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냉전(冷戰) 지(知)의 균열과 저항 담론의 재구축-1950년대 후반~1960년대 전반 『사상계』 번역 담론을 통해 본 지식 장(場)의 변동- (Cold War Intellectual Collapse and Reconstruction of Resistance Discourse -Knowledge Change Seen from the Discourse on Sasanggye Translation in the second half of 1950s - Mid-1960s-)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5.12
41P 미리보기
냉전(冷戰) 지(知)의 균열과 저항 담론의 재구축-1950년대 후반~1960년대 전반 『사상계』 번역 담론을 통해 본 지식 장(場)의 변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반교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반교어문연구 / 41호 / 511 ~ 551페이지
    · 저자명 : 박지영

    초록

    본고는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중반까지 『사상계』 번역 담론을 통해서 『사상계』가 저항매체로 변화해 가는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1950년대 말에 불어닥친 미국 대외원조 정책의 변화는 남한 지식인들에게 충격을 주게 되고, 이는 곧 경제발전을 통한 빈곤의 탈출이라는 기획에 위기의식을 안겨준다. 이러한 경제적 위기의식은 곧 혁명과 쿠데타를 경험하며, 자립경제의 모색이라는 목표를 만들었으며 이를 통해 제국으로부터의 정치경제적 독립을 희구하는 제3세계 담론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게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이들은 미/쏘의 길이 아닌 제3의 길을 모색하는 방법에도 관심을 기울이면서 민족주의를 저항담론으로 모색하게 된다.
    이러한 탐색 중에서 번역 담론은 이들에게 끊임없이 이론적 자양분을 제공한다. 군정 연장에 반대하는 논리가 소설과 논설로 번역되면서 이 텍스트들은 『사상계』 내부에서 서브 텍스트로서의 역할을 해 낸다. 또한 이후 한국 지식 장에 큰 영향을 미친 진보적 경제학자인 갤브레이스와 모겐소, 뮈르달 등의 논의가 번역된다. 이들의 논의는 자본주의라는 체제 내부의 개혁을 추구하는 경제학자들로, 미국의 원조 경제 정책에 비판적이면서 동시에 저개발국가의 정치경제적 개혁을 견인해 내려고 하였다. 이러한 논리에 힘입어, 『사상계』 지식인들은 정치 개혁에 대한 열망을 표출시키며 군정 연장에 대한 반대 논리를 펼치기도 한다. 또한 저개발국가의 민족주의에 대해 번역하면서 민족주의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F. 헤르츠, 한스 콘 등의 민족주의론이 차기벽에 의해서 번역 소개되기도 한다. 또한 진보적 성향의 학자인 뢰벤탈의 ‘민족적민주주의론’이 완역되어 실리기도 하지만, 주로 인용되는 민족주의론은 서구 근대화론의 자장에서 벗어난 것은 아니었다. 명백히 반제국주의적 성향을 보이는 제3세계 민족주의의 길과는 거리가 있었다. 다만 민족주의적 성향의 국가가 독재화되기 쉽다는 점을 인식하는 데 그쳤다. 이러한 점은 60년대 중반 중립국 논의의 좌초에서도 보여주는 것처럼 이들이 잠시나마 모색했던 제3의 길에서도 마르크스주의적인 것이 아니어야 한다는 좌표가 여전히 위력적인 것이었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후 민족주의 담론은 1970년대를 경유하면서 새로운 텍스트로 번역되면서 저항담론으로 발전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through the Sasanggye translation discourse, how Sasanggye changed as a resistance media in the second half of 1950s - mid-1960s period. A change to the U.S. foreign aid policy, sweeping the late 1950s, shocked South Korea's intellectuals, which in turn brought a crisis mindset into the government's planning for escape from poverty through economic development. The economic crisis mindset led to revolution and military coup, and created the goal of self-reliant economy. This drew attention to the discourse on the third world which sought political and economic independence from imperialist countries. South Korean intellectuals thus took interest in seeking the third way other than the American and Russian way, and explored nationalistic democracy as the resistance discourse.
    Amid this situation, translation discourse continued to provide theoretical nutrition to these intellectuals. They opposed the U.S. military rule extension through the logics of novels and various translated texts, and by translating theoretic arguments about the origin of nationalistic democracy. Amidst this resistance, discussions by the radical economists - Morgenthau, Galbraith, and Myrdal -, who significantly influenced Korean intellectual circles, were translated. These economists, who sought to reform the capitalist system, criticized the U.S. economic policy, and simultaneously tried to lead the political and economic reform in underdeveloped countries. Encouraged by this logics, Sasanggye intellectuals expressed aspirations for political reform, and wrote articles of logics of opposing the U.S. military rule extension. Also, nationalistic theories began to bloom. But, Sasanggye's such discussions ironically progressed together with the critical exploration of nationalistic democracy theories which, in the 1963 presidential election, Park Chung-hee championed.
    Amid this situation, F. Hertz, Hans Kohn and other scholars' nationalism theories were translated and introduced by Cha Gi-byeok to Korean intellectuals. Also, radical scholar Lowenthal's Nationalistic Democracy Theory was completely translated and run in Sasanggye, and the mainly quoted nationalism theory was not far deviated from the West's early-modern reform theory. It was clearly distant from the third world's nationalism which inclined to be anti-imperialistic. The discussion stopped short of a democratic-prone nation becoming easily dictatorship. This suggests that, as shown in the discussion on neural nations in the mid-1960s, the goal - which should at least stay away from Marxism which they explored briefly as a third way - was still powerful. Afterwards, nationalistic discourse, undergoing the 1970s, translated new texts, and developed into resistance discour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반교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