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 자크 루소의 한국적 수용 -초창기 루소 수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cceptance of Jean-Jacques Rousseau in the Early Modern Period in Korea)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3.11
20P 미리보기
장 자크 루소의 한국적 수용 -초창기 루소 수용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외국문학연구 / 52호 / 201 ~ 220페이지
    · 저자명 : 송태현

    초록

    본 논문은 한국에서의 루소 사상 수용에 관한 포괄적인 연구는 아니다. 필자는 우선 한국의 초창기(19세기 말~1930년대) 루소 수용이 지닌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이어서 필자는 한국 서사 전통과 루소의 만남이 창조적인 문화변용을 이루는 계기가 되어 ‘고백소설’이 형성되는 데 기여했음을 지적한다. 첫째로, 필자는 한국 최초의 루소 문헌 번역인 『로사민약』(『사회계약론』의 일부), 그리고 루소에 대한 최초의 논설인 묘향산인의 「近代主義의 第一人者 루소先生」과 루소에 관한 최초의 연구서인 강매의 『自由의 神 루소』를 중심으로 그 수용의 성격에 대해 고찰한다. 여기서 필자는 초창기 루소 관련 번역자와 저술가가 자신들의 글의 저본을 솔직히 밝히지 않은 점은 한국의 근대 번역사의 어두운 측면 가운데 하나임을 지적한다. 이어서 루소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루소를 자연주의자로 규정한 것이 지니는 문제와 성격을 고찰한다. 루소에 대한 초창기의 주요 소개자들인 묘향산인과 강매가 천연(天然) 그대로의 자연을 존중하고 인위와 기교를 배척한 루소를 자연주의자로 파악하였고, 루소의 『참회록』을 자연주의 문학의 선구적 작품이라고 주장한다. 일본에서는 루소이즘과 졸라이즘 양 진영 모두를 자연주의로 명명하였고, 일본의 자연주의는 그 가운데서도 졸라보다 루소의 세계와 더 가까운 것이었다. 이러한 일본 내에서의 용어 혼란은 한국에도 이어진다. 그런데 루소 수용 과정의 굴절은 ‘창조적 굴절’로 작용하여 결국 한국에서는 ‘고백소설’이 탄생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는 루소를 비롯한 서양의 전통, 일본의 사소설, 한국의 전통 고백 서사 등이 어우러져 형성된 문학이다. 한국 작가들은 식민지 현실에서 잃어버린 진정한 자아를 찾고자 고백을 시도하게 된다. 작가들은 고백소설이라는 문학형식을 통해 자아를 탐구하면서 한국의 근대문학을 개척해갔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article is not a comprehensive study on the acceptance of Jean-Jacques Rousseau(1712-1778) in Korea. We review, for a start, critically on the problems inherent in the acceptance of Rousseau in the early modern period(1897-1939). Subsequently, we take note of the fact that the impact of Rousseau brought on a creative acculturation in Korea: confessional novel. First, we investigate Rosaminyak the inaugural translation of Rousseau in Korea, as well as the first article and first book on Rousseau in Korea. Through this study we criticize that Korean translators or writers did not candidly speak about the Japanese source of their original text. Second, we investigate the Japan-based refraction in the identification of Rousseau with naturalist. In Japan, they called both rousseauism and zolaism as naturalism. But Japanese naturalism is closer to rousseauism than zolaism. And this confusion leads to the confusing use of the term in Korea. This confusion is not the result of independent reception of Rousseau or naturalism. Third and finally, this refraction brought forth, nevertheless, a confessional novel. It is a literature which is well-matched formation of Rousseau’s confessional literature, I - Novel of Japan, and Korean traditional confessional narrative. Through this confessional novel, Korean modern novelists investigated the self and pioneered Modern Korean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외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