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을목회에 대한 목회자 인식 (Pastors’ Perception of the Pastoral Ministry of a Communi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23.09
24P 미리보기
마을목회에 대한 목회자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문사회과학회
    · 수록지 정보 : 현상과 인식 / 47권 / 3호 / 159 ~ 182페이지
    · 저자명 : 정재영

    초록

    최근 개신교계에서는 지역사회를 위한 목회를 ‘마을 목회’라고 칭하며 교계와 목회자들 사이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마을 목회는 여전히 그 개념이 명확하지 않다. 어떻게 하는 것이 마을 목회인지 학문적으로 정립되어 있지도 않고 마을 목회의 목적이나 범위도 여전히 모호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이 연구에서는 마을 목회에 대한 목회자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 조사는 전국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하였는데, 유효 표본은 총 507명이고 이들에게 휴대전화를 통해 URL을 발송하여 온라인 및 모바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로 볼 때, 마을 목회라는 용어의 적절성에 대하여 다수가 적절하다고 보았고 19%는 적절하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목회자들은 목회자로서의 의식이 강하면 목회자가 주도하려는 경향이 있고, 마을 주민들을 목회의 대상으로 여기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다고 본다. 그리고 목회자들이 이것을 어려워하는 이유는 세 가지로 요약된다. 하나는 마을공동체 활동을 여전히 구제나 봉사활동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둘째는 교회나 목회자들이 실제로 이렇게 협력 활동을 한 경험이 없기 때문이다. 셋째는 교인들의 이해 부족 때문이다. 그럼에도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마을 목회 활동은 어느 정도의 성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을 목회에 참여하고 있는 목회자 중 다수가 ‘마을에서 진정성을 인정받아 목회자는 다르다고 인정하거나 칭찬을 해준 경험’이 있었고, ‘마을 주민이 처음에는 마을 목회에 무관심하거나 비협조적이었으나 나중에는 이해해주고 적극 협력했다’는 적지 않아서 마을 목회가 교회의 이미지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마을 목회의 목적이 마을공동체라고 응답한 목회자들과 지역복음화가 목적이라고 응답한 목회자들 사이에 인식 차이도 뚜렷했다. 마을공동체가 목적인 목회자들은 마을 목회 활동의 종류나 범위가 점점 더 확장되었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많았고, 마을 목회에 대한 만족도도 더 높았다. 또한 목표인 목회자들은 마을 목회와 교회 부흥과는 관계가 없다는 의견이 더 많았고, 마을 목회를 하면서 전도하는 것에 대해 반대하는 의견이 더 많아서 인식의 차이가 뚜렷했다.

    영어초록

    Recently, the Protestant community has called ministry for the community “pastoral ministry of a community,” and interest among church members and pastors is increasing. However, the concept of pastoral ministry of a community is still not clear. It is not academically established how to do the pastoral ministry of a community, and the purpose and scope of that are still ambiguous. From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pastors about pastoral ministry of a community. The statistical survey was conducted on pastors across the country, with a total of 507 valid sample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nd on mobile by sending URLs to them through mobile phones.
    As a result of the survey, many consider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term pastoral ministry of a community appropriate, and 19% said it was not appropriate. Pastors believe that it is not appropriate because if the consciousness as a pastor is strong, the pastor tends to lead, and the villagers are sometimes considered objects of ministry. And there are three reasons why pastors find this difficult. One is that pastoral ministry of a community is still recognized as relief or volunteer activities. The second is that churches or pastors have never actually engaged in such cooperative activities. The third is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hurch members. Nevertheless, it is judged that the pastoral ministry of a community currently being carried out are showing some results. Many of the pastors participating in the pastoral ministry of a community had “the experience of acknowledging or praising pastors in recognition of their sincerity in the village,” and “villagers were initially indifferent or uncooperative to the pastoral ministry of a community, but later understood and actively cooperated.” In addition,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pastors who responded that the purpose of village pastors was the pastoral ministry of a community and pastors who responded that the purpose was to evangelize the region. Pastors whose purpose was the pastoral ministry of a community responded that the type and scope of village pastoral activities were gradually expanded, and were more satisfied with pastoral ministry of a community. In addition, there were more opinions that the pastors, the goal, had nothing to do with village pastors and church revival, and there were more opinions against evangelizing while doing village pastors, so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percep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상과 인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