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잔반량 조사에 의한 창원지역 일부 초·중학교 급식의 영양관리 실태 비교 (Nutrition Management Examined by Plate Waste Measurement - A Comparison with Elementary Schools and Middle Schools in the Changwon Area -)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08.12
11P 미리보기
잔반량 조사에 의한 창원지역 일부 초·중학교 급식의 영양관리 실태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13권 / 6호 / 879 ~ 889페이지
    · 저자명 : 문혜경, 박미선, 이경혜

    초록

    본 연구에서는 창원지역 초등학교 3개교와 중학교 3개교를 대상으로 식단 분석과 잔반량 측정을 통해 식단 작성부터배식과 섭취단계의 영양가를 분석하여 평가함으로서 영양관리가 적절히 수행되고 있는지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집합선택계측법에 의해 5일간 측정한 초등학교의 평균잔반율은 18.8%, 중학교의 평균 잔반율은 27.9%로 중학생이 더 많은 잔반을 남기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섭취율 평균은 초등학교 82.2%, 중학교 71.8%로 초등학생과 중학생간에 유의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p < 0.001), 음식 품목별 섭취율을 살펴보면 밥류(p < 0.001), 주찬류(p < 0.001), 김치류(p < 0.01)에서중학생의 섭취율이 초등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3. 배식량의 영양소 함량을 식단 계획량의 영양소 함량 대비 백분율로 나타낸 결과, 중학교가 92.3%로 초등학교95.4%에 비해 배식시 더 많은 영양소가 손실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4. 개정 전 학교급식 영양관리기준 대비 영양평가를 실시한 결과, 초등학교 급식에 비해 중학교 급식에서 기준에 부족하게 제공 혹은 섭취되는 영양소가 많았으며, 남학생의 경우, 초·중학교를 불문하고 에너지가 계획량에서부터 기준이하로 제공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남자중학생의 경우, 에너지 부족 외에도 계획량, 배식량, 섭취량 모두 기준 이상인 영양소가 비타민 C 하나 밖에 없어 식단계획에서부터 문제가 많은 것으로 지적되었다. 에너지 기여비율 면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지질의 비율이 특히 높아 건강상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개선이 요구되었다.
    5.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1/3 영양권장량 대비 평가 결과를 통해서도 중학생이 점심급식을 통해적정한 영양을 제공받지 못함이 지적되었다. 계획량과 배식량에서 에너지(p < 0.01), 단백질(p < 0.05), 칼슘(p < 0.001), 철(p < 0.01), 비타민B2(p < 0.001) 등 의 1/3 권장섭취량 대비 백분율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으며, 1/3 영양권장량 대비 백분율이 초등학생보다 중학생에서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창원 일부 지역의 초등학교 3개교와 중학교 3개교를 대상으로 학교급식의 영양관리실태를 조사해 비교하였다. 그 결과, 비교적 양호한 초등학교 급식에 비해 중학교 급식은 학교급식 영양관리기준이나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영양소가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중학교에서는 영양사가 의도한 영양소 계획량의 92.3% 만 실제 배식됨으로서 초등학교 보다 배식시의 손실이 높았으며, 잔식을 남기는 비율도 초등학생보다 높아 영양소 섭취량 부족 현상이 심화되었다. 영양교사가 중학교에 배치되는비율이 초등학교에 비해 아직 낮은 상황 하에서 중학교 급식영양관리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상을 확대하여영양관리 실태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중학교의높은 잔반율을 시정하기 위한 영양교육도 필수적이나 학교에서의 실시여건이 아직 조성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며, 특히 중학생은 영양교육에 대한 반응이 초등학생과 다를 것으로 여겨지므로 사춘기의 심리를 파악한 교육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이어트와 관련된 잘못된 상식으로 인한잔반량 증가 등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며, 식단 계획에서 의도한 영양소 함량이 실제 배식 시 손실되는지에 대해서도 영양사가 주의 깊게 평가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일선학교에서사용 중 인 교육행정정보시스템(NISE)을 통한 식단 작성시, 학교급식 영양기준량에 부합한 식단 계획이 이루어져야만 승인되도록 프로그램화 된다면, 보다 질 높은 영양관리가될 수 있을 것으로 제언하는 바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nutrition management conditions of lunch with the elementary schools and middle schools in the Changwon area. 292 students (5th and 6th graders)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and 330 students from three middle schools (boys, girls, and co-ed) participated in the aggregate selective plate waste measurement for 5 days. Planned menus, serving sizes and plate waste amount data were collected. Nutrient analyses for the planned, served and consumed menus at school lunches were performed by using CAN-PRO 3.0. Nutrient analyses of the planned, served and consumed menus were compared with nutrient management standard (former edition) for school lunch and 1/3 Korean Dietary Reference Intakes (KDRIs).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average consumption rate between the elementary schools (82.2%) and the middle schools (71.8%). Specifically, the consumption rates of steamed rice (p < 0.001), side dish 1 (p < 0.001), and Kimchi (p < 0.01) at the middle school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elementary schools. When the nutrient contents in the served menus were put into percentages to the nutrient contents in the planned menus, middle schools (92.3%) showed bigger serving loss than the elementary schools (95.4%). In the nutrient assessment comparied with nutrient management standard (former edition), middle school lunches showed comparatively less energy or less some nutrient contents against the standard than the elementary school lunches. Specifically, in case of boys in middle schools, Vitamin C was the only nutrient content that satisfied the standard in the planned menus, served menus and consumed menus. In the 1/3 KDRIs based assessment, middle schoolers were found not to be provided proper nutrients with school lunches. To improve nutrition management at middle school foodservices, dietitians should reinforce nutrient assessment for menu planning, and try to decrease serving loss and plate wast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6) : 879~889, 2008)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