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란잔산잠자리(Macromia daimoji Okumura, 1949)의 서식지 특성 및 기후변화에 따른 잠재적 분포 예측 (Habitat characteristics and prediction of potential distribution according to climate change for Macromia daimoji Okumura, 1949 (Odonata: Macromiidae))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24.02
11P 미리보기
노란잔산잠자리(Macromia daimoji Okumura, 1949)의 서식지 특성 및 기후변화에 따른 잠재적 분포 예측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습지학회지 / 26권 / 1호 / 21 ~ 31페이지
    · 저자명 : 권순직, 권혁영, 황인철, 이창수, 김태근, 박재흥, 전영철

    초록

    우리나라는 노란잔산잠자리(M. daimoji Okumura, 1949)를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고, 국가적색목록 평가에서 위기(EN)로 등재하였다. 이들은 주로 동북아지역에 서식하는데, 우리나라에는 위도상 사천시(35.1°)부터 연천군(38.0°)까지, 경도상 연천군(126.8°)부터 양산시(128.9°)까지 관찰되었다. 서식지는 저지대의 평지하천에 하상재료가 모래로 이루어져 있고, 유속이 완만한 하천의 가장자리와 하중도의 가장자리, 하천 구역에 일시적으로 형성된 웅덩이를 선호한다. 노란잔산잠자리 출현 지점에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는 낙동강 본류의 경우 서식지에 따라 군집 조성의 차이가 적었고, 지류의 경우 주변 환경과 하천의 규모에 따라 낙동강 본류보다 군집 조성의차이가 컸다. 현재 분포지역을 토대로 MaxEnt 모델을 이용하여 잠재적 분포를 예측한 결과, 낙동강 본류와 지류에서식할 가능성이 높았다. 환경변수 중 기여도는 BIO03(36.2%), BIO10(15.8%), BIO14(13.8%), BIO12(12.5%), BIO08(6.1%) 등의 순으로, 모형에 대한 중요도는 BIO10(43.7%), BIO14(14.6%), BIO17(13.78%), BIO13(9.8%), BIO02(6.7%), BIO18(5.2%) 등의 순으로 높았다. 노란잔산잠자리의 공통사회경제경로를 통한 미래 분포 예측에 있어서 재생에너지 기술 발달로 화석연료 사용을 최소화한 SSP1은 서식가능지역이 넓은 범위에서 확대되었으며 산업기술의 빠른 발전에 중심을 두어 화석연료 사용이 높고 도시 위주의 무분별한 개발이 확대될 것을 가정한 SSP5는 대체로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들의 서식지는 하천공사, 골재채취 등과 같은 물리적 환경변화와 강우 강도의 증가에의한 홍수 등 급변하는 기후변화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노란잔산잠자리 보호를 위해서는 생태계 환경변화관찰을 위한 장기적인 모니터링 수행과 개체군 유지를 위한 보전방안 수립이 요구된다.

    영어초록

    Macromia daimoji Okumura, 1949 was designated as an endangered species and also categorized as Class II Endangered wildlife on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Red List in Korea.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is species ranged within a region delimited by northern latitude from Sacheon-si(35.1°) to Yeoncheon-gun(38.0°) and eastern longitude from Yeoncheon-gun(126.8°) to Yangsan-si(128.9°). They generally prefer microhabitats such as slowly flowing littoral zones of streams, alluvial stream islands and temporarily formed puddles in the sand-based lowland stream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similarity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M. daimoji habitats, to predict the current potential distribution patterns as well as the changes of distribution ranges under global climate change circumstances. Data was collected both from the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GBIF) and by field surveys from April 2009 to September 2022. We adopted MaxEnt model to predict the current and future potential distribution for M. daimoji using downloaded 19 variables from the WorldClim database. The differenc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assemblages in the mainstream of Nakdonggang were smaller than those in its tributaries and the other streams, based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and stream sizes. MaxEnt model presented that potential distribution displayed high inhabiting probability in Nakdonggang and its tributaries. Applying to the future scenarios by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SSP1 scenario was predicted to expand in a wide area and SSP5 scenario in a narrow area, comparing with current potential distribution. M. daimoji is not only directly threatened by physical disturbances (e.g. river development activities) but also vulnerable to rapidly changing climate circumstan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habitat environments and establish conservation strategies for preserving population of M. daimoj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습지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