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알뜨르 비행장 ; 일본 해군의 제주도 항공기지 건설 과정 (Alddreu Airfield: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Imperial Japanese Navy Airbase on Jeju)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2.08
44P 미리보기
알뜨르 비행장 ; 일본 해군의 제주도 항공기지 건설 과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탐라문화 / 41호 / 395 ~ 438페이지
    · 저자명 : 조성윤

    초록

    이 글에서는 알뜨르 비행장, 정식으로 말하면 일본 해군 항공기지의 건설과 확충과정을 그동안 발굴된 일본방위성문서와 현지 조사에서 채록한 증언들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이 비행장은 1933년도에 처음 「불시착륙장」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건설할 때만 해도 6만평 규모에 지나지 않았다. 해군항공대가 주둔하는 정식 항공기지로서가 아니라, 중국과의 전쟁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임시로 사용하기 위해 만든 중간 기착지였다. 그러나 1937년 중일전쟁이 본격화되면서 일본 해군은 적극적으로 이 비행장을 활용하기로 작정하고, 증설계획을 세운다.
    증설 공사가 채 진행되기도 전에 제주도 알뜨르 비행장은 중국 남경 등 중요 도시를 폭격하는, 이른바 도양폭격의 중심 기지가 된다. 알뜨르 비행장은 이렇게 한동안 폭격기지로 집중 활용되다가, 1938년 이후 전선이 확대되고 대부분의 폭격기가 중국의 항공기지로 이동하면서 한가해졌다. 하지만 그 이후 알뜨르 항공기지에는 오무라 항공연습대가 주둔하고, 확장 공사도 계속되었다.
    한편 태평양전쟁이 터지고 나서 알뜨르 비행장은 다시 중요성을 인정받아, 또 다시 확장공사에 들어가게 된다. 20만평의 항공기지를 60만평 다시 늘린, 80만평의 엄청나게 넓은 규모로 확장한 것이다. 제주도 알뜨르 항공기지를 일본 내에서도 가장 중요한 오무라 항공기지와 같은 규모로 키우겠다는 것은 일본 해군이 제주도를 전략적 핵심 지역으로 파악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 공사는 전쟁 막바지까지 계속되었고, 제주도민들을 여러 해 동안 동원하면서 진행되었다. 그러나 결국 알뜨르 비행장은 엄청난 예산과 인력을 투입하고도 사용해보지도 못한 채 전쟁이 막을 내리면서 그 역할을 끝내게 되었다.
    이 지역은 1950년 한국전쟁이 터지자 한국 육군의 제1훈련소로 활용되었고, 그 이후 내내 국방부 소유로 묶여 있었다. 그러다가 1988년 한국 공군이 이곳에 군용 비행장을 건설하려다 제주도민들의 저항에 부딪쳐 포기한 바 있고, 현재도 공군이 이 지역을 공군 기지로 사용하려고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영어초록

    Alddreu Airfield, located in Daejeong-eup, Seogwipo City, Jeju Island was constructed by the Imperial Japanese Navy (IJN) when Korea was under the colonial rule of Imperial Japan (IJ). Hence, the IJN Airbase was the official name for the Alddreu Airfield. The paper reviews and analyzes the background, construction, and expansion of the airbase, based on the accumulated extracts from the documentation of Japan's Ministry of Defense (formerly Japanese Defense Agency) and statements collected in the field investigations.


    When it was first built in 1933 as an emergency landing field, the area of the airfield was no more than 60,000 pyeong (1 pyeong is equivalent to 3.3 square meters). Alddreu Airfield was not a formal naval air station. It was a way-station airfield to use temporarily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Japan was expecting a war against China. However, as the Second Sino-Japanese War broke in 1937 moved into a full-fledged phase, the IJN drew a plan to expand the Alddreu Airfield and use it more aggressively for the war.


    Even before the expansion construction had started, the Alddreu Airfield on Jeju Island became the central base for transoceanic bomb attacks on China's major cities, such as, Nanjing. The Alddreu Airfield was used intensively for bombers until 1938. As the front lines of the war expanded, most of the bombers were moved to one of the airbases in China, freeing the Alddreu Airfield from intensive use. However, it was soon taken over by the Training Department of the Imperial Japanese Omura Navy Air Service. The construction to expand the airfield also continued.


    With the outbreak of the Pacific War, the importance of Alddreu Airfield was again recognized and the expansion project resumed. The two hundred thousand (200,000) pyeong airbase was expanded, first to six hundred thousand (600,000) pyeong, and later to an eight hundred thousand (800,000) pyeong airfield. The IJN wanted to build the Alddreu Airfield to the size of the IJN Omura Naval Air Service Base in Nagasaki, Japan. It is an indication that the IJN acknowledged the strategic importance of Jeju Island for its critical location.


    The construction continued until the final stage of the war. The residents of Jeju were forced to provide construction labor for many years. The Imperial Japanese Navy spent a massive amount of money and labor to build such a large airfield, but they never had a chance to use it. The war was over and the role of Alddreu Airfield, as intended by the IJN, expired, too.


    With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in 1950, the first Korean army training camp was set in the area of Alddreu Airfield. The area is owned by the Ministry of Defense, Republic of Korea. In 1988, the Republic of Korea Air Force (ROKAF), made an attempt to build a military airport in the area. Due to strong resistance among the residents, the attempt did not have a chance to take off the ground. The ROKAF has never given up its intention to build a military airbase at the former IJN's airfie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탐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