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禮葬都監의 성격과 역사적 추이 (The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Progress of The Yejang-Dogam in Chosun period)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7.10
26P 미리보기
조선시대 禮葬都監의 성격과 역사적 추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38호 / 168 ~ 193페이지
    · 저자명 : 김윤정

    초록

    조선시대 禮葬都監의 시대적 변화에 주목하여, 조선전기 예장도감과 17세기 이후 예장도감의 성격을 명확히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먼저 『經國大典』의 예장은 대군․공주․종친․대신 등을 대상으로 하였고, 조선전기의 예장도감은 이들의 예장을 담당했다. 반면 세자와 세자빈의 상례에는 예장도감이 아닌 國葬都監이 설치되었다. 예장도감은 원래 임시기구의 형태였지만, 세종대 禮殯都監과 합쳐서 단일화․상설화되었고 이후 예종대 歸厚署에 통합되어 폐지되었다.
    세자․세자빈의 상례를 담당하는 예장도감은 17세기 이후부터 등장하였다. 먼저 인조대 私親인 啓運宮의 상례와 定遠君의 이장에 예장도감이 다시 설치되었다. 이들은 『경국대전』의 예장에 해당되는 신분이었음에도 왕의 사친으로서의 지위를 강조하여, 특별히 도감을 설치하고 국휼의 절차를 적용했다. 이후 昭顯世子喪을 계기로 예장도감은 세자․세자빈의 장례를 담당하는 임시기구로 설치되었다. 예장도감은 왕과 왕비의 국장도감에서 등급을 낮춘다는 의미를 갖는 동시에, 세자와 세자빈의 상례가 대군․공주 등의 예장과 달리 국휼로 진행되었음을 보여준다. 이후 예장도감은 孝章世子․孝純賢嬪 등의 상례를 거쳐 『國朝喪禮補編』에서 세자와 세자빈 그리고 세손의 국휼을 담당하는 도감으로 법제화되었다.
    이후 정조․순조대를 거치며 예장도감의 변용이 이루어졌다. 정조대 元嬪喪을 통해 후궁의 상례에 처음으로 예장도감이 설치되었다. 정조는 원빈을 皇妃로 간주하여 소내상을 기준으로 하는 후궁 상례 의절을 새로 마련하였고, 이에 따라 예장도감을 포함한 3도감이 설치되었다. 그러나 홍국영의 실각 이후 원빈 상례에 대한 비판과 강등이 진행되었고, 후궁 상례 의절도 폐기되었다. 순조대에는 예장도감의 명칭을 바꾸는 방식으로 변용이 이루어졌다. 惠慶宮의 상례에는 襄禮都監이, 綏嬪과 孝明世子 상례에는 葬禮都監이 설치되었다. 혜경궁과 수빈의 경우 사친의 지위를 강조하여 소내상의 예장도감과 구분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 효명세자의 장례도감은 소상의 예장도감보다 인원을 확충하여 격을 높이고자 한 것으로 추정된다.
    예장도감은 일반적으로 세자․세자빈 상례의 3도감 중 하나로 인식되지만, 실제로 그러한 역할을 수행한 것은 17~18세기에 한정될 뿐이다. 따라서 예장도감을 근거로 세자와 세자빈의 상례를 ‘예장’으로 간주하는 것은 재고되어야 한다. 또한 법전 상의 예장은 세자․세자빈을 대상으로 하지 않으며 그 절차나 형식면에서도 국휼이 아닌 사대부 상례를 따르고 있다. 세자․세자빈의 상례는 이러한 예장과 명확히 구분되므로, ‘예장’이 아닌 ‘국휼’ 혹은 ‘소상․소내상으로 명명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The Yejang-Dogam of early Chosun and The Yejang-Dogam after 17th century had distinctly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 Yejang on the Gyeonggukdaejeon meant the funeral of prince, princess, royal family etc and the Yejang-Dogam took charge of the funeral of them in early Chosun. In the era of king yejong, the Yeajang-Dogam was merged to Guihuso.
    The Yejang-Dogam after 17th century took charge of the funeral of crown prince and the Crown Princess as the state funeral. The Yejang-Dogam was set beginning in funeral of crown prince sohyeon to downgrade king's ritual and upgrade nobility's ritual. The Yejang Dogam for the funeral of crown prince and the Crown Princess was legislated in Gukjosangrye-Bopyeon.
    The era of king jungjo, The Yejang-Dogam took charge of the funeral of wonbin, royal concubine, but that was criticized as a wrong ritual. The era of king sunjo, the Yejang-Dogam was changed yangye-Dogam for the funeral of haekyunggung the biological grandmother of the king. Yejang-Dogam was changed jangye-Dogam for the funeral of subin the biological mother of the king and he Crown Prince hyomyung to upgrade their ritu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