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의 규모별 군집과 역군집 행태 (Herding and Reverse Herding Behavior by Size in Seoul's Apartment Sales Market)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25.05
26P 미리보기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의 규모별 군집과 역군집 행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 / 33권 / 2호 / 27 ~ 52페이지
    · 저자명 : 강재순, 이강용, 정준호

    초록

    · 연구 주제: 본 연구는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을 대상으로 아파트의 규모별 군집행태(Herding) 및 역 군집행태(Reverse Herding)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 연구 배경: 소위 '국평'이라 불리는 국민주택규모 기준(전용면적 85m² 이하)의 아파트에 대한 선호 현상에 주목하여, 아파트 규모에 따른 군집행태와 역 군집행태를 분석한다.
    · 선행 연구와의 차이점 : 기존 연구들은 부동산 시장을 주로 매매시장의 지역별 차이 또는 임차시장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나, 본 연구는 서울 아파트시장의 하위시장을 면적 규모별로 구분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보인다. 특히 Pollock et al.(2024)과 강재순 외(2025)의 분석 모형을 기반으로, 하위시장 단위에서 수요자의 선호가 집중되거나 분산되는 양상을 검토함으로써 부동산 시장 내 행태경제학적 의사결정 구조를 보다 정교하게 이해하고자 한다.
    · 연구 방법 : CCK 모형을 확장한 Pollock et al.(2024)의 방법론을 응용하여, CSAD의 상태 전환 모형을 적용한다. 이를 통해 시장 상승기와 하락기에서의 비대칭적 군집행태, 글로벌 금융위기(GFC) 및 COVID-19 시기의 아파트시장 상황을 분석한다.
    · 연구 결과: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에서 상승기에는 소형과 중형 아파트에서 군집행태가 강하게 발현된다. 반면, 하락기에는 중형 및 중대형 아파트 매매시장에서 역 군집행태가 강하게 나타난다. 특히 COVID-19 시기에는 소위 ‘국평’이라고 불리는 중형 아파트에서 군집행태가 가장 강하게 나타난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본 연구는 지역별 관점이 아닌 규모별 관점에서 아파트 하위시장을 분석함으로써 서울 아파트시장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에 기여하였다. 실무적으로는 정책 입안자, 부동산 개발자, 투자자 등에게 아파트 규모에 따른 수요자 행동의 이해와 예측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 Research topic: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herding and reverse herding behaviors in the Seoul apartment sales market, focusing on apartment size segments.
    · Research background: Given the strong preference for apartments with a net floor area of 85m² or less—commonly referred to as the “National Housing Size” (Gukpyeong)—this study explores how herding and reverse herding behaviors differ across apartment size categories.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Whereas previous studies primarily focused on regional differences in either the sales or rental housing markets, this study distinguishes itself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of apartment submarkets segmented by size within the Seoul housing market. Building on the analytical frameworks of Pollock et al. (2024) and Kang et al. (2025), the study seeks to capture patterns of demand concentration or dispersion within these submarkets, thereby promoting a more refined understanding of behavioral economic decision-making in the real estate market.
    · Research method: This study applies the method of Pollock et al. (2024), which extends the CCK model. The analysis employs the state transition model of CSAD to investigate asymmetric herding behavior during market upturns and downturns, and examines housing market responses during the Global Financial Crisis (GFC) and the COVID-19 pandemic.
    · Research results: In the Seoul apartment sales market, herding behavior tended to be most pronounced in small- and medium-sized apartments during market upswings, while reverse herding behavior was prominent in medium- and medium-large apartment markets during downturns. Notably, herding behavior during the COVID-19 period was strongest in medium-sized apartments, commonly referred to as the “National Housing Size” (Gukpyeong).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This study contributes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Seoul apartment market by analyzing herding and reverse herding behaviors based on apartment size, rather than regional differences. In practical terms, the findings offer valuable insights for policymakers, real estate developers, and investors seeking to understand and forecast consumer behavior based on apartment size characteris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