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술계 작가보수제도(Artists' Fee)에 대한 법률적 접근과 정책적 제언 (Legal Rsearch on Artists' Fee)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15.08
37P 미리보기
미술계 작가보수제도(Artists' Fee)에 대한 법률적 접근과 정책적 제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22권 / 2호 / 3 ~ 39페이지
    · 저자명 : 이재경

    초록

    2014년 9월경 문화체육관광부는 미술산업의 발전방안을 담은 “미술진흥 중장기계획”을 발표하면서, 미술작가의 자생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작가보수제도와 표준계약서를 도입한다고 예고하였고, 2015년 1월경 대통령에 대한 업무계획 보고에서 미술작가의 창작활동에 대해 정당한 비용을 지급하는 작가보수제를 구체적으로 시행할 방침이라고 밝힌 이래, 작가보수제도(Artists' Fee)와 관련하여 미술계 안팎으로 논의가 뜨겁다. 우리나라 관련 법령이나 정책적 지침에는 미술전시회와 관련하여 작가보수제도를 직접 다루지 아니하고 있다. 사적자치의 원칙상 보수는 작가와 갤러리 등의 당사자가 계약을 통하여 자율적으로 정할 문제로 판단하는 입장에서는 작가보수제도의 도입은 자유시장경제 및 미술시장에 대한 국가의 부당한 간섭으로 파악하고 비용의 증가는 오히려 미술시장을 위축시킬 것이라고 반대하지만, 미술계 종사자들의 기본적인 권리 및 예술인의 복지 차원에서 접근하는 목소리에서는 예술계의 동반성장 및 갑을관계 해소를 위하여 선진국에서도 적극적으로 논의하고 있는 작가보수제도의 도입은 불가피하다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예술인의 복지 및 작가의 권익을 보호함과 동시에 미술계의 부당한 비용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작가보수제도의 적절한 기준을 제시하여 미술시장에 역효과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효율적으로 운영한다면, 미술시장의 부당한 개입을 최소화하고 예술인의 복지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작가보수제도에 대하여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의 경우를 제외하고, 미국, 영국, 프랑스 등 미술산업 선진국들의 사례를 살펴보면, 국가 또는 협회의 차원에서 작가보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중국, 홍콩, 일본 등 아시아의 경우, 작가보수제도의 개념조차 찾을 수 없거나, 작가보수제도에 대한 뚜렷한 기준을 찾을 수 없었으며, 다른 비용의 지급을 통하여 사실상 작가보수에 준하는 사례비를 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결국, 문광부에서 발표한 ‘미술진흥 중장기 계획’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 및 미술시장 수준에 비하여 다소 늦은 감이 있다. 그러나 정부에서 처음으로 내놓은 계획이 예술가들의 안정적인 창작환경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우선순위에 따라 신중한 현장연구가 비교법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미국의 W.A.G.E.같은 자치단체의 인증제도의 활용을 심각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minimum fee schedule, so called “Artists' Fee” is sort of a minimum wage for artists and it sets minimum recommended rates for the use of artwork and certain services that visual artists provide. Widely recognized as the national standard, rates are all recommendations. That said, many arts councils in various countries require that public galleries pay artist’s fees as a condition of their funding and artists is believed to have rights that help them to get paid. In Korea, since the announcement of “Long term plan for development of art industry” by the government, the topic of artists' fee has been heavily discussed and its inclusion into model contract for art industry has been controversial, where some are arguing it might draw negative influence over art industry cause it could lead to the increase of exhibition cost over all. There is, therefore, a need for comparative study for settling down artists' fee policy in Korea.
    In Canada, artists' rights for payment when their work is used in exhibitions are legally enshrined by CARFAC. NAVA(Australia) maintains close contact with a-n The Artists Information Company, a sister organization in the UK which is conducting a parallel campaign to secure industry adherence to payment of artists' fees. a-n has published survey findings about artists' experience of exhibiting in publicly funded galleries in the UK and is undertaking a campaign ‘Paying Artists’ to ensure the payment of artists' fees. W.A.G.E. of US, which is a self-governing community in US art society, deploying the system of certification with no legislation or administrative enforcement by any government. To avoid excessive intervention by the government into art industry and free market, certification system regarding artists' fee by non-government organization would be the most plausible and appropriate solu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