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론장(公論場/Öffentlichkeit)을 통해 본 현대교육의 의미 -하버마스(Habermas)의『공론장의 구조변동』을 중심으로 (Die Bedeutung der modernen Pädagogik in Sicht vom Begriff der Öffent lichkeit -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von『Strukturwandel der Öffentlichkeit』von Haberma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04.02
22P 미리보기
공론장(公論場/Öffentlichkeit)을 통해 본 현대교육의 의미 -하버마스(Habermas)의『공론장의 구조변동』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철학연구 / 31호 / 129 ~ 150페이지
    · 저자명 : 전석환

    초록

    현대사회에 있어 ‘이성의 공공적 사용’ 가능성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지만, 인간의 소통구조에 기초한 공론장은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런 문맥에서 현대교육의 문제를 역시 공론장에 연결시켜 논의할 수 있는데, 하버마스의 ‘공론장의 구조변동’은 좋은 기준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하버마스는 공론장을 맹아로부터 붕괴까지의 진행과정으로 관찰하면서, 현대에 도래한 민주주의의 위기를 진단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교육영역의 문제점은 현대에 남겨진 계몽철학의 유산들과 관련 지워진 지점에서 제기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이성기능의 구조변화에 대응한 이성개념/이성실천, 자율성, 그리고 계급 혹은 계층갈등 등의 문제들과 대별시켜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논의과정은 하버마스의 공론장 논의 결론에서 보이는 ‘어떻게 공론장의 기능이 새롭게 가능한가’라는 물음에 대한 교육철학적 함의가 될 터이다. 이러한 함의는 결론적으로 ‘공론장을 통해 매개된 지배의 합리화’에 그 초점이 맞추어지게 될 것이며, 그러한 구체적 실천은 ‘연대감을 통한 조종능력’ 을 강화하는 목표에 함축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In der modernen Gesellschaft wird immer noch die Sphäre der Öffentlichkeit im Grund von der kommunikativen Struktur des Menschen wichtig sein, obgleich man der Fähigkeit der klassischen aufklärerischen Foderung zum öffentlichen Gebrauch der Vernunft eine Frage gestellt hat. Aus diesem Kontexten kritallisiert sich eine eingeengte Bedeutung der modernen Pädagogik heraus, womit Jürgen Habermas in bezug auf ‘Strukturwandel der Öffentlichkeit’ formuliert hat.
    Habermas hat aus einer subtilen Interpretation der Wandelsgeschite von der Entstehung zum Verfall der bürgerlichen Öffentlichkeit den Gedanken abgeleitet, daß für die Entwicklung der Demokratie rationale Kommunikation an das Wachstum des räsonierenden Publikums gebunden ist. Daran glaube ich feststellen zu können, daß man daraus die verschiedenen Themenbereiche herauskriegen könnte.
    Wichtig ist aber zunächst hier die Tatsache, daß sie von der Seite der heutigen Erschaft der Aufklärungsphilosophie beleuchtet werden können. Damit versucht hier zu interpretieren, daß das mit dem Begriff der Öffentlichkeit beginnende pädagogische Problem in drei Gestalten uns entgegen tritt:
    a) als Vernunftbegriff und Praxis der Vernunft, ausgehend von der Kriese der Modernität,
    b) als Autonomie, ausgehend von des verstellten Aufklärungsprozesses,
    c) als Klassenkonflikt oder Konflikt der sozialen Schicht, ausgehend von der immer noch unüberwundenen proletarischen Öffentlichkeit.
    Als Indiz dafür, daß Habermas' Problem des Strukturzerfalls bei den Feldern der modernen Pädagogik wieder aufgetauchtet werden könnte als die Frage, wie die Öffentlichkeit eine neue Funktion erhalten kann. Dafür legt mein pointierte Argument das Schwergewicht auf die abgeänderte gesellschaftliche Herrschaftstruktur durch die auf dem Rationalisierungsprozeß stehende institutionalisierte Kommunikation. Geradezu lapidar hat das Habermas formuliert: 'die solidarischen Steuerungsleistungen', damit man dem heutigen Erbgut des unvollendeteten Projektes der Moderne sorfältig nachforschen kan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