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통일 이후 신라 將軍制의 변화 - 將軍號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Changes in the Janggun system of Silla after Unification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title of the Janggun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23.08
32P 미리보기
통일 이후 신라 將軍制의 변화 - 將軍號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구사학 / 152권 / 1 ~ 32페이지
    · 저자명 : 최상기

    초록

    통일 이후 신라의 將軍制는 상임 관직으로서의 장군이 출현하고, 將軍號가 개인에게 귀속되는 등 이전과 달라지는 모습을 보였다. 神文王 원년(681)에 설치된 侍衛府將軍은 임명 규정과 역할을 감안할 때 상임 장군으로 보아야 한다. 그 전신은 侍衛府大監이었는데, 신문왕은 즉위 무렵의 불안한 정국을 타개하기 위해 친위 군사 조직의 책임자를 군령권의 즉각적인 발동이 가능한 장군으로 대체했다고 추정된다. 다만 이로 인해 국왕의 고유 권한인 군령권이 시위부장군에 상시 이양되는 결과도 함께 발생했다. 九誓幢將軍도 같은 이유로 상임 장군이었다고 여겨진다. 특히 신라에 더해 피복속 집단 출신자로 구성되었다는 특성을 토대로, 평소에도 국왕의 권위를 시각적으로 장식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하지만 상임 장군의 증가는 국왕의 통제 여부에 따라 군령권을 타인에게 분산시킬 소지가 있었다. 한편 聖德王 시기의 발해 원정에서 이루어진 장군 임명을 통해, 통일 이전의 방식도 유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下代에 등장하는 順天軍將軍은 지휘 대상인 순천군의 특수성으로 인해, 유일하게 그 지위를 가졌던 金雄元에게 고정되었다고 보인다. 「경주 흥덕왕릉 비편」의 驍騎將軍은 시위부장군의 별칭으로 여겨지는데, 진골 유력자 휘하의 인물이 시위부를 장악하면서 그 칭호를 독점하게 되었다. 장군호의 개인 귀속은 군령권의 소재 측면에서 왕권에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이 컸다. 平東將軍은 淸海鎭 소속이 아닌 金陽이 청해진의 군사력을 지휘해야 하는 상황에서 불가피하게 선택되었지만, 장군임에도 군령권 행사가 제한된 당시의 상황이 반영된 결과였다. 鎭海將軍은 규정상 장군으로 임명될 수 없는 弓福에게 주어졌다는 사실만으로도, 장군제의 쇠퇴를 상징하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신라 말기 장군제의 쇠퇴와 연동해 지역 유력자의 장군 자칭이 증가하면서 장군의 위상은 더욱 낮아졌고, 知州諸軍事 계통의 지위가 장군을 대체하게 되었다.

    영어초록

    After unification, Silla(新羅)'s Janggun(將軍) system showed a different appearance from before, such as the emergence of a Janggun as a standing official and the attribution of the Janggun's title to an individual. The SiwuibuJanggun(侍衛府將軍) established in the first year(681) of King Sinmun(神文王) should be regarded as a standing Janggun considering the appointment regulations and roles. Before installing the SiwuibuJanggun, the head of the royal guard was a SiwuibuDaegam(侍衛府大監). In order to overcome the unstable political situation around the time of his accession, King Shinmun is believed to have replaced the position in charge of the royal guard with a Janggun that can immediately activate the military command. However, this also resulted in the transfer of the king's own authority, the military command, to the SiwuibuJanggun at all times. The Nine-SeodangJanggun(九誓幢將軍) is believed to have been a standing Janggun for the same reason. In particular,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composed of people from subordinate groups in addition to Silla, it played a role in visually decorating the authority of the king. However,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tanding Jangguns was likely to disperse military command rights to others depending on whether the king controlled them. Meanwhil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ethod before unification was maintained through the appointment of a Janggun during the invasion of Balhae(渤海)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deok(聖德王). It seems that the SooncheongunJanggun(順天軍將軍) who appeared in the late Silla period was fixed to Kim, Woongwon(金雄元), who was the only one who had the position due to the specificity of the unit in command. The HyogiJanggun(驍騎將軍) carved in the tombstone piece of the tomb of King Heungdeok(興德王) is considered a nickname for the SiwuibuJanggun. A figure belonging to a powerful Jingol(眞骨) took control of the Siwuibu and monopolized the title of the person in charge. The personal attribution of the title of the Janggun was likely to negatively affect the royal authority in terms of the authority of military orders. The PyeongdongJanggun(平東將軍) was inevitably chosen in a situation where Kim, Yang(金陽), not a member of Cheonghaejin(淸海鎭), had to command Cheonghaejin's military power. But it was a reflection of the situation at the time when the exercise of military orders was restricted even though he was a Janggun. The fact that the JinhaeJanggun(鎭海將軍) was given to Goongbok(弓福), who could not be appointed as a Janggun due to regulations, can be said to be an example of the decline of the Janggun system. In conjunction with the decline of the Janggun system at the end of Silla, the authority of the Janggun was further lowered as more and more local influential people called themselves Janggun. And eventually the Jijoojaegunsa(知州諸軍事) replaced the Janggu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구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