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력전이와 해양패권 쟁탈전: 공공재·전환재 경쟁을 중심으로 (Power Transition and the Struggle for Maritime Hegemony: From an Angle of Public·Divertible Goods Competiti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9.12
30P 미리보기
세력전이와 해양패권 쟁탈전: 공공재·전환재 경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글로벌정치연구 / 12권 / 2호 / 85 ~ 114페이지
    · 저자명 : 김지용

    초록

    미중 간 세력전이가 투키디데스의 덫 때문에 패권전쟁에 이르게 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이 대두되고 있다. 미중 간 세력전이가 가시권에 들어섰음을 고려할 때, 패권전쟁의 향방을 결정짓는 것은 중국의 현상타파 성향이다. 본 연구는 중국의 현상타파적 성향이 역사적 맥락과 석유수송의 측면에서 기인한다고 주장하면서, 그러한 성향이 수세적 제해권 구축과 팽창적 제해권 구축으로 표출되고 있음을 면밀히 분석하고 있다. 특히, 19세기 양무운동에서 21세기 A2/ AD로의 진화과정을 통해 수세적 제해권 구축이 왜 현상타파적일 수밖에 없는지를 역사적으로 추적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지도들을 활용하여 ‘덧칠하기’ 방식과 ‘우회하기’ 방식을 통해 중국이 팽창적 제해권 구축을 시도할 수밖에 이유를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미중 양국이 전쟁의 임계점을 넘지 않는 수준에서 현상변경을 시도하거나 그러한 시도를 좌절시키는 회색지대(gray zone) 전략을 구사하며 경쟁할 것이라고 보면서, 그러한 경쟁의 양상을 해양패권 쟁탈전의 측면에서 조명하고 있다. 특히, 미국이 주도하는 인도태평양 전략과 중국이 주도하고 있는 일대일로 전략 간의 힘겨루기를 지정학적 패치워크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있다. 그리고 공공재·전환재 경쟁이론의 추상적 일반성과 현실적 구체성을 통해 미중 및 주변국이 어떠한 전략을 구사해 왔는지를 설명하는 동시에 향후에 구사할 전략을 예측하고, 한국의 안보정책이 지향해야 할 점을 모색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US-China power transition arouses the concern of hegemonic war because of Thucydides's trap. Considering that the US-China power transition is at vision, the probability of war depends on China's revisionist propensity. Contending that China's revisionist propensity comes from historical context and oil transport. this study examines thoroughly that China's dissatisfaction of status quo is manifested by building the defensive and expansionistic command of the sea. Why building the defensive command of the sea proves revisionist propensity is identified historically by looking at the evolutions from 洋務運動 to A2/AD. Why building the expansionistic command of the sea through ways of 'pointing over' and 'detouring' proves revisionist propensity is demonstrated practically by various maps. However, arguing that two powers would try to revise or strengthen the status quo below the critical point of war,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struggle for maritime hegemony in terms of the gray zone strategy. For this, the Indo-Pacific strategy and the One Belt One Road strategy are employed as the unit of analysis and are analyzed in terms of geopolitical patchwork. Lastly, in an angle of the public·divertible goods competition theory, the strategies which two powers and marginal states have used are explained and strategies which they would use are predicted. Based on those findings, several considerations for security policy are draw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