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윤등 배치와 의례 장소로서 화순 운주사 (Hwasun Unjusa As a places of Palgwanhoe ritual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4.12
30P 미리보기
윤등 배치와 의례 장소로서 화순 운주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도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도민속연구 / 29호 / 7 ~ 36페이지
    · 저자명 : 김기용

    초록

    화순 운주사의 다양한 석불석탑은 풍수 비보사상에 의해 건립된 사원으로 알려졌으나 그 실체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운주사의 중심 위치에는 원형다층석탑이 배치되어 있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운주사의 중심 위치에 배치된 원형다층석탑이 윤등(輪燈)을 석재로 만든 윤등석탑으로서 석등의 범주라는 의견이 제기된바 있다. 중심 위치의 상징성을 감안하면 윤등석탑의 배치와 의미는 운주사의 성격과 정체성을 내포한다고 하겠다.
    윤등은 운주사 이외에 약사경변도, 팔관회 장소에 주요 의례 시설로 배치되었다. 운주사, 약사경, 팔관회 의례 장소의 명칭은 각각 영구산, 동방약사유리정토, 금오산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의미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운주사와 팔관회는 거북신앙과 관련된 배경을 갖고 있다. 운주사가 약사경, 팔관회와 의례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들과 동일한 사상, 절차에 근거하여 설행된 것으로 추정되어 약사경, 팔관회의 의례시설과 절차에 비정하여 운주사의 석불석탑 및 불적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운주사 석조불감의 남면 불상은 약사도량의 약사여래상으로 추정되며, 북면 불상은 팔관회 때 태조의 진영에 예를 드리는 국왕의 존상으로 비정할 수 있다. 석조불감은 국왕의 가마를 석조로 번안한 것이며, 내부 불상은 가마를 탄 국왕의 모습으로 추정할 수 있다. 독립 불상 이외에 많은 불상들은 팔관회에 등장하는 공신과 백관을 상징하는 신상(神像)으로 추측되며, 이는 운주사 불상이 종교적인 장엄과 위의(威儀)로부터 자유롭게 된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칠성바위는 토착적인 칠성신앙과 도ㆍ불이 습합한 결과로서, 약사여래칠불의 현신 장소인 동방정토를 지상에 구현한 상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운주사의 석불석탑과 불적은 약사의례 및 팔관회 절차에 부합되고, 두 의례가 추구하는 목적과 사상이 함유되어 배치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운주사는 약사도량으로서 유불도와 토착 신앙이 습합된 팔관회와 관련 있는 의례 장소로 건립된 사원이라고 할 수 있다.
    운주사는 유교 의식의 장이며, 불교의 동방유리광정토이며, 도교의 동천복지이며, 토속적으로는 천령, 오악, 산천, 용신 등과 신선이 주재하는 삼신산으로 조성되었다고 하겠다. 토속적인 전통과 삼교의 사상이 조합한 의례 장소로서 조성된 사원이 화순 운주사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Hwasun Unjusa would be founded on the Goryeo Dynasty. At that time, the temple was located in Naju. Stone Buddha pagoda is not derived from many and varied. Built in the spirit of Feng Shui Vivo(風水裨補) Temple known.
    Turtles-shaped younggwisan(靈龜山) and Geumosan(金鰲山) are the same mountain. Geumosan is a symbol of Samsinsan. Therefore Unjusa is meant Turtle ship Banya, The equinoctial week the Pure Land, a god’s Samsinsan.
    Seokjobulgam and Yundeong(輪燈) stone pagoda are Unjusa central location. Therefore the nature and identity of Unjusa be implied. Yundeung was installed in the ritual of Bhaisajyaguru-Sutra and Palgwanhoe(八關會). And yundeung was established the main facility in Unjusa. So Unjusa be elapsed Bhaisajyaguru-Sutra and Palgwanhoe was built as a model. Palgwanhoe property as compared to the procedure described will be able to unjusa.
    The South statue of Seokjobulgam(石造佛龕) be estimated Yaksayeorae(藥師如來) statue. The North statue of Seokjobulgam can be considered as King and is bowed to the Taejo(太祖) portraits. Portrait of Emperor in the north, so Maai yeoraesang(磨崖如來坐像) can be compared. King's Seokjobulgam be made ​​of stone kiln. Buddha statues inside the shape of a ride as the King of kiln can be estimated.
    Other many statues were conjectured many gongsin(功臣) and statue as a symbol of all the government officials. It might be a cause that the statues of Unjusa were freed from grandeur or majesty.
    Chilseong(七星) Rock is indigenous Chilseong beliefs, Taoism, and Buddhism will integrated. Chilseong rock will be a Eastern Pure Land live in Yaksayeoraechilbul(藥師如來七佛).
    Unjusa composition of the large-scale construction, which would have forced a long-term continuing construction to proceed. Configuration and deployment of Unjusa’s Stone Buddha pagoda in the middle of this disorder seems regularity. This plan, based on configuration, but the long-term construction to begin construction probably change the subject.
    Unjusa was constructed in the Goryeo Dynasty temple informal. unjusa temple is built and maintained by Naju local forces were. Hyeonjong King was chosen in the place of refuge Naju area. The king gave permission to enforce palgwanhoe Naju area. Unjusa is After activated.
    Hwasun Unjusa is a temple with the Conplementary temple pagoda, Buddhist statue and Taoist statue. This might be the temple of ritual with the convergence of Confucianism, Taoism, Buddhism and indigenous religion. In terms of the Confucian It is a place filial piety and Gunwi Xinjiang(君爲臣綱). In terms of Buddhism, it is Yaksadoryang as Dongbangyurigwangjeongto(東方琉璃光淨土). In Taoist term, it is Dongcheonbukji(洞天福地) where the Taoist hermit lived. In terms of the indigenous religion, it is Cheonryeong(天灵), Oaxaca(五岳), Mountains and Rivers(山川), Yongsin(龍神) and Sinseon(神仙) lliving in Samsinsan(三神山). Hwasun Unjusa celebrate the national temple rituals. And the king, his servants, the people that are involved with the tem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