 사회에 ‘문헌(文獻)’으로 정면도전한 조선 선비의 글이다. 전체 3007편이다. 『성호사설』 형사법 관련 논단을 읽으면서 성호 글은 오늘의 우리 세상을 통찰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형사법과 관련된 글이 22편정도 된다. 형법철학, 형벌철학, 형사소송철학, 형사철학 그리고 형법사상으로 분류하였다. 성호 주장이 담긴 내용을 분석하면서 현대적 의미를 모색했다.
    성호는 강간과 화간 개념을 명확하게 구분한다. 성호는 폭력으로 옷을 벗기고 여자가 거절하는데 겁간하려 하는 것은 이미 강간에 해당한다고 해석한다. 범행자에게 쫓기어 쉴 사이 없이 달아나다가 모면하지 못한 것도 강간에 해당한다고 본다. ‘인과관계’와 ‘고의’의 문제를 통찰한 탁월한 법해석이라고 생각한다.
    Ⅱ. 성호의 형사제도 개혁안들은 이상론이 아니다. 현실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실천에 옮길 수 있는 대안들이 명쾌하게 제시되어 있다. 성호 주장은 오늘날 형사정책적인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다. 그래서 ‘조선 실학사상 대부’라고 부른다. 나는 감히 ‘한국 근대 형사철학 선각자’라고 평가한다.
    조선 후기 은둔 철학자, 성호가 피로 쓴 논단은 거대한 ‘사색의 산맥’이다. 나는 성호가 퇴계(退溪, 1501~1570)와 남명(南冥, 1501~1572) 그리고 율곡(栗谷, 1537~1584)과 다산(茶山, 1762~1836)을 이어 주는 중요한 ‘조선의 진보사상가’라고 생각한다. 300년을 멀리 보신 분이다.
    경기도 안산에 살았던 성호가 ‘세월호 사건’을 직접 보았다면 우리 사회에 어떤 말을 했을지 궁금하다. 그리고 ‘김영란법’을 보았다면 어떤 평가를 내렸을지 궁금하다.
    Ⅲ. 이 논문은 『성호사설』 인사문과 경사문 그리고 만물문에 수록된 형사법 관련 22편의 논단을 발굴하여 현대적 의미를 검토하였다. 이 논문의 목적은 조선 후기 형법과 형사소송법 그리고 형사정책 이론과 실제를 조망하는데 있다. 그리고 조선 후기 역사와 성호 형법사상을 재조명하여 한국 형법학의 정신사를 풍부하게 하는데 있다. 후행연구에 길잡이가 되었으면 한다.

    영어초록

    Ⅰ. 『Seongho saseol』 is a Joseon classical scholars' writing that directly challenged against corrupt late Joseon society around 300 years with ‘literature(文獻)’. It is composed of total 3007 articles. When reading the paragraph related to criminal law of 『Seongho saseol』, the researcher considered that Seongho's writings had an insight into our world today.
    There are about 22 writings related to criminal law. There were classified into criminal philosophy, punishment philosophy, criminal procedure philosophy, criminal case philosophy, and criminal law idea. This research investigated modern significance by analyzing the content that contains Seongho's insistence.
    Seongho definitely divided the concept between rape and adultery. Seongho interpreted the case of undressing with violence intending to rape belongs to rape. He also considered the case as a rape when a victim couldn't evade the criminal while running away being chased. The researcher considers it is an excellent law interpretation that had an insight into the matter of ‘intention’.
    Ⅱ. Seongho's criminal affair system reform plans are not the ideal theory. The alternatives that can concretely analyze and practice in reality are clearly suggested. Seongho's insistence has a big significance in respect of criminal policy today. Accordingly, he is called ‘a godfather of Joseon Silhak idea’. The researcher dare to evaluate it as ‘the pioneer of Korean modern criminal affair philosophy’.
    The paragraphs that Seongho, late Joseon hermit philosopher wrote were a huge ‘mountain chain of meditation’. The writer considers Seongho as an important ‘progressive thinker’ that connected Toegye(退溪, 1501~1570), Nammyeong(南冥, 1501~1572), Yulgok(栗谷, 1537~1584) and Dasan(茶山, 1762~1836). He viewed 300 years far away.
    The researcher wonders what would Seongho say to our society when he witness ‘Sewol ferry incident’, who lived in Gyeonggi-do Ansan. Also, the researcher wonders what would he make assessment of ‘Kim yeongran law’.
    Ⅲ. This research reviewed the modernistic significance by discovering the discourse related to criminal law included in Insamun, Gyeongsamun, and Manmulmun of 『Seongho saseol』.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o view the theory and reality of late Joseon criminal law, criminal procedure law, and criminal policy. Also, this research intended to enrich mental history of Korean criminal law by reinterpreting late Joseon history and Seongho's criminal law id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