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심재 조긍섭의 비슬산 은일과 그 의미 (The Perception of Simjae(深齋) Jo, GeungSup on Biseul Mountain and Its Meaning)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20.03
34P 미리보기
심재 조긍섭의 비슬산 은일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87호 / 179 ~ 212페이지
    · 저자명 : 김종구

    초록

    본 연구는 深齋 曺兢燮(1873-1933)이 은일한 비슬산에 관심을 가졌다. 즉, 그의 비슬산 인식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도출하였다.
    심재 조긍섭의 비슬산 은일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는 은일을 지향하여 서정을 즐기는 공간으로 인식했다. 근대전환기의 불우한 시대를 잠시 잊고 비슬산, 산수에 노닐며 더욱 깊이 들어가 은일하고자 했다. 둘째, 심재 조긍섭은 비슬산의 광거당 · 정산 · 쌍계 일대를 강학문화 공간으로 인식했다. 이 지역은 대구의 선비뿐만 아니라 주변 지역을 아울러 강학문화의 성소로 자리했다. 셋째, 그는 비슬산 일대를 실질적으로 도학을 실천하는 공간으로 인식했다. 심재 조긍섭은 虛名뿐인 근대전환기의 선비가 아닌 실질적으로 도학을 실천한 선비였다.
    심재 조긍섭이 비슬산에서 행한 문화는 우선 지조와 절개를 지킨 백이숙제를 떠오르게 한다. 그는 이들보다 한 단계 더 나아가 자신의 수양뿐만 아니라 백성을 사랑하는 애민정신도 발현하였다. 이는 모두 지조와 절개를 지키며 求道的 인격체를 완성하기 위한 노력이었다.
    비슬산은 팔공산과 함께 대구의 주요한 산이다. 조긍섭이 근대전환기에 비슬산을 중심으로 일으킨 전통 유학의 선비문화는 전시대를 아울러 주목할 만하다. 상실해 가던 전통 유학문화의 전승과 망해 가던 나라를 일으킬 수 있는 강한 힘과 초석을 마련한 것이다.

    영어초록

    Simjae(深齋) Jo, GeungSup(1873-1933) took an interest in Biseul Mountain(琵瑟山), which is seclusive.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his seclusion on this mountain and the meaning of it.
    The seclusion of Simjae(深齋) Jo, GeungSup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e pursued seclusiveness, so that he perceived Biseul mountain as a place to enjoy lyricism appreciation. He wanted to go deeper into the natural beauty and scenary while forgetting the disagreeable circumstance at the time of the turning point towards modernization. Second, Jo, GeungSup saw the areas of Gwanggeodang, Jungssan, and Ssangye as sanctuary places in pursuit of studying. Third, he perceived the whole areas of Biseul mountain as space of practically practicing Taoism. Jo, GeungSup was not a scholar with a false reputation at the time of turning point towards modernization, but he was a real literary man, The culture in Biseul mountain, performed by Jo, GeungSup makes us think of Hakui and Shukusei in a sense that they kept practicing fidelity and integrity. Furthermore, he manifested not only self-discipline but also loving for people. It reveals his efforts for completing prayful speculation, seeking for the truth as a human, along with the spirit of fidelity and integrity.
    Bisleul Mountain(琵瑟山) is the main mountain of Daegu along with Palgong Mountain. Jo, GeungSup Seonbi culture of traditional Confucianism, which was centered on Bisleul Mountain(琵瑟山)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is remarkable at the exhibition stand. It is a strong foundation and a foundation that can bring about the transmission of a lost traditional study abroad culture and a ruined coun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