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분묘기지권의 재해석 (Reinterpretation on the Right of Graveyard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5.12
25P 미리보기
분묘기지권의 재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중앙법학 / 17권 / 4호 / 235 ~ 259페이지
    · 저자명 : 사동천

    초록

    장사법 제27조 제3항을 해석함에 있어서, 장사법의 시행에도 불구하고 시행전후 모두 분묘기지권의 인정여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만, 장사법 시행 이후에도 분묘기지권을 취득하는 3가지 유형 모두 인정되는 것이지만, 그로써 취득한 분묘기지권을 가지고 ‘해당 토지 소유자, 묘지 설치자 또는 연고자에게’ 주장(대항)할 수 없을 뿐이라고 해석된다. 즉 이 규정은 각종 문헌에도 불구하고 사법상의 권리를 직접 언급한 것이 아니라 단지 토지소유자 등에게 대항할 수 있는지 여부를 규정한 것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분묘기지권은 지상권 유사의 용익물권이므로 누구에게나 권리를 주장할 수 있고, 어느 누구도 침해할 수 없지만, 이 법 시행 이후에 설치된 동의 없는 분묘에 관한 분묘기지권을 가지고 해당 토지 소유자 등에게는 대항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장사법이 제정된 이후에도 분묘기지권의 시효취득도 인정되고, 분묘에 관한 합의 없이 토지를 양도한 경우에 분묘소유자는 분묘기지권을 취득하며, 토지의 사용승낙에 의하여 분묘를 설치한 경우에도 분묘기지권을 취득한다고 해석된다. 이러한 해석에 의해서만이 당해 토지 소유자 아닌 제3자가 분묘를 침해하였을 경우에 분묘소유자는 불법행위책임을 물을 수 있다. 또한 분묘의 소유는 그 성질상 분묘의 연고자만이 향유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설령 정당한 권원 없이 불법으로 설치된 분묘에 대해서도 토지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분묘가 토지의 구성부분으로 해석되어 토지소유자의 것으로 볼 수는 없기 때문이다. 물론 이 경우 유골 또는 시신만이 연고자의 소유로 하고, 분묘자체는 토지에 부합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분묘는 시신, 유골, 봉분, 분묘기지 등을 일체로 하여 그 의미가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해석가능성은 봉쇄된다할 것이다.
    장사법 제19조 제1항에 「설치된」분묘의 설치기간의 기산점과 이 법의 시행일을 고려하면 이 법 시행일 이전에 설치된 분묘의 설치기간의 기산점은 이 법 시행일을 의미하고, 그 설치기간은 장사법 시행일로부터 15년으로 해석함이 상당하다 할 것이다. 비록 장사법 개정시의 부칙 <법률 제6158호, 2000.1.12.> 제2조에서 “이 법 시행후 최초로 설치되는 분묘부터 적용한다.”, 제3조에서 묘지 등에 관한 경과조치로서 “이 법 시행당시 종전의 규정 또는 다른 법령에 의하여 설치된 묘지·화장장 및 납골당은 이 법에 의하여 설치된 묘지·화장장 및 납골시설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으나, 이는 2001년 1월 13일 이후에 설치된 분묘에 대해서 설치된 때로부터 설치기간을 기산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고, 그 이전에 설치된 분묘에 대해서는 동 부칙 제3조에 의하여 종전의 규정 또는 다른 법령에 따라 설치된 묘지ㆍ화장장 및 납골당은 이 법에 따라 설치된 묘지ㆍ화장시설 및 봉안시설로 보기 때문에, 이를 토대로 해석하면 2001년 1월 13일 이전에 설치된 분묘에 대해서는 2001년 1월 13일부터 설치기간이 진행한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15년의 설치기간이 경과한 때에는 장사법 제19조 제2항에도 불구하고 토지소유자의 승낙 없는 것으로 보아 장사법 제27조 제3항에 의하여 분묘소유자는 당해 토지소유자 등에게 분묘기지권을 주장할 수 없다고 할 것이다.
    지상권은 지상물의 존재여부와 관계없이 성립하고, 설정기간이 만료하면 소멸하지만, 분묘기지권은 분묘의 수호 및 봉제사, 분묘의 존재를 성립요건 및 존속요건으로 함에 비추어, 설치기간이 만료되었다는 이유만으로 소멸하지 않고, 실제로 분묘에 설치된 시설물을 철거한 때 소멸한다고 새겨야 한다(장사법 제20조 제1항 참조).
