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주침을 둘러싼 신화와 노동소설의 문법 ‑ 1980년대 후반 공지영, 방현석, 김한수의 데뷔작을 중심으로 (The myths surrounding the ‘encounter’ and a rule of labor novels - Focusing on the debut works of Gong Ji-young, Bang Hyun-seok, and Kim Han-soo in the late 1980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21.04
33P 미리보기
마주침을 둘러싼 신화와 노동소설의 문법 ‑ 1980년대 후반 공지영, 방현석, 김한수의 데뷔작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63호 / 51 ~ 83페이지
    · 저자명 : 김명훈

    초록

    1987년 전후, 창작과 비평(연구) 양쪽 모두에서 한국소설의 지배적인 장르로 인식되었던 노동소설은 1990년대 초반 현실 사회주의의 몰락과 함께, 짧은 전성기가 무색할 만큼 급격하게 청산·망각된다. 그러나 이러한 급격한 청산과 망각은 그것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사람들에게 심리적 외상으로 남아 귀환하기 마련이다. 최근, 1980-90년대 문학에 대한 연구자들의 폭발적인 관심과 일련의 연구에서 감지되는 어떤 공통된 정동은 당대의 급격한 청산과 망각으로부터 비롯된, ‘억압된 것의 귀환’처럼 보인다는 점에서 각별한 주목과 관찰이 요청된다. 본고에서는 이 공통된 정동을 이질적인 것들을 접속시키려는 ‘마주침의 동역학’으로 규정함으로써 이 ‘마주침의 동역학’으로부터 추동된 1980-90년대 한국문학 연구의 성과와 한계를 87년 6월항쟁 직후 발표된 노동소설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 가늠해보고자 하였다.
    항쟁 직후 발표된 노동소설에서 특히 주목되는 점은 지금/여기의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당대의 노동소설 역시 ‘마주침’이라는 테마에 빈틈없이 긴박되어 있었다는 사실이다. 1988년에 발표된 공지영의 「동트는 새벽」, 방현석의 「내딛는 첫발은」, 김한수의 「성장」 등은 1980년대 노동소설의 이념적 도식성에 대한 일반화된 비판과는 달리 ‘학출’과 노동자, 선진 노동자와 일반 노동자, 구세대와 신세대 등 다양한 ‘사회적 세력’들 간의 마주침을 서사의 구성적 토대이자 주체 각성의 계기로 활용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1980년대 노동소설은 최근 1980-90년대 연구에서 확인되는 ‘마주침의 동역학’과 그로부터 비롯되는 복원과 애도의 서사, 그 원본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겠다.
    물론 본고에서 다룬 노동소설에서의 마주침이란 결국 일시적이었고, 제대로 응고되지 못한 채 ‘체제’에 흡수되었다는 점에서 그 한계가 분명하다. 그러나 단지 다양한 사회세력들 간의 마주침-응고에 주목할 것이 아니라, 그 마주침을 통해 각각의 원자들이 보다 잘 식별될 수 있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에야 비로소 그 항쟁의 시간 동안 우발했거나 혹은 우발하지 않았던 마주침의 의미 또한 거리감을 갖고 평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영어초록

    Around 1987, labor novels, which were recognized as the dominant genre of Korean novels in both creation and criticism, are suddenly forgotten in a short heyday with the fall of real socialism in the early 1990s. However, such rapid liquidation and forgetfulness are bound to return as psychological trauma to those who have experienced it directly or indirectly. In recent years, the explosive interest of researchers in literature in the 1980s and 90s and some common affects in a series of studies needs special attention and observation in that it looks like the ‘return of the oppressed’ from the rapid liquidation and oblivion of the 1980s and 1990s. In this paper, this common affect is defined as the ‘The dynamics of encountering’ that tries to connect heterogeneous things.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assess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Korean literature research in the 1980s and 1990s, driven by the ‘The dynamics of encountering’, through a reinterpretation of a labor novel published immediately after the June Uprising in 1987.
    What is particularly noticeable in the labor novels released immediately after the June Uprising is the fact that not only the researchers here and now, but also the labor novels of the time were tightly tackled by the theme of ‘encountering’. Unlike the generalized criticism of the ideological schematicity of labor novels in the 1980s, Gong Ji-young's “Dawn”, Bang Hyun-seok’s “The first step we take”, and Kim Han-soo’s “Growth” uses the confrontation between various “social forces” as a constituent foundation of the narrative and an opportunity for awakening. In this sense, it can be said that the labor novels of the 1980s correspond to the archetypes of ‘the dynamics of encountering’ identified in recent studies in the 1980s and 90s.
    Of course, the limit is clear in that the encounters in the labor novels covered in this paper were temporary in the end and were absorbed into the ‘system’ without being properly solidified. However, it is not only when we pay attention to the encounter-solidification between various social forces, but only when we consider that each atom could be better identified through the encounter, We will be able to objectively evaluate encounters that occurred or did not occur during the time of the upris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