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불교 생전예수재의 특성 - 회편과 차서와 상례화를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 of Saengjeonyesujae(生前預修齋) in Korean Buddhism – focusing on the compilation, the procedure and the usual practice -)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5.06
37P 미리보기
한국불교 생전예수재의 특성 - 회편과 차서와 상례화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토학회
    · 수록지 정보 :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23권 / 9 ~ 45페이지
    · 저자명 : 이성운

    초록

    이 글은 사후추천재인 칠칠재를 생전에 본인이 직접 시왕에게 공양 올리고 전생의 빚을 갚으며 경전을 보는 한국불교 생전예수재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예수재의문 회편의 특성과 차서의 재구조화, 예수재의 상례화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그 특성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한국불교계에는 10세기경부터 시왕사상에 입각한 사후칠칠재나 명부 시왕에 권공하여 명복을 비는 신앙이 발달하였다. 현재 한국불교 예수재의문의 고형은 『예수십왕생칠재의찬요』로 생몰을 알 수 없는 대우 스님에 의해 16세기 중반에 집술(集述)되었다. 자료를 모으고 저술하여 ‘찬요(纂要)’라고 이름을 붙였는데, 이는 수륙재 ‘찬요’의 편집 전통을 일정 따르고 있다. 같은 방식의 이름을 붙임으로써 같은 문장의 요소를 택하거나 편집에 있어서도 유사한 방식을 전승하고 있다. 또 가장 전통적인 수륙재의 한 형태라고 할 수 있는 ‘촬요(撮要)’의 편제도 일정 부분 도입함으로써 한국불교 의례의문의 간행정신을 잇고 있음이 특이하다. 아울러 예수재에는 한국적 정서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거듭 거듭하는 공양 올리는 중층적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예수재는 집술 이후 역사를 거듭하면서 의례의 차서가 점차 재구조화되고 있다. 신중의 옹호를 발원하는 ‘창불(唱佛)’의식을 어느 위치에서 행하느냐 하는 데 대한 견해가 다양하지만 창불은 적어도 전(全)의식의 서두에 행해지는 것이 옳다고 할 수 있다. 또 예수재 본 의식에서, 관음보살을 청하여 걸수(乞水)하고 쇄수(灑水)하는 의식을 추가함으로써 엄정팔방(嚴淨八方)을 보완하거나 또 그곳에서 설법의식을 행하는 등 의례를 재구조화하고 있다. 영산․수륙재에서는 법화경이 염송되거나 설해지지만 예수재에서는 저승빚과 함께 바치는 간경(看經)은 금강경이 염송되었을 것이고, 그것은 금강경찬으로 대체되었다.
    시왕재나 소번재(燒幡齋)로 불리다가 16세기 중반 예수재라고 명칭 되며 발달하였다고 보이는 생전예수재는, 초하루 보름의 불공이나 십재일의 헌공과 같이 상례화의 길을 걸었다. 또 봄가을의 수륙재 등에 예수재가 합설되면서 고유의미가 퇴색되었다. 특히 시왕권공의 십재일이 그 주(主)불보살에게 올리는 공양으로 인식되어 명부시왕과 관련된 재일은 지장재일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일상예수(日常預修)라는 의미로 생전예수재가 축소되었지만 거기서 행해지는 독특한 종합의례로서의 성격까지는 감소되지 않아 20세기에 들어오면서 영산재 수륙재 등과 함께 종합의례들이 정비되고 신앙되면서 그 본래적 기능을 되찾고 있다. 또 생전예수재는 윤달에 주로 행해지고 있었지만, 현재 도하 사찰에서 우란분재를 칠칠재로 봉행하는 등 생전예수의 본래적 의미에 따라 윤년에 구애되지 않고 수시로 행해지고 있다.

    영어초록

    This essay considers the characteristic of Saengjeonyesujae(生前預修齋, performing the rites during life in order to be reborn into Buddha’s land after death) in Korean Buddhism, where one performs Chilchiljae(七七齋, weekly ritual for the deceased for seven weeks) in advance while in life, a kind of Chucheonjae after death(死後追薦齋, the ceremony of praying for the repose of one's soul). It is performed through offerings to the ten kings of hell, repaying the debt of the earlier life and by reading the Buddhist scriptures. Here we discuss Saengjeonyesujae focusing upon the trait of compilation of ritual program in Yesujae, the reconstitution of its procedure, and its usual practice.
    In the 10thcentury the belief of praying for the repose of one’s soul developed in Korean Buddhism, where people perform Chilchiljae after death or made offering to the ten kings in the nether world based on the thought of the ten kings of hell(十王思想). The earlier version of ritual program in Yesujae, Yesusiwangsaengchiljaeuichanyo(『預修十王生七齋儀纂要』) was compiled in the mid 16th century by Ven. Daewoo(大愚) unknown his birth and death date. He named his compilation as ‘Chanyo’(纂要, the compilation of the gist), which follows the editing tradition for the compilation of the gist. It succeeds the publication spirit of Korean Buddhist ritual program by adopting the organization of Chwalyo(撮要, the selection of the gist), another form of the traditional Suryukjae(水陸齋, 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and shows a multi-layered structure of offering.
    The order of program in Yesujae has gradually been restructured since his compilation was published. There are a variety of different views on when the ceremony of chanting Buddha, the prayer for gods’ protection should be performed, however I think it should be performed at the opening of the rite. Also, the rite is restructured by the addition of the ceremony of inviting Avalokiteśvara and involves the sprinkling of holy water to purifies the eight directions, and a dharma talk. The Lotus Sutra(Saddharma Puṇḍarīka Sūtra) is read or taught in Yeongsan․Suryukjae(靈山․水陸齋, Vulture Peak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while The Diamond Sutra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 was read along with the repayment of afterlife debt in Yesujae before being replaced by the compilation of the gist of The Diamond Sutra(『金剛經纂』).
    Saengjeonyesujae was originally called Siwangjae(十王齋, the rite for the ten kings of hell) or Sobeonjae(燒幡齋, the ceremony of burning the papers) which were further developed in the mid 16th century to become Yesujae. It has become a common practice such rituals as making an offering to Buddha on the first day of every month, and every full moon day and dedication on Sipjaeil(十齋日, Ten precept days). It lost its inherent meaning as it has become combined with Suryukjae. This was especially the case for sipjaeil, which became an offering to the Buddha and bodhisattvas instead of the ten kings of hell while the offering for the ten kings in the nether world became part of Jijangjaeil(地藏齋日, the celebration for Kṣitigarbha, a bodhisattva of Earth Treasury). Saengjeonyesujae was reduced to the usual practice of Yesujae. But its composite feature is preserved and it has regained its inherent functionality as the composite rites including Yeongsanjae and Suryukjae after being reorganized in 20thcentury. Generally it is performed on leap months but may also often be performed at the temples in the capital when Chilchiljae is substitute for the Uranbunjae(the ceremony for dead ancesto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