    장사법 제19조 제2항의 해석에 있어서, 법문 상으로는 분묘의 연고자가 그 설치기간의 연장신청을 하면 ‘연장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을 뿐, 당해 토지 소유자의 소유권이 침해될 수 있음에 대해서는 간과하고 있다. 강행규정으로 규정되어 있음에 비추어 중대한 입법적 불비라 할 것이다. 분묘연고자를 위하여 당해 토지 소유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규정은 위헌의 여지가 없는지 의심이 된다. 따라서 분묘기지권에 의해 토지를 점유한 자는 장사법 제19조 제1항의 기간이 종료하면 당해 토지소유자의 동의가 없는 한 연장허가에도 불구하고 그 효력은 당해 토지소유자에게 효력이 미치지 않는다고 제한적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이 경우 토지소유자의 승낙이 없는 것으로 보아 장사법 제27조 제3항에 의하여 분묘소유자는 토지소유자 등에게 그 권리를 주장할 수 없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When interpreting paragraph 3, Article 27 of the Funeral Law, the Right of Graveyards is not affected before and after the enforcement despite of the enforcement of the Funeral Law. However, it is interpreted that all 3 types of acquiring the Right of Graveyards are accepted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Funeral Law, but the one who acquired the Right of Graveyards in those ways cannot resist to the owner of the land and so on. In other words, this policy only ruled whether one can resist to the owner of the land; it did not directly mention the judicial right.
    The Right of Graveyards is a real right to purpose the use and the profit so that holder of the right can claim anyone the right and nobody can arrogate it; however, when the Right of Graveyards is installed after the enforcement of this law, if he did not receive the consent of the landowner, the one who has the Right of Graveyards cannot resist to the owner of the land. Thus, it is interpreted that an acquisitive prescription of the Right of Graveyards after legislation of the Funeral Law is accepted, the grave owner acquires the Right of Graveyards when transferring land without the settlement related to the grave, and the Right of Graveyards can be acquired when installing the grave by use approval of the land. Only by this interpretation, the grave owner can ask for responsibility of tort liability when a third person, not land owner, invade the grave.
    Also since only the grave owner can enjoy the possession of the grave, it can be interpreted that even the grave that is installed illegally without a right title does not accord with the land. It is because that the grave is interpreted to the component of the land, so it cannot be considered as the possession of land owner.
    Naturally, it can be thought that only corpse or remains is possessed by the grave owner and the grave itself is accorded with the land, but since the grave is meaningful when the corpse, remains, burial mound, and graveyards are all gathered together, this possibility of interpretation can be blocked.
    On Article 19, paragraph 1 of the Funeral Law, when considering installed the installation time period of the graves and the enforcement date of the law, the installation time period of the graves that is installed before the enforcement date of the law means the enforcement date of the law, and it can be considerable when interpreting the installation time period to 15 years from the enforcement date of the Funeral Law.
    When the installation time period of 15 years elapses, despite of the Funeral Law, Article 19, paragraph 2, there is no permission of land owner; thus, by the Funeral Law, Article 27, paragraph 3, the grave owner cannot claim the Right of Graveyards to the land owner.
    The surface rights is valid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the things on the ground, and expires when the installation time period terminates; however, the Right of Graveyards demand about requirement for establishment and requirement for continuity to exist the grave. Thus, the Right of Graveyards does not lapse only when the installation time period terminates; it should be printed that it lapses when actually tearing down the things installed in the grave. (refer to the Funeral Law, Article 19, paragraph 2).
    When interpreting the Funeral Law, Article 19, paragraph 2, the law only provides the rule that the installation time period of the grave should be extended when related party to the grave requests to do so; however, it overlooks that the ownership of the land owner can be invaded. According to the fact that it is a mandatory provision, it is an important legislative defect.
    Therefore, it should be restrictively interpreted that when the period of the Funeral Law, Article 19, paragraph 1 expires, one who occupies the land by the Right of Graveyards cannot affect the land owner despite of the permission of extension, unless the land owner agrees with it. In this case there is no permission of the land owner, so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grave owner cannot claim the right to the land owner by the Funeral Law, Article 19, paragraph 1.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앙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