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6세기 전반 老莊 사유의 문학적 수용과 그 의미 (The Literary Acceptance of Taoism(老莊) in the Early 16th Century and Its Meaning)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19.06
56P 미리보기
16세기 전반 老莊 사유의 문학적 수용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74호 / 7 ~ 62페이지
    · 저자명 : 정용건

    초록

    본고는 16세기 전반기 老莊 사유가 문학의 각 층위에서 수용된 양상과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 시대 노장은 ‘異端’이라는 비판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초기부터 여러 문인들에 의해 널리 읽히고 또 활용되어 왔다. 그러한 경향은 성리학적 가치관에 입각한 유교화 운동이 전방위적으로 전개된 16세기 전반기에도 이어졌다. 공적 영역에서는 月課․製述․鄕試와 같은 국가시험에서 노장 관련 문제가 빈번하게 출제되어 조선 후기에 비해 사상적으로 유연한 면모를 보였다. 한편 사적 영역에서는, 노장에서 보이는 隱逸과 自足에 대한 지향이 은거 공간에서 한적한 생활을 영위하고자 한 문인들에게 문학적 영감을 제공하였으며, 『莊子』와 『列子』에 등장하는 ‘꿈’의 모티프가 記夢 관습과 서사적 확장에 영향을 주는 등 작품에서의 활용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진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16세기 전반기에는 신진 사류를 중심으로 한 유가적 교화 운동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던 이면에, 노장의 사유 역시 나름의 영역을 확보하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과도기적 배경 아래 형성된 ‘유연한’ 사상적 틀 속에서, 노장 사유는 당대 문학 창작의 각 국면에 수용․활용되어 엄연한 하나의 문화적 흐름으로서 성리학과 길항․공존 관계를 유지하였다. 이와 같은 사실은 그간 조선 중기 이후 특별히 부각된 것으로 여겨졌던 노장 사유의 존재 양상을 시대적 연속성의 맥락에서 바라보도록 함은 물론, 단절적․배타적인 방식으로 이해되어 오던 당시의 문학 지형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혀주는 하나의 근거가 된다.

    영어초록

    This thesis examines the way in which Taoism was accepted on each level of literature in the early 16th century and its meaning.
    Despite the criticism of 'heresy(異端)', Taoist books have been widely read and used by many literary people since the early Joseon Dynasty. This tendency was still continued in the early 16th century, when the neo-Confucianism movement was spread in various fields. In the public part, subjects related to Taoism were frequently presented in the national examinations such as wolgwa(月課), jesul(製述), hyangsi(鄕試). Also, in the private part, pursuit towards seclusion and self-sufficiency of Taoism provided a literary inspiration to literary people who wanted to live a leisurely life and the motif of 'dream' in Chuang-tzu(莊子) and Lie-zi(列子) influenced the dream record(記夢) and its narrative expansion.
    Thus, in the early 16th century, while the Confucian edification campaign were actively conducted by the Confucian scholars, Taoism also existed in its own way. In other words, Taoism was accepted and utilized in each level of literary creation, and it maintained a relationship of antagonism and coexistence with the neo-Confucianism in this period. This fact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existence aspect of Taoism in the view of continuity which has been considered to rise especially in the mid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