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용자혜택 기준 관점에서 본 일본 고령자 단독주택 개조가이드라인 특성 내용분석 연구 (A Content Analysis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Japan’s Elderly Single-Family Housing Renovation Guidelines from the Perspective of User Benefit Criteria)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25.04
16P 미리보기
사용자혜택 기준 관점에서 본 일본 고령자 단독주택  개조가이드라인 특성 내용분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20권 / 3호 / 459 ~ 474페이지
    · 저자명 : 이연숙, 전은정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한국은 OECD 국가 중 노인 빈곤률이 가장 높은 상황에서 급속한 인구 고령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는 사회 안전망의 약화를 가속화시키며, 안정적이고 질 높은 주거 환경의 제공은 노인의 자립적 생활(Aging in Place, AIP) 실현과삶의 질 유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한국의 대표적 주거유형은 아파트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많은 고령자는 낙후된저층 주거지나 단독주택, 다가구, 다세대 주택에서 거주하고 있다. 고령자를 위한 공신력 있는 종합적 주택개조 가이드라인이 부재한 실정에서, 단독주택이 사회적 규범 주택이고 초고령화를 먼저 겪은 일본이 대처 방법은 이러한 방향을 모색해 나가야하는한국에 함축적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는 일본의 고령자 단독주택 개조 가이드라인을 사용자 혜택 기준(UBC) 이론의 관점에서분석하여 그 특성을 해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내용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일본의 고령자 단독주택 개조 가이드라인에 언급된 8개의 범주와 40개의 항목을 분석하였다. 분석 기준은 사용자 혜택 이론의 네 가지 요소인 행동적 용이성(Behavioral Facilitation, BF), 생리적 유지(Physiological Maintenance, PhM), 지각적 유지(Perceptual Maintenance, PM), 사회적 용이성(Social Facilitation, SF)으로 설정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일본의 가이드라인은 사용자 혜택 이론의 네가지 기준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설계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생리적 유지(PhM)와 행동적 용이성(BF)에 중점을 둔 설계가두드러졌으며, 이는 고령자의 안전과 건강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데 기여하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접근은 고령자의 심리적 안정과 사회적 참여를 촉진하며, 고령화 사회에서 지속 가능한 주거 환경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는 고령자의 삶의질을 높이는 데 효과적인 설계임을 보여준다. 그리고 사용되지 않는 공간을 교류, 취미, 수납공간으로 전환하여 생활 만족도를높임으로써 행동적 용이성(BF), 지각적 유지(PM), 사회적 용이성(SF)에 기여할 수 있다. (결론) 일본의 초고령 사회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된 단독주택 개조 가이드라인은 고령자 관점에서 주거 환경 개선의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 일본은 한국과 달리 단독주택 비중이 높은 사회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에서 주거 개선을 위한 체계적인 가이드라인을공식적으로 보급해 왔다. 본 연구는 일본 사례를 통해 한국의 단독주택 거주 고령자를 위한 개선 방안을 총체적으로 모색할 수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 연구 결과는 초고령 사회를 준비하는 한국에서 단독주택의 개선 방향을 설정하고, 고령자의 웰빙을중심으로 한 주거 정비 지침 개발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South Korea is experiencing rapid population aging while having the highest elderly poverty rate among OECD countries. This trend accelerates the weakening of the social safety net, making the provision of stable and high-quality housing crucial for realizing Aging in Place (AIP) and maintain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However, South Korea’s predominant housing type has developed around apartment complexes, while many elderly individuals reside in deteriorating low-rise residential areas, single-family houses, multi-household units, and multiplex housing. In the absence of a comprehensive and authoritative housing renovation guide for the elderly, Japan's approach to addressing housing modifications for its aging population hold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as Japan has experienced super-aging earlier and has a housing culture centered around single-family hom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characteristics of Japan’s elderly single-family housing renovation guidelines through the lens of the User Benefit Criteria (UBC) theory. (Method) This study employs content analysis to examine the eight categories and 40 guideline items outlined in Japan's elderly detached house modification guidelines. The analysis was structured around the four UBC criteria: Behavioral Facilitation (BF), Physiological Maintenance (PhM), Perceptual Maintenance (PM), and Social Facilitation (SF).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Japan's guidelines are comprehensively designed, reflecting all four UBC criteria. Notably, the guidelines place strong emphasis on Physiological Maintenance (PhM) and Behavioral Facilitation (BF), directly supporting the safety and health of older adults. These approaches also contribute to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ocial participation, playing a pivotal role in creating sustainable housing environments in aging societies. The guidelines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designs that enhanc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The conversion of unused spaces into areas for interaction, hobbies, and storage can enhance life satisfaction, thereby contributing to Behavioral Facilitation (BF), Perceptual Maintenance (PM), and Social Facilitation (SF). (Conclusions) Japan's experience as a super-aged society has informed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that provide practical and realistic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housing environ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elderly residents. Unlike South Korea, where detached housing is less prevalent, Japan's systematic promotion of these guidelines offers valuable insights. The analysis of Japan's case presents comprehensive strategies for improving detached housing for older adults in South Kor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a foundation for developing guidelines to enhance housing conditions in South Korea, focusing on the well-being of elderly residents as the nation transitions into a super-aged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