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내 도예 작업장의 안전수칙 실태연구와 매뉴얼 제안 (A Study on the Condition of Safety Rules in Domestic Ceramics Studio and a Manual Proposal)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7.12
21P 미리보기
국내 도예 작업장의 안전수칙 실태연구와 매뉴얼 제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 수록지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 / 20권 / 4호 / 317 ~ 337페이지
    · 저자명 : 이하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도자 재료학과 안전 보건학을 접목하여 대학의 도자 실기실, 1인 도예공방, 10인 이하의 소규모 작업장 등이 갖추어야 할 알기 쉬운 도예 실기실 안전수칙모듈을 개발하여 도예재료 및 작업환경에 관한 안전의식을 고취시키고 장단기적인 사고와 질병을 예방하고자 하는데 있다.
    도예 실기실의 환경과 재료 및 안전보건의식조사를 위해 국내외 사례연구 및 도예인 설문조사를 하였다. 국내 대학의 도예과에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마련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Material Safety Data Sheet) 화학물질 검색-MSDS 검색 [안전보건공단] http://msds.kosha.or.kr/kcic/msdssearchMsds.do 와 각 학교별 실험실 안전지침서를 비치하는 정도였고 1인 공방이나 소규모 작업장에서는 대부분 안전수칙을 구비하고 있지 않았다. 도자재료 및 안전의식에 관한 도예인 설문지 조사 결과 국내 대학의 도예학과나 단체가 개인 공방이나 10인 이하 소규모 작업장보다는 재료학의 교육이나 시설적인 면에서는 다소 높은 수준과 인식도를 보였으나, 재료의 유해성이나 안전보건 정보 및 교육적인 면의 인식도는 대체로 낮게 나타났다. 도예가들이 주로 사용하는 상, 하회 안료 및 금속산화물에 대한 유해성 인식 조사에서는 발색이 중요하므로 원료의 유해성은 생각해본 적이 별로 없다고 응답한 경우가 25~37%로 꽤 높게 나타났다. 도자기 작업장의 분진에 대한 인식조사결과 잘 모른다 라고 응답한 경우가 20%, 청소만 잘 하면 위험하지 않다 고 한 응답자들이 20%정도로 나타났다. 도자재료에 대한 전반적인 교육 및 경험수준은 높아졌으나 소속 실기실에서 그 유해성을 인식하고 환경을 조정하거나 사용 시 주의하는 안전 의식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위의 설문지 조사결과를 기반으로 한국에서 주로 사용되는 도자기 원료(소지, 유약, 안료) 및 소성, 실기실 관리 및 안전교육에 관한 도예 실기실 안전수칙을 개발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ncourage the consciousness about ceramic materials and the work environment in the potters who operate a small scale business and to prevent long and short term incidents and diseases, developing an easy to know ceramic studio safety precaution module that ceramic rooms at college, one main ceramic studio, small scaled kiln equipped pottery studios with fewer than 10 persons should have by combining Ceramic Material Science and Safety Health.
    For a survey of their consciousness about ceramic studio environment, materials, safety and health, a study of the domestic and foreign cases was conduct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potters. It was found that the Department of Ceramics of the domestic universities had Material Safety Data Sheets (MSDS) prepared by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and laboratory safety guidelines in each school, while most one-man studios or small-scale kiln-equipped pottery workshops were not equipped with safety precautions. As a result of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potters’ consciousness about ceramic materials and safety, the Department of Ceramics of the domestic universities or organizations had a somewhat higher level and perception in terms of material science education or facilities than individual studios or small scaled kiln equipped pottery workshops with fewer than 10 persons; however, they had overall low perceptions about the harmfulness of materials or safety and health information and education.
    In the survey on the potters’ awareness about the harmfulness of over/under glazes and metal oxides they mainly used, 25 to 37% of the respondents responded that they hardly thought about the harmfulness of the materials, since coloring is important.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ir awareness about dust in ceramic workshops, 20% responded that they did not know well, and about 20% responded that the materials are not hazardous if cleaned well. The overall levels of education and experience of ceramic materials increased, but the level of safety consciousness that the studios to which they belonged recognized the harmfulness, adjusted the environment, or they took notice when they used the substances were relatively low. Based on the result of the above questionnaire survey, this study developed ceramic studio safety manuals concerning the ceramic materials mainly used in South Korea (clay bodies, glazes and synthesized pigments), firing, studio management and safety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형디자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