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은국의 『순교자』론 ―‘전해들은 자’의 순교, 이산 작가의 글쓰기 (The Martyred of Kim, Eun-kook : The Martyr, the Writing of Diaspora Author)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11.06
19P 미리보기
김은국의 『순교자』론 ―‘전해들은 자’의 순교, 이산 작가의 글쓰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45호 / 307 ~ 325페이지
    · 저자명 : 윤정화

    초록

    김은국의 『순교자』는 한국문학사상 최초로 노벨문학상 후보로 추천된 작품이다. 노벨문학상으로 주목을 끌었다는 사실을 언급하지 않더라도 한국전쟁이라는 국지적 소재를 다루면서도 세계 독자들의 감동을 이끌어내었다는 점에서 『순교자』를 재고찰해야 할 필요성은 충분해진다.
    그러나 『순교자』에 대한 기존의 논의는 제목의 영향으로 기독교문학으로서의 의의를 밝히는 데에만 집중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순교자』의 원작자 김은국이 이산자라는 점과 연결시켜 작품의 의미구조를 분석하여 작품의 새로운 의의를 도출해보고자 한다.
    이산자의 입장에서 불확실한 여정의 근거지인 고국을 잃어버릴 수도 있다는 불안은 전쟁이라는 극한적 상황으로 상징화된다. 그의 이산을 생산한 근원, 그것이 바로 전쟁이었기 때문이다. 이산 작가 김은국은 한국전쟁을 감각적으로 재현하지 않는다. 전쟁은 매우 추상적인 형태의 광기로 전달된다. 『순교자』에서 사건은 감각적이고 구체적인 묘사가 아닌, 편지, 전언, 소문이라는 간접적인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 전언의 설정으로 인해, 김은국의 『순교자』는 객관적이며 냉정한 이산자의 시선이라는 미적 거리를 획득한다.
    『순교자』는 실존적 극한 상황 아래 전쟁의 생존자인 우리 모두가 ‘피난민’이라고 말한다. 『순교자』의 내적 서사를 분석한 결과 ‘순교자’는 ‘敎’, 즉 가르침을 위해 죽는 자가 아니라 가르침을 추구하는 방법으로서의 ‘殉’을 실천하는 자라는 결론에 이를 수 있었다. 김은국은 자신이 이산자로서 ‘전해들은’ 고국의 진실을 세계에 전하는 의무를 실천함으로써 ‘순교자’가 될 수 있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e Martyred(『순교자』) of Kim, Eun-kook is recommended as a candidate for the Nobel Prize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e Martyred is required to be reconsidered in term of leading the emotion of the world readers as well as dealing with local material such as the Korean war without mentioning the fact that Nobel Prize draws the attention. Because The Martyred work has directionality for the globalization of the Korea Literature works. This study was started from the hypothesis that a combination of global universality of this work and Korean locality was possible because Kim, Eun-kook, separated person describes Korean War. Anxiety that separated person may lose the country based on an uncertain journey is symbolized as an extreme situation of war. Because the source to produce his separation is just war. The Martyred can be called literature of war which was possible because Kim, Eun-kook was a separated person in the circumstances of the '60s.
    In previous study, however, Diaspora identity of Kim, Eun-Kook is slightly overlooked or being processed in the analysis of the work. The existing discussion concerning The Martyred is concentrated as a Christian literature by the influence of the title.
    The Korea war is not specific subject to reproduce tastefully to Kim, Eun-Kook who is a separated person. The war is passed with the madness of very abstract form. The case in The Martyred is being processed with the indirect way such as the letters, messages and rumors, not the sensual and concrete descriptions. The narrative force of message or letter in The Martyred of Kim, Eun-kook is very important. Due to set-up of this message, the work of Kim, Eun-kook gets aesthetic distance by the objective and cold eyes. The Martyred says we are all refugees who are survivors under extreme conditions of an existential war. In addition, this work conveys the teachings for survivors who are refugees about how to live and this is the topic that the writer of Diaspora, Kim, Eun-kook pursuits and reaches through the writing.
    In the result of internal narrative of The Martyred, the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reached that ‘he Martyred’ is the person to practice ‘殉’ (Die) as the method to pursue teaching, not the person to die for the ‘敎’ (teaching).
    Kim, Eun-kook could be ‘The Martyred’ by practicing the responsibility to convey their teachings as a separated person to the coun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1 오후