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설 장 제목의 텍스트언어학적 연구 (The textlinguistic research on chapter-title of novel tex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5.06
24P 미리보기
소설 장 제목의 텍스트언어학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 수록지 정보 : 텍스트언어학 / 38권 / 195 ~ 218페이지
    · 저자명 : 장경현

    초록

    텍스트(text)를 완결된 문장 구성체로 파악한다면, 그 텍스트를 구성하는중요한 요소는 문장 및 문장에 준하는 구와 절이 될 것이다. 그러나 좀 더거시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더 다양한 유형의 텍스트의 구성 요소를 찾아낼수 있다. 실제로 텍스트언어학 연구는 텍스트 구성 요소를 좀 더 넓은 범위에서 다루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텍스트 구성 요소로서 장(chapter)으로대표되는 부분 텍스트의 제목들에 주목하여, 장 제목이 텍스트 내에서 어떤식으로 생성되고 어떤 곳에 위치하며 어떤 기능을 하는가에 대해 알아보고자한다.
    예술작품의 제목은 다른 텍스트 장르에 비해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성격을가진다. 이를테면 뒤샹의 <샘>(1917)은 시중의 변기를 아무 변형도 가하지않고 갖다 놓은 것이지만 그 실체와 아무 연관성 없는 <샘>이라는 제목이텍스트 수용자의 의미 해석에 지대한 영향력을 발휘한다. 음악 쪽은 이러한제목의 역할이 더 적극적으로, 클래식의 표제는 가사 없는 기악곡을 수용하고 해석하는 데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한다. 라벨의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1899)이라든가 펜데레츠키의 <히로시마 희생자를 위한 위령곡>(1960), 무소르그스키의 <전람회의 그림>(1874) 등은 추상적인 음악에 구체성을 부여하고 서사구조를 구축하기도 한다. 1943년 미국의 심리학자 알포트(F.H. Allport)와 레프킨(M. Lepkin)의 조사에 의하면 신문 제목이 기사의 분위기나 인상을 조성하고 심지어는 사람들의 그날 기분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전황에 관한 낙관적인 제목과 비관적인 제목을 피실험자에게 읽힌 결과 비관적 전황이 강조된 제목이 피실험자의 전쟁 참여 동기를 유발했다는 것이다(정태철, 1995: 207에서 재인용). 이런 점에서 텍스트의 제목은 텍스트의 부속 요소 이상의 의미가 있다.
    주 제목에 대한 연구는 그 수가 많다고 할 수는 없으나 어느 정도 성과가 생산되었다. 언어학 분야에서의 연구도 얼마간 있으나 언론학, 커뮤니케이션학 등의 분야에서의 연구가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강범모(2009a, 2009b), 오미형(2011)은 한국 영화 제목의 어휘·통사를 분석했고 손세모돌(2005)는 시사만평에 부가된 언어를 분석하면서 제목에 대한 언급도 하고 있다.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것은 신문기사의 제목에 관한 연구로, 언론학과 텍스트언어학 분야에서 많은 논의가 있었다. 이 가운데 언어학적 측면에서 접근한 연구로는 박금자(1999), 정태철(1995), 조수선(2005), 조원형(2006), 김병홍(2007), 강지혜(2008), 김해연(2009), 이재원(2009) 등이 있다. 최근 인터넷신문 매체가 인쇄 신문을 밀어내면서 고정 독자가 줄었기 때문에 인터넷 기사의 조회수를 이끌기 위해 신문기사 제목에 여러 가지 전략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신문기사 제목 연구는 담화 전략의 차원에서 연구 대상이 된다.
    이재원(2009)에서는 텍스트 유형에 따라서 언어 수단의 선택도 달라져야 한다는 전제 하에 신문기사의 제목에 대해 분석하였다. 텍스트 유형에 맞추어언어 수단을 선택하는 텍스트 생산자의 태도와 텍스트 유형의 관습이 중요함은 두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대중가요의 제목에 관한 연구로는 박보현(2011) 등이 있다. 영화와 가요 제목에 대한 연구들은 대체로 제목에 사용된어휘 등을 계량적으로 분석하여 시대적 패러다임을 읽어 내는 데 목적을 둔다. 그만큼 전체 텍스트의 주 제목은 주제 전달이라는 측면 외에 시대적 민감성을 담고 있어 당대의 이데올로기, 유행어, 가치관 등을 담고 있다. 이와같이 제목에 대한 연구는 사회적 맥락 등 텍스트 외적 인자와 관련된 것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
    그러나 이들은 대부분 텍스트 전체의 제목에 대한 것이었다. 텍스트의 중간에 삽입되는 장 제목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장제목은 텍스트 전체의 제목, 즉 주 제목과는 성격이 상당히 다르기 때문에새롭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주 제목이 본문 텍스트와 동격 관계에 가깝다면장 제목은 본문 텍스트의 하위 요소로서 전체 텍스트의 구조를 구축하는 기능을 한다.
    논문이나 보고서, 교재 등은 장르의 특성상 장 단위 분할이 당연시되며이에 대한 설명이 용이한 편이나, 소설이나 수필, 신문·잡지 기사 등은 장분할이 선택적으로 또 전략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특별한 분석이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소설 장르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장 제목에대해 기술하려 한다. 소설 텍스트는 논리 전개에 따라 계층화된 구조가 아니므로 장 제목이 설명 텍스트의 것과는 상당히 다른 역할을 한다. 소설 텍스트의 장 분할 자체가 필연적인 요소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소설 텍스트의 보편적인 구성이 되는데 이는 소설 텍스트의 장 분할이 텍스트 생산자의 의도실현을 위한 전략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소설 텍스트의 장이라는 텍스트 분할 단위의 담화 표지 역할을 하는 장 제목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텍스트 구조 분석에 또 다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lluminate the macro-structures of novel texts by analyzing the chapter titles of novel texts. Chapter title is very different from main title as a part of text structure. Main title is external-subtext but chapter title is internal subtext. The forms of chapter title are not patterned and show diverse variations. In many case, chapter markers are used at the boundaries of chapters in novels instead of chapter title.
    Also I present some functions of chapter title; framing for reader, division/combine, foregrounding, independent strategies as a continuum.
    Chapter title makes frame to interpret a text and it shows some difference from title of newspaper article. The main function of chapter title is division and combine of text. In some particular text-genres like mystery fiction, chapter title performs special functions independent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텍스트언어